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신실재론(New Realism)을 통해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B. Yeats)의 시를 재조명하며, 그의 상징들이 지닌 자율성과 내재적
의미를 탐구한다. 가브리엘의 ‘의미의 장(fields of sense)’ 개념은 예이츠의 상징을 개
인적 혹은 문화적 맥락의 반영으로 제한하는 인간 중심적 해석을 넘어, 상징이 인간
인식과 무관하게 독립적 의미를 지닌 존재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점은 예이츠의 상
징적 세계를 다차원적 실재로 위치시키며, 그의 역사적 현실과 신화적 상상력의 교차
를 조명할 수 있게 해준다. 가브리엘의 철학은 예이츠의 시에서 자율적 실재를 발견하
며, 시적 의미를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존재와의 만남으로 재정의한다.
아일랜드 문학의 저명한 인물인 W.B. 예이츠는 소중한 친구인 로버트 그레고리의 죽음 이후 깊은 슬픔과 실존적 의문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실은 그 의 죽음에 대한 성찰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로버트 그레고리 소령을 추모 하며 , 아일랜드 비행사가 그의 죽음을 예견하다 , 양치기와 염소치기 와 같이 로버 트 그레고리를 위해 쓴 예이츠의 애가를 통해 그의 복잡한 감정과 철학적 신념을 탐 구하며, 죽음과 환생이라는 주제가 이 애가들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본다. 로버 트 그레고리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숭고함과 초연함에 대한 예이츠의 인식을 엿볼 수 있으며, 이는 죽음을 바라보는 그의 독특한 관점도 제공한다. 이들 애가를 탐구하 는 것은 예이츠의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 통찰을 깊이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 논문은 W. B. 예이츠의 유산과 멜리스 베스리의 소설 흩어진 사랑에 서 나타나는 뼈의 상징적 공명을 탐구한다. 소설에서 예이츠의 유령은 그의 삶, 예술, 그 리고 자신의 유해라는 수수께끼 같은 운명을 되새기며 지속적인 주제들을 반추한다. 뼈의 모티프는 사랑, 죽음, 그리고 기억의 교차점을 포괄하는 서사적이고 은유적인 축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베스리가 예이츠의 미완의 열정, 특히 모드 곤에 대한 사랑을 어떻게 재구성하며 그의 정체성의 더 넓은 문화적, 역사적 차원을 어떻게 탐구하는지를 살펴본다. 예이츠의 유해 발굴과 재매장에 얽힌 논란은 예술적 불멸성과 신체의 덧없음 사이의 긴장을 심화시키며, 이는 아일랜드의 복잡하고 종종 단절된 역사 적 서사를 반영한다. 예이츠를 현대 문학적 맥락에 배치함으로써 베스리는 그의 비전을 확장하면서도 변모시키며, 사랑, 상실, 유산에 대한 예이츠의 사색을 현대적 맥락에 녹여 낸다. 이 논문은 베스리의 소설이 뼈를 기억의 매개체로 부각시키며 예이츠의 시적 상상 력과 그녀 자신의 재해석 사이의 다리를 놓는다고 주장한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예 이츠와 베스리가 공유하는 죽음, 역사, 그리고 예술과 감정의 초월적 힘에 대한 탐구가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흩어진 사랑 은 예이츠의 사랑의 유산 을 재구성하며, 그 자체로 그 유산의 본질적 일부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히니가 어떻게 저장소로서의 의미와 아일랜드의 집단적 기억이 퇴적된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늪의 이미지를 통해 북아일랜드에서 일어나는 폭력에 대해 사유했는지 보여주고 있다. 늪 시편에서 시인은 고고학자가 되 어 늪을 발굴하면서 늪에 있는 희생자를 다시 끄집어내어 이들이 자신의 행위에 대한 심판을 받게 한다. 이러한 발견의 과정은 또한 히니가 1974년 에세이 “Feeling into Words”에서 썼듯 시적 창작 과정에 대한 은유이기도 하다. “The Tollund Man,” “Punishment,”와 “Kinship”이라는 시에서 히니는 과거와 현재의 폭력을 나란히 비교하 면서 어떻게 두 시대에서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믿음에 기반한 폭력이 자행되는지 보여준다.
아프리카계 미국작가들이 창작한 문학 작품들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 학”은 미 전역에서 고통 받은 흑인들을 탐구한다. 이들 저자는 다문화적 배경에도 주 로 백인에 의한 비백인의 지배와 그로 인한 영향, 특히 인종 차별 문제에 대해 묘사 하려 한다. 그들 작가가 다루는 다양한 주제들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 었다. 미국 남북 전쟁 이전에, 아프리카계 미국인 작가들은 주로 인종차별, 종교, 그리 고 노예제 문제를 다루었지만, 이제 아프리카계 미국작가들은 자신들의 감정, 행동, 그 리고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기록한다. 이들 작품에서 등장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주인 공들은 종종 자신들이 통제할 수 없는 일들을 강제로 수행해야 하는 무력한 인물로 묘사된다. 일반적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작가들은 인종차별, 흑인 미학, 그리고 정체 성 탐구에 대해 글을 쓴다. 주목할 만한 현대 아프리카계 미국인 소설가로는 스콧 리 드와 오마르 타이리가 있다. 그들의 저작은 일반적으로 인종 간의 상호작용과 흑인 미 국인들의 가장 열악한 경제적 상황을 묘사한다. 이 글의 주요 목적은 인종 정치와 차 별이 아프라카계 미국인들의 성공을 어떻게 방해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 해 탈식민지 이론과 비판적 인종 이론을 사용한다.
힌두교와 신지학의 융합은 현대적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심오한 틀을 제공합니다. 이 글은 수천 년 된 관행에 뿌리를 둔 힌두교 환경 윤리와 모든 생 명의 통일성과 신성함을 강조하는 신지학의 가르침 사이의 생태-영적 시너지를 탐구 한다. 신지학자와 같은 선구적 작품에 대한 자세한 검토를 통해 이 글은 이러한 전통 이 지속 가능한 삶, 자연에 대한 경의, 환경 관리에 대한 영적 책임을 옹호하는 방식 을 밝힌다. 브릭샤 로팬(나무 심기)과 강 숭배와 같은 힌두교 관행은 자연과 지속 가 능한 농업에 대한 신지학 명상과 공명하여 공유 가치의 실제적 적용을 보여준다. 이 논문은 신학적 분석, 텍스트 해석 및 환경 윤리를 통합하는 학제간 방법론을 사용하여 이 영적 동맹의 변형적 잠재력을 탐구한다. 이 전체론적 접근 방식은 영적 지혜와 윤 리적 책임에 기반한 행동을 옹호하는 글로벌 환경 정책의 변화를 요구한다. 고대의 가 르침과 현대의 생태적 요구를 종합함으로써, 이 논문은 지구를 신성한 신탁으로 존중 하고 인간과 환경 사이의 조화를 촉진하는 지속 가능한 삶에 대한 설득력 있는 비전 을 제시한다.
예이츠의 후기 시는 삶과 죽음, 예술의 영원성에 대한 깊은 철학적 성 찰을 담고 있으며, 특히 동양 철학, 그 중에서도 장자의 사상과 밀접한 연관을 보인다. 장자는 자연의 흐름에 순응하며 삶과 죽음의 경계를 초월하는 무위와 초연함을 강조 했는데, 예이츠는 이러한 장자의 철학에서 중요한 영감을 받아 자신의 시적 세계를 확 장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비잔티움으로의 항해 (“Sailing to Byzantium”)와 청금석 부조 (“Lapis Lazuli”)에 이러한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진다. 이 논문은 두 시가 어떻 게 장자의 사상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예이츠가 동서양 철학을 통합하여 예 술적 초월을 탐구한 방식을 조명하고자 한다.
예이츠가 아일랜드 민중과 겪었던 갈등—『서방세계의 난봉꾼』(The Playboy of the Western World) 공연 사태, ‘휴 레인 논쟁’(Hugh Lane controversy), 중산층의 물질주의 등—을 통해 켈트 신화와 민담만으로는 더 이상 아일랜드인의 공감을 얻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고 현실 속에서 상징을 찾아내 구축하는 결정적인 계기는 1916년 부활절봉기이다. 부활절봉기 이후 예이츠는 내전기 동안의 폭력적인 어두운 현실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아일랜드의 독립을 희망한다. 그리고 독립한 아일랜드에서 예이츠는 현실 정치에 대한 환멸을 신화의 도시인 비잔티움으로의 여정이라는 상징을 통해 극복하려 한다. 늙고 죽음을 목전에 둔 시기에 예이츠는 자신이 구축한 신화가 더 이상 유용하지 않음을 깨닫지만 버려지고 쓸모없는 것들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역설적으로 작품과 인생 전체를 신화화한다.
본 논문은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 B. Yeats)의 시 나는 그대의 주 (“Ego Dominus Tuus”)에 나타난 니체적 예술관과 자아 이론을 분석한다. 예이츠는 니 체의 사상을 긍정하며 자아와 반자아의 갈등을 창조적 에너지로 전환하고, 이를 통해 예술적 자아와 이상적 삶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본 논문은 예이츠가 마스크 이론(Mask theory)을 통해 자아를 재구성하고자 한 의도를 조명하며, 자아의 분열과 대립을 예술 적 이상화 과정의 필수적 요소로 이해했음을 논의한다. 또한, 나는 그대의 주 에 나타 난 예이츠의 창조적 긴장과 자아의 변형 과정을 통해, 그의 시 세계가 지향하는 이상 적 삶과 예술의 상호작용을 규명한다. 이를 통해 예이츠가 니체의 예술로서의 삶을 어 떻게 자신의 시적 비전에 통합했는지를 밝힌다.
본 연구는 가톨릭 민족주의와 프로테스탄트 합병주의라는 이분법적 환 원주의를 강화시키는 아일랜드의 기념 정치를 탐구하기 위해 마이클 롱리가 사용한 기억 시학을 분석한다. 첫째, 롱리의 기억 시학은 양귀비꽃 이미지를 사용하여 제1차 세계대전과 북아일랜드 분쟁을 상징적으로 연결시키며, 기념 정치의 이분법을 극복한 다. 둘째, 롱리는 포스트-1916세대의 노스탤지아를 통해 역사적 희생자들 간 연대의 비전을 제시한다. 그는 과거에 실현되지 않은 가능성들을 탐구하는데 있어 세계대전과 북아일랜드 분쟁의 희생자들을 병치시켜 당대 지배적인 기념 정치를 탈신화한다.
윌리엄 블레이크는 네 생물에서 네 생물과 방사물이 이원론적 대립과 갈등을 일으킨 후에 조화와 재창조를 성취하는 길을 제시한다. 네 생물과 방사물은 인 간 내면의 분열과 고통, 남성과 여성의 성적 갈등, 이성과 감정의 갈등, 이성적 질서와 창조적 힘의 대립, 생명과 죽음의 갈등, 상상력과 질서의 대립, 혁명과 파괴와 질서 사 이의 대립 등을 역동적으로 보여준다. 그 후에 이들은 최후의 심판에서 조화와 재창조 를 시도하여 새로운 인간세계를 구축한다. 네 생물에서 이러한 블레이크의 상상력은 현대인들에게 상상력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고, 새로운 세계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이 논문은 1920년대 초반 아일랜드의 독립전쟁과 이후 독립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에서 비롯된 아일랜드의 내전을 배경으로 종교와 중산층의 기득권을 유지 하려는 자유국을 지지하는 테디와 공화국의 완전한 통일과 독립을 주장하며 노동자의 이상적인 세상을 꿈꾸는 다미엔이 결국은 서로를 파멸시키는 갈등과 비극을 사회주의 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에서 로치는 역사적 사실의 교묘하고 도 의도적인 왜곡을 통해 관객들이 실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영화를 제작했으며 역사 적 사실보다는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