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황소개구리의 성별 및 성숙도, 시기에 따른 먹이원 및 포식 습성을 확인하기 위해 2014년 4월부터 9월까지 경상남도 창녕군 가항늪에서 진행하였다. 황소개구리 먹이원은 위 절제술을 통해 위에서 직접 수집하였으며, 위 내용물을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다. 연구결과, 황소개구리는 크고 무거운 개체일수록 많은 양의 먹이를 포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및 성숙도에 따른 포식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기간 동안 황소개구리의 먹이원은 곤충강(개체 수 평균 비율 65.5%)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갑각강(13.5%), 복족강(7.9%) 순으로 나타났다. 황소개구리는 곤충강의 물자라(Muljarus japonicus)를 가장 많이 포식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박새(Parus major), 등줄쥐(Apodemus agrarius), 땃쥐(Crocidura lasiura) 등도 황소개구리의 먹이원으로 나타났다. 황소개구리는 습지생태계의 교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결과들은 환경부 생태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있는 황소개구리가 습지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2.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대산 국립공원 내 이탄습지로 알려진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을 대상으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두 습지의 생성 연대를 추정하기 위하여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의 토양 pH는 평균 5.5로 조사 시기 및 식물군락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이온 함량은 식물군락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각 식물 군락 내에서 조사 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이온 함량과 마찬가지로 치환성 양이온인 Na, K과 Mg 함량 또한 식물 군락에 따른 차이를 보였지만, 조사 시기에 따른 함량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른 양이온과는 달리 Ca 함량은 식물군락과 조사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기물 함량과 총질소 함량은 식물군락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물이끼(Sphagnum palustre)가 분포하는 지점에서 두 습지 모두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은 약산성의 bog 습지로 생각되며, 두 습지 토양의 생성 연대를 분석한 결과 소황병산늪은 AD 100년 그리고 질뫼늪은 AD 1448년으로 조사되어 소황병산늪의 생성연대는 AD 100년 그리고 질뫼늪은 AD 1448년 이전에 습지가 형성되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3.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울산광역시 울주군 정족산에 위치하고 있는 무제치늪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 래된 산지습지 중 하나이다. 오랜 세월에 걸친 화강암의 풍화작용과 홍수에 의한 침 식작용 등으로 형성된 분지형태의 습지로 이탄층이며 약산성의 수질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환경을 바탕으로 식충식물 등 희귀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곤충으로는 멸 종위기종Ⅱ급인 꼬마잠자리가 확인되는 등 생태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무제치늪의 생태계 구성원 중 육상곤충의 전체적인 서식 분포와 밀도를 조사하였으며, 시기에 따른 변화양상을 비교하였다. 조사는 2012년 6~10월에 걸쳐 5회 실시하였으며, 4개로 이루어진 무제치늪 및 주변지역 중 곤충 서식에 적합한 지점을 선택하여 정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방 법으로는 임의채집법(관찰, 목격, 돌들기 등), 스위핑법, 털어잡기법, 라이트트랩 법을 사용하였다. 채집한 모든 곤충을 실험실로 운반 후 동정 및 종수를 계수하였으 며 상대적 우점도지수를 구하였다. 조사결과 총 10목 67과 218종이 발견되었다. 조사된 분류군들의 군집구조를 살 펴보면 나비목이 15과 107종(R.D 49.08)으로 구성비가 가장 높았고, 그 외 노린재 목과 딱정벌레목이 14/13과 25종(R.D 11.47), 메뚜기목이 4과 16종(R.D 7.34), 파 리목이 7과 15종(R.D 6.88), 잠자리목이 4과 14종(R.D 6.42), 벌목이 5과 11종(R.D 5.05), 풀잠자리목이 3과 3종(R.D 1.38), 사마귀목과 집게레목이 1과 1종(R.D 0.46)으로 구성되었다. 주요종으로는 멸종위기종Ⅱ급인 꼬마잠자리, 국외반출승 인대상생물종인 노랑띠들명나방, 봄처녀나비가 확인되었다.
        4.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지습지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I 급인 끈끈이주걱과 지표종인 이삭귀개, 잠자리난초, 물매화, 진퍼리새 등이 분포하여 중요성은 높으나,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과정에 의해 건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시급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확한 자연생태계 현황 및 건조화 진행 실태를 파악하여 습지생태계 보존대책과 건조화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화엄늪은 경사도 10˚ 미만(86.1%), 해발 750~810m(87.4%)로 산지습지의 적지라고 할 수 있으나 하부에 깊이 1.6m, 폭 0.8m인 수로가 형성되어 이탄층 유실, 수위저하 등으로 인한 건조화 진행이 우려되었다. 습지보호지역 내 식생은 진퍼리새 등 습윤지성 식생이 분포하는 면적이 6.7%로 협소한 반면, 참억새, 미역줄나무 등 산림성 목본 및 건조지성 초본이 우점하여 방치시 숲생태계로의 천이가 예상된다. 건조화를 예방하고 양호한 생태계의 지속적인 보존을 위해 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보존 및 관리지역 설정, 습지보호를 위해 천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연부 식생 관리, 핵심지역 보호를 위한 완충지역 설정을 제안하였다. 관리에 있어서는 습지훼손 요인관리를 위하여 수계로의 과도한 지하수 유출 억제를 통한 물고임 습지 안정화와 산지습지 지표종에 대한 보호 및 관리식물 지정, 습지의 산림화를 유발 촉진할 수 있는 건조지성 수목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
        4,600원
        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법수늪 유역 내에 유입되는 비점오염원과 늪지의 유입부의 점오염원 예측지역을 선정하여 수환경의 계절적 변화와 형광광도계(phyto-PAM)에 의한 1차 생산력을 분석하여 늪지 생태계의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했다. 조사 시기는 2006년 2월, 4월, 8월과 11월에 각각 1회 정점 1~5의 수 표면에서 수심 1m사이의 수역에서 채수하고, 법수늪 유역 5개 지점, 늪 중앙을 1개 지점으로 하여 정점을 설정하였다.
        4,200원
        9.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of the extensive areas in the lower parts of the Nakdonggang River are characterized as zones of the diversely geomorphological features: the riparian wetland and floodplains, the riverine sand island on the river channel and riverine wetlands along the river. It aims to introduce the floodplains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its tributary (Hwapocheon Stream), and to evaluate their utilities in the process of the watershed management and the stream restoration in future. The lowland floodplains are developed over the 1,000 ha area beyond the riverbank in the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river. Furthermore, the 19 sand islands distribute on the river channel and the riverine wetlands are situated over 11 locations along the riverside. The most floodplains along the river had been converted to agricultural and other land uses, especially paddy fields, and two wetlands - the Hwaponeup Wetland in the Hwapocheon Stream and the Wooponeup Wetland in the Topyeongcheon Stream - barely keep in existence of the natural type one. In the Hwapocheon Watershed, the lowland below the 50 m elevation covers 61% of the basin area and the wetland interiorly spread along the stream bank. The area of the Hwaponeup Wetland is 250 ha to rank second level next to Wooponeup Wetland in sizes or scopes of inland ones. The Hwaponeup Wetland displays a unique landscape with the various willowtree population and waterside plants to have the high biological diversity. The 448 ha floodplain area in the lower zone and the 259 ha area in the mid-zone of the stream had been already reclaimed in the past, and in the present, the lowland floodplains around the stream-type wetland had been exclusively occupied with the paddy farms. In recent year, as the wetland and floodplain restoration have emerged as a key component in local watershed management programs over the world, these lands should have the greatest potential for future ecosystem recovery and restoration because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Hwapocheon Stream could increase more than those of the other areas. The restoration, creation and enhancement of the wetl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solving existing flood control or erosion, ecological habitat or biological diversity, other water resource problem. In these context, the network systems to connect the stream channels and riparian floodplains are a basic concept in the watershed management. In view of the natural resources, the Hwapocheon Stream will have the better advantage to control the flooding and water quality in the process of the stream restoration or watershed management in the local area.
        4,000원
        10.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산시 정족산 산정상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무제치늪의 수문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유역 환경과 몇 가지 기초 수문조사를 실시하여 늪의 강우유출 특성과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늪 지역의 평균 유출률은 0.58로 일반 산지유역과 비슷하였다. 단기유출 수문곡선에서 유량상승부가 완만하게 증가하여 첨두유량이 출현할 때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며, 그 이후에도 유량의 감소형태가 일반 산지유역에 비해 천천히 감소하였다. 늪지역의 유출 성분 구성은 기저유출량이 풍부하고, 무강우 기간에도 유출량이 크게 감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출하였다. 지하수위는 강우 직후에 피크에 도달하고 그 후 강우가 멈추면 다음 강우기간까지 지하수위의 감소가 아주 완만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강우강도가 클수록 지하수위의 감수곡선 기울기가 완만하였으며 지속시간이 길수록 피크부분이 오래 지속되었다. 장기 지하수위의 변화 경향은 강우와 유출 수위의 변화 경향과 거의 일치하였다. 향후의 늪지역의 물환경은 항상 일정한 지하수위를 유지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15.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16.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8.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swamps, Daepyeong, Jilnal and Yujeon, distributed in Beobsu-myeon and Gunbug-myeon, Haman-gun, Gyeongsangnam-do, are investigated geomorphologically and geologically. The topography of the swamp area is low in general, though the northern side of Nam River has somewhat high mean altitude than the southern side of the river, consisting of lowly land, which is plane or peneplane. The swamps are only found in the southern side of the river, The swamp area is composed of greenish gray siltstone and fine sandstone of the Cretaceous Haman Formation, General strike of the rocks is N80°E, and dips 10°S. Crests of ridges of north-south trending hills are occupied with dyke rocks. The swamps are interpreted to be formed by migrated meadering course of Nam River, The meandering river migrated towards north leaving swamps. Gradually rising underground water-table was also the cause of swamp making. According to the size analysis of the swamp sediments, the mean size is 7φ sorting 2φ, and skewness +0.7φ∼-0.3φ Largest kurtosis is 1.20φ at the Yujeon swamp. The coarse swamp sediments is composed mostly of rock fragments of the Haman Formation, and fine-grained sediments consist of 50% quartz, 25% feldspar, 7% muscovite, 17% rock fragments and 1% biotite. Organic matter contents of the bottom sediments range from 2.53% to 9.82%, averaging 5.56% except two samples which have abnormally high contents of organic matter.
        4,000원
        19.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past vegetational changes in Jeju Island, Korea, pollen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on the sediments obtained from the Mulyeongari fen were carried out. By the results, the vegetational changes around the Mulyeongari fen from ca. 3,300 cal. yr BP to the present can be 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The pollen record from the Mulyeongari fen was divided into two local pollen assemblage zones and three sub-pollen assemblage zones. Zone I (Quercus-Carpinus-Herbs Zone) was characterized by the predominance of Quercus(30~63%), Carpinus(9~35%) and herbs(40~424%). Zone II was characterized by three sub-pollen assemblage zones and the high occurrence ratio of the tree layer in comparison with Zone I. In Zone IIa (Quercus-Carpinus Zone), herbs(3~161%) were drastically decreased in predominance of Quercus(28~56%) and Carpinus(14~31%). In Zone IIb (Carpinus-Quercus Zone), Carpinus(36~48%) was preferentially increased but Quercus(29~39%) was slightly decreased. In Zone IIc (Quercus-Carpinus Zone), Carpinus(26~38%) was decreased inversely but Quercus(36~50%) was increased. In addition, Cyperaceae was also increased to 52%.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cool temperate southern/sub-montane vegetation composed of Quercus and Carpinus which was physiognomy of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was distributed around the Mulyeongari fen from ca. 3,300 cal. yr BP. In addition, Cyclobalanopsis(4~23%), Castanopsis(1~12%) and Myrica(under 1%) which are warm-temperate evergreen deciduous forest components were constantly appeared from this period. Accordingl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resent vegetation type around the Mulyeongari fen was formed from ca. 180 cal. yr 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