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형토기(角形土器)는 동체가 팽만하고 좁은 저부를 가진 기형을 중심으로 팽이와 흡사한 형태적 특징을 보인다.‘각형(角形)’이란 토기 명칭은 기형적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남한 내 무문토기의 명칭이 대표 출토지를 중심으로 부여된 점과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명칭 차이는 남한 내 주요 토기가 아니란 인식에 따라 통일된 명칭을 부여할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본다. 본고는 최근 경기 서북부지역에서 각형토기의 출토에 주목하면서 이 지역의 무문토기 출토양상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기존 각형토기를 남한의 토기문화유형과 같이 대표적 출토지를 바탕으로‘신흥동식 토기’라 명명한다. 지역 내 전반적인 문화유형 양상을 규명하고자 경기 서북부지역 중 강화, 김포, 검단의 무문토기시 대 취락 현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김포와 검단은 역삼동문화유형권이며, 김포에서 흔암리식토기의 출토는 부재(不在)에 가까운 점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지역 내 각 토기의 출토 현황, 각 형식별 토기가 단독으로 출토된 주거지 사례 등을 살펴본 결과 지역마다 출토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유형을 기반으로 이 지역에서 출토된 이중구연토기의 계통성을 확인하고자 토기의 명목형·연속형 속성을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명목형 속성은 토기 구연부 문양을 중심으로 Ⅰ식 토기문 양(이중구연+사선 조합)과 Ⅱ식 토기문양(흔암리식토기)으로 구분된다. Ⅰ식 토기문양은 대동강유역 에서 출토된 신흥동식 토기문양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세분하고, Ⅱ식 토기문양은 이 지역에서 주로 출토된 문양을 중심으로 세분하였다. 연속형 속성은 이중구연의 길이, 이중구연 두께, 사선길이, 이중 구연 접합부 두께를 중심으로 계측이 가능한 토기 71점을 검토하였다. 경기 서북부지역은 남한 내 북쪽에 위치하며 서해안을 따라 다양한 유입 경로를 갖기에 북한과의 관계성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당시 무문토기문화가 단순하지 않으며 다양한 경로의 이주 및 유입으로 인한 혼재된 문화양상을 지녔을 것으로 본다.
Goldwork embroidery is the art of embroidery using metal threads. As well as being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of religious clothing, flags, performing costumes, uniforms, and badges, goldwork embroidery is also used in many current designer collec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echniques and materials of goldwork embroidery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ocio-cultural values of goldwork embroidery from its beginning to the early 20th century. For this study, various embroidery works, costumes, museum portraits, and literature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nsition of goldwork embroidery was divided into 4 categories: The beginning of goldwork embroidery; the golden age of goldwork embroidery; the maturity of goldwork embroidery; and various goldwork embroidery (depending on the materials used, usage, and design features). The earliest extant example is the “Maaseik fragments” in Belgium dating from the late 8th to early 9th centuries. Until the 15th century, the Church was the most important patron of goldwork embroidery; however, after the 15th century, goldwork embroidery was produced on costumes. Second, the social-cultural values of goldwork embroidery (based on transition and formative features) were classified as expression of divinity, instrument of governance, desire to be approved, and tools of self-express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vident that there have been many advances in both technique and technology over time. Furthermore, patterns of usage and social-cultural values of goldwork embroidery have changed significantly.
제주지역은 기존 송국리문화의 바탕위에 기원전 4세기 이후 도래한 점토대토기문화가 빠르게 융합되면서 전개된다. 이처럼 문화접변 과정을 거쳐 서북부지역에 대규모 취락이 조성되기도 한다. 서남부지역 에서는 비전형적인 송국리형주거지가 축조되면서 지역화된 양식으로 전환된다. 하지만 변형된 주거지를 축조하고 점토대토기 집단의 금속기를 교환하고 있지만 일상토기인 점토대토기는 배척되고 있다. 점토대토기 집단의 정착과정을 보면 서북부지역에서는 주민간 활발한 동화과정을 통해 재지화되는 반면 서남부지역은 상위계층간 교류가 진행될 뿐 직접적인 융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서북부지역은 원형점토대토기 집단이 쉽게 동화되지만 서남부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 집단과의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 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삼각형점토대토기 집단은 동북부지역(종달리와 김녕리)에 거점을 확보하지만 활동영역이 축소되고 서남부지역과의 교류가 단절된다. 제주지역에서 점토대토기가 소멸하는 것은 대략 2세기경으로 추정되며 남해안지역과 궤를 같이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Ddeulzip.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clan family of Andong Kwon in Andong Area. Ddeulzip’s evolutionary proces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s divided into largely three periods in Josun Dynasty. The establishment and changing process of Ddeulzip for Andong Kwon’s family a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periods called the early(15∼16C), mid(17∼18C) and late(19 ∼20C).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and mid period are that they created their own ancestral building form of Ddeulzip. Those of the late period are in their strong will to make similar scale of Ddeulzip. And during the late period, although the construction of new Ddeulzip was started in the early stage, no more formation of Ddeulzip was made as it approached toward the late stage. And most important point is similar constructional space(gan) of first time. The residential Ddeulzip of Andong Kwon’s family created at the 19C can be regarded as an representative example of large space that shows a typical form of housing by noble residents at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ing process in the Ddeulzip of Jaeryoung Lee's clan famil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lan family of Jaeryoung Lee in Andong Area. The period of Ddeulzip's changing process is divided into largely three part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changing process for Jaeryoung Lee's family is analyzed during early (15~16C), mid(17∼18C) and late(19∼20C) period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periods is that it made a main ancestral building of Ddeulzip form. Those of mid Chosun period is in their strong will to preserve their ancestral house. During the late period, many of the different styles of Ddeulzip were constructed due to the stable environment of both political and economical status. The residential house of Jaeryoung Lee family that were centered in Youngduk and Youngyang area include diverse forms for both high and middle class social status. Jaeryoung Lee family's Ddeulzip is thus considered to bring about the firm foundation as a clan family representing the Andong cultural area through the development of Ddeulzip.
중국 동북지역에서 점토대토기문화는 남한지역 점토대토기문화와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주로 요동지역에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심양 정가와자 유적을 비롯한 요동지역에서는 전형적인 원형점토대토기 외에 다양한 파수가 부착된 점토대토기가 다수 확인된다. 그러므로 요령지역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형태의 이중구연토기 가운데 문화 성격과 공반유물 등을 고려하여 점토대토기의 범주에 포함시킬수 있는 것은 적극적으로 포함시켜 검토해야 한다.
점토대토기발과 평저장경호는 요동지역 뿐만 아니라 요서지역에도 분포하며, 기형상의 유사성도보이지만 공반유물에서 일정한 지역성도 확인된다. 점토대토기는 구연부 내측의 외반 상태와 구연부(점토대) 외측의 변형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세분되며, 남한지역의 원형점토대토기와 같은 형태를 지닌 것은 성립 이후의 확산 단계부터 뚜렷하게 확인된다.
요령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춘추 후기 이후 요서지역에서 성립되어 요동 서부지역에서 완성된다. 점토대토기문화는 전국시대 이후 요서와 요동 양 지역에서 지역성을 이루면서 발전하였는데, 전국 중기 이후 요동반도와 한반도에서도 관련 유적이 확인되며, 전국 후기 연의 요동 진출 이후에는 점토대토기문화의 중심지가 요길 접경지역과 요동 동부지역으로 변화된다. 요령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연·한문화를 순차적으로 수용하여 서한 전기 늦은 단계까지 지속된다.
요령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가 한반도로 파급되는 것은 요동 서부지역에서 주변 지역으로 파급되는 맥락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그 시기는 서북한지역과 서남한지역이 크게 다르지가 않다. 요동지역과 남한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에서 점토대토기발과 흑도장경호보다 두형토기가 늦게 등장하며, 두형토기와 한국식의 세형동과·동모가 연의 요동 진출에 따른 문화변동의 결과물로 등장하였음을 고려하면, 요령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가 남한지역으로 처음 파급되는 것은 전국 후기 이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중기 이후, 즉 기원전 4세기대일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매스 미디어가 문화변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문헌 검토를 통해 현대 문화변천과 매스 미디어와의 상관성을 세 가 지의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문화적 인식 변화와 문화변천에 도 움을 주는 매스 미디어와 정치, 사회변천, 세계화, 경제 발전과 미래 문화에 매스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매스 미디어는 우리 에게 이미 어느 정도의 통제가 가능하고 더 편리해져서 문화변천에 다양한 방향을 제시한다. 따라서 매스 미디어는 문화진화와 실천 과정의 직접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문화변천에 대한 매스 미디어의 영향은 사회, 경제, 정치 그리고 모 든 국제화 사업과의 조화로운 융합에 성공함으로써 매스미디어가 문화적 가치 및 경제적 가치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Broadcasting Property Rights Institutions (BPRI), it constantly changing at different periods. The term "property" is used in economics and law but less so in the media industry. Therefore, there is a certain amount of academic space left to be discussed. South Korea constantly strengthens their broadcasting technology development, sets up the Broadcasting Act and the corresponding system of property rights, so Korean BPRI are original and native providing the realistic case for stud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ath of Korean BPRI development.
Based on current research, we analyze and classify the value concept behind the regulation rules of Korean BPRI. Also we use the Managerial Grid Model (1964) developed by Robert R. Blake and Jane Mouton to construct "efficiency" and "fairness" as the ultimate goal of the Korean value system of BPRI. Through this value system of BPRI, we track the value changing path of Korean BPRI.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value changing of the Korean BPRI began from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KORCAD (Korea Office RCA Distributor) HLKZ-TV in the 1950s. At that time, Korea paid more attention to the pursuit of efficiency, while the pursuit of fairness was very low. Second, since Korean BPRI’ reform in the 1980s, KBS, MBC totally changed to public owned institutions. So Korea was very concerned about the pursuit of fairness, while reducing the attention to efficiency. Again, after SBS was established in 1990, Korea began to strengthen the pursuit of efficiency again, and still paid attention to fairness. Last, entering 2000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digital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s been widely applied to the entire media field. Integration of radio and television’s phenomenon has become more evident and "fairness" and "efficiency" was become the highest pursuit of the values goal.
Through studying the process of change of Korean BPRI's value goal, the Korean value lines throughout the entire frame from left and right sides on my research. It includes fully pursuit of the efficiency period, fully pursuit of fairness period, as well as both two sides at same period. From the whole development perspective, Korean government has always been pursuit of fairness in the effort, the fairness was taken cared in each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whole frame of Korean BPRI, the fairness and efficiency is the eternal absolute value goal. However, at different periods the understanding of the fairness and efficiency focuses on different points. At a deeper perspective of analysis, actually this changing process is constantly adjusted by fairness and efficiency, and i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effect. To balance them is not only very important to South Korea but also for the work towards the future for many other countries. When these two objectives are achieved at a high degree of unity, they will produce positive and infinite effects on the economy, the national welfare and social welfare benefits will also be enormous.
Throughout history, tableware has attained an important position in human culture, and historical eras are clearly reflected in the shape of tableware items, which are tied to the cultural background of foods. In particular,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foods within a food-culture, such as the means for cooking, storing, or eating, have impacted the usage and shape of tableware along with the food behaviors of individuals. Korea, China, and Japan have all played important roles in producing limitless amounts of high quality porcelain products and take pride in being leaders of the world's porcelain production industry. Based on their natural geographical proximity and political and cultural exchanges, these three countries have long influenced one another not only in terms of technical concepts but also in improving quality within the tableware industry. Thus, by comparing Korea, China, and Japan's evolutionary interdependable variance with regard to their tableware, food-culture, and food-behavior, one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historical stream and cultural exchanges relevant to china and porcelain. Ultimatel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ableware, the conclusions of this conceptual study offer researcher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stance of food-culture and contribute new and useful information for the future.
밀가루에 기름과 꿀을 섞어서 반죽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어 기름에 지지고 다시 꿀을 묻힌 약과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기호식품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1600년대부터 1943년까지 간행된 모든 한글 조리서 중에서 약과가 기록된 조리서 13권과 1945년 이후의 조리서 14권을 중심으로 약과의 명칭과 모양의 변천, 반죽 재료와 반죽 방법의 변천, 기름에 지지는 방법, 즙청 재료와 방법, 고명 등을 시대적으로 비교 고찰하므로 약과 문화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연구하였다. 1. 약과의 명칭은 약과 과줄 조과라 칭하였으며, 모양은 새 짐승 원형 네모진 모양이 있었다. 크기는 지름이 약 3.5cm, 두께 0.5~1.5cm 이었다. 2. 약과 반죽의 주재로는 밀가루 꿀 기름 술이었다. 밀가루 이외에 콩가루 찹쌀가루도 사용하였으며 꿀대신 조청 설탕물 설탕시럽 엿녹인 것을 넣기도 하였다. 기름은 주로 참기름을 넣었으나 사라다유 면실유도 넣었다. 술은 청주 소주 약주 막걸리 양주를 넣었으며 물은 끓인물을 넣었다. 그밖에 통깨 생강 후추가루 깨소금 생강즙 잣가루 소금 등을 넣었다. 3. 약과 반죽은 "반죽을 매우 찧어 도마에 놓고 망치로 사방을 모아 두드리라"는 방법과 "국수 반죽 모양으로 너무 치다르지 말고 가볍게 반죽해야 한다"는 두 가지 방법이 있었다. 1940년 이후의 대부분 조리서에서 "가볍게 살살 섞으라"고 하였다. 4. 기름에 지지는 방법은 "기름을 넉넉히 붓고 120~160℃의 기름에서 속이 잘 익고 진한 갈색이 나도록 5~15분 가량 지져내라" 하였다. 이때 "기름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모양이 부서지고 너무 높으면 단단해진다"고 하였다. 5. 즙청의 재료로 1940년 이전에는 꿀을 사용하였으나 그 후부터는 굴 조청 엿녹인 것 시럽 등을 사용하였다. 그밖에 향취를 위해 강즙 건강 유자즙을 넣었다. 6. 즙청 방법은 튀겨낸 약과의 기름을 빼고 뜨거울 때 넣어 오래 담가 두어야 연하고 맛이 있다고 하였다. 7. 고명은 잣가루 계피가루 설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