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리브랜딩 과정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 변화가 광고 커뮤니케이션 내러티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아의 리브랜딩 전후 슈퍼볼 광고 4편을 대상으로 그레마스의 행위자 모델과 토도로프의 서사 구조 이론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 리브랜딩 이전 광고는 자동차 성능과 주행 환경을 강조하는 기능 중 심 내러티브로 구성되었으며, 자동차는 물리적 장애를 극복하는 기술적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반면, 리브랜딩 이후 광고는 소비자의 일상과 감정적 여정을 중심으로, 자동차가 삶의 동반자로 변화하며 인간 적 가치를 전달하는 내러티브 구조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기아가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전환하는 브랜드 정체성을 반영한 것으로, 광 고 내러티브가 기술적 성취에서 정서적 공감과 사회적 메시지로 확장된 사례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광고 내러티브 연구를 확장하는 동시에 브 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 목적은 축제 체험 요소, 도시 브랜드 자산, 브랜드 충성도의 영 향 관계를 분석하고, 칭다오 맥주 브랜드 지식이 브랜드 자산, 브랜드 충성 도 간의 영향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탐구하며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중국 칭다오 국제 맥주 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체험 요소 중 인지, 감성, 행동, 감각, 관 계 등 5가지 요인이 모두 브랜드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칭다오 국제 맥주 축제는 도시를 타 도시와 차별화하며 방문객 들에게 강력한 인지적 효과를 제공하였다. 둘째, 인지, 감성, 행동, 감각 이 4가지 요인은 도시 브랜드 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칭다오 도시 브랜드 자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독창적 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방문객의 오감 체험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해야 한다. 셋째, 도시 브랜드 자산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성 관광객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브 랜드 자산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칭다오 맥 주 브랜드 사전 지식이 도시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 많은 충성 관광객을 유치하 기 위해 칭다오 맥주의 IP를 강화하고 브랜드 지식의 확산에 집중해야 한다.
2022년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이 0.78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그러나, 한 국의 최저 출생률 상황에서도 유아용품 시장은 성장하고 있는 특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좋은 제품을 원하는 부모의 소비 욕구와 경제적 합리성을 고려한 양육자의 소비 특성은 유아 용품 시장의 양면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기에, 본 연구는 유아 용품 소비자의 양면적 특성을 분석하여 소비가치가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유아용품 브랜드 유형을 중저가와 프리미엄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소비 가치와 소비자 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시장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미엄 유아용품 브랜드와 중저가 유아용품 브랜드의 양면적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용품의 소비가치는 일반적으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가치는 유아용품의 소비가치 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프리미엄 유아용품에서는 사회적 가치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중저가 유아용품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저가 유아용품은 기능적 가치의 중요성이 높았다. 넷째, 프리미엄 유아용품과 중저가 유아용품 간의 제품 구매를 통한 감정적 만족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유아용품 구매 시 대다수의 소비자가 이성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를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양면적 소비자로 나타났다. 실무 적으로는 프리미엄 유아용품과 중저가 유아용품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회적 가치에 대한 브랜드 전략의 중요성과 중저가 유아용품에서는 기능성 강조가 효과적일 것임을 강조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용품 시장의 동향과 소비자 행동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여 기업 들이 효과적인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지역방언은 해당 지역이 가지고 있는 언어 문화자원이며, 분명한 지역 성을 나타내준다. 오늘날 지역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역방언이 활용되 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방언과 브랜드디자인 의 개념과 기능을 바탕으로 브랜드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을 통해 지 역방언 브랜드 사례 중 전라도방언을 활용한 브랜드 ’역서사소‘를 사례로 총 365명으로 설문을 시행하고, SPSS 29.0을 이용하여 분석 및 t-검정 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에 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역방언을 활용한 디자인과 브랜드태도 간 관계에서, 지역방언을 활용했을 때 브랜 드태도의 영향이 높다는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지역방언 이 특정 지역이나 집단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변형으로 그 지역이나 집단 의 독특한 문화와 정체성이 반영되었으며,브랜드디자인에 지역방언을 활 용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브랜드와의 강한 정서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지를 탐구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방언을 활용한 디자인상 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브랜드태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체험형 화장품 매장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한 체험형 화장품 브랜드 소비자의 애착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 234부를 수집하여 SPSS 27.0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교육적, 일탈적 체험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적 체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락적, 교육적, 심미적 체험이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심미적 체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애착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므로 브랜드 애착과 구전의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재미 요소와 다양한 미용 정보나 지식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매력적인 분위기의 공간으로 가꾸고 신선하고 새로운 경험을 선 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그린워싱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서 브랜드 진정 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친환경 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친환경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20-4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 종 836부의 자료를 SPSS WIN 20.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린워싱 인식은 친환경 화장 품 구매성향, 브랜드 진정성,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쳤고,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은 브랜드 진정성,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진정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쳤으 며,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 관계에서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구매의사결정과 친환경 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a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fashion is growing, this study adds to the needed research by analyzing consumption value satisfaction factors, brand image, and repurchase intentions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During the investigation, the impact of gender was also accounted for to establish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In June 2024, 250 surveys were evaluated from domestic consumers with experience purchasing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ive factors were measured to determine satisfaction with the consumption value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emotional value, functional value, social and situational value, passive value, and rare and eco-friendly value. Empirically subdividing satisfaction with eco-friendly fashion as recognized by consumers reveals meaningful findings about consumption value. Among the factors of consumption value satisfaction with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functional value, social and situational value, and rare and eco-friendly value all positively affected repurchase intention. The consumer’s gender also made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marketing effect of eco-friendly fashion can be increased. This study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ESG management effect of fashion companies. By performing ESG management, the fashion industry can achieve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long with sustainable growth.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perceive the attributes (ubiquity, continuity) of metaverse fashion brands in a virtual space. It also empirically verifies the impact on consumers’ perceived values (hedonic value, social value) and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intention to use the platform, intention to purchase virtual products). The results ver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the metaverse attributes perceived by consumers in the virtual space of the fashion brand, ubiquity and daily extension, positively affect customers’ perceived hedonic and social values. Second, we found that consumers’ perceived hedonic and social valu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use the platform. Finally, we found that consumers’ intention to use the platfor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purchase virtual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ave academic significance by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related to identifying metaverse attributes and values by identifying metaverse attributes and consumer values that perceived by consumers in fashion brands’ virtual spaces in the metaverse.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and strategy for fashion brands to move forward in building virtual spaces on the metaverse platform. In this way, they can create perceived value for consumers that elicits positive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 experiences and word-of-mouth (WOM) intentions in luxury brand pop-up stores, including standalone and department store setups. Grounded in experience economy theory,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tial elements based on the types of pop-up store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 experience, pop-up store image, and WOM intentions for each type.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visitors to luxury brand pop-up stores between January and July 2023 and analyzed using Smart PLS 4.0. The findings reveal several key insights. First, standalone pop-up stores offer educational and escapist experiences, while pop-ups within department stores have a single identified factor of consumer experience. Second, regardless of the store type, luxury pop-up store experiences significantly influence pop-up image perceptions. Third, luxury pop-up store image drives WOM intentions for both standalone and department store pop-ups. Notably, the unique image significantly impacts solely department store pop-ups and does not influence standalone pop-ups. Moreover, image perceptions in both pop-up store type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brand WOM intentions. Finally, WOM intentions for pop-up stores significantly influence WOM intentions for brand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consumer experiences in luxury pop-up stores, providing practical insights for stakeholders in the luxury brand industry to enhance pop-up store image perceptions and WOM intentions.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brand image communication on consumer perceptions of cruelty-free fashion brands. Brand messaging data were gathered from postings on the official Instagram accounts of three cruelty-free fashion brands and consumer perception data were gathered from Tweets containing keywords related to each brand. Web crawling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were performed using Python and sentim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BERT model. By analyzing Instagram content from Stella McCartney, Patagonia, and Freitag from their inception until 2021, this study found these brands all emphasize environmental aspects but with differing focuses: Stella McCartney on ecological conservation, Patagonia on an active outdoor image, and Freitag on upcycled products. Keyword analysis further indicated consumers perceive these brands in line with their brand messaging: Stella McCartney as high-end and eco-friendly, Patagonia as active and environmentally conscious, and Freitag as centered on recycling. Results based on the assessment of the alignment between brand-driven images and consumer-perceived images and the sentiment evaluation of the brand confirmed the outcomes of brand communication performance. The study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brand image and positive consumer evaluations, indicating that higher alignment of ethical values leads to more positive consumer assessments. Given that consumers tend to prioritize search keywords over brand concepts, it’s important for brands to focus on using visual imagery and promotions to effectively convey br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brand communication by emphasizing the connection between ethical brand images and consumer perceptions.
Until now, research o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has primarily focused on psychological aspects or depended on consumer surveys. However, there may be a gap between consumers’ self-reported perceptions and their observable actions. In respon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utilizing a big data approach.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chasing patterns of fashion items, both online and in retail stores, from a data-driven perspective.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individual consumers switched between online websites and retail establishments for making purchases. Data on 516,474 purchases were obtained from fashion companies. We used association rule analysis and K-means clustering to identify purchase patterns that were influenced by customer loyalty. Furthermore, sequential pattern analysis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usage patterns of online and offline channels by consumers. The results showed that high-loyalty consumers mainly purchased infrequently bought items in the brand line, as well as high-priced items, and that these purchase patterns were similar both online and in stores. In contrast, the low-loyalty group showed different purchasing behaviors for online versus in-store purchases. In physical environments, the low-loyalty consumers tended to purchase less popular or more expensive items from the brand line, whereas in online environments, their purchases centered around items with relatively high sales volumes. Finally, we found that both high and low loyalty groups exclusively used a single preferred channel, either online or in-store. The findings help companies better understand consumer purchase patterns and build future marketing strategies around items with high brand centrality.
In response to the global trend of mak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 urgent task, luxury fashion brands actively embrace it in their corporate philosophies and management policies. However, despite the widespread consensus in the related industry and the strong will of compan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uxury brands, there are still few cases of luxury fashion brands successfully implement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types of message framing on the sustainability marketing of luxury fashion brands, focusing on their effects on perceived message effectiveness, sustainable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s.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464 Korean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effectiveness was higher for negatively framed messages (loss) than for their positive counterparts (gain). The types of message fram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ustainable brand message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brand image was found, regardless of message type. Perceived message effectiveness exert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stainable brand image, and such an im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s. Th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related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sustainability marketing strategies for luxury fashion—an industry still in its infancy.
목적 : 본 연구의 목표는 서울지역 20대 MZ세대 집단이 인식하는 해외 안경테 브랜드 국가의 감성의미를 도출 하는 것이다. 방법 : 먼저 연구 대상으로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 일본 4개국을 선정하였다. 의미분별법을 이용하여 감성어 휘 8개를 추출한 다음, 설문조사와 통계처리를 통하여 각각의 국가별로 해당되는 감성어휘를 결정하였고, 해외 안 경테 브랜드 국가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결과 :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 일본의 4가지 해외 안경테 브랜드 국가들에 대하여 각각 고급스러움, 매력적 임, 실용적임, 동양적임이라는 감성어휘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안경테에 대한 선호도 순위는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 일본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도출된 감성어휘들과 응답자들의 선호도를 분석했을 때, 고급스러움과 디자인적 측면을 중시하는 MZ세 대의 플렉스 소비 성향에는 이탈리아와 프랑스 브랜드의 안경테가 가정 적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SNS 계정으로 화장품 브랜드를 구독하고 있는 10대에서 50대 남녀의 지각된 연령을 기준으로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관계가 구매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 조 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1.0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지각된 연령을 타인이 지각한 연령과 스스로 지각한 연령의 차이에 따라 ‘지각된 저집단’, ‘지각된 중집단’, ‘지각된 고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은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구매동기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구매동기 중에 서도 ‘매력적’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세 집단은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 계는 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만족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수로 나 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론은 지각된 연령집단별,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구매동기와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화장품 구매동기 와 만족도에 주요한 변수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SNS에서 지각된 연령이 화장품 브랜드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에 따라, 화장품 판매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 및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골프웨어 브랜드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골프웨어 브랜드의 소비가치가 태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국민들 중 골프웨어를 구 매했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표본으로 선정했으며, 496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도입했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는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내적일관성을 실시했다. 더불어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 석과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으며, 모든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본 연구 결과, 첫 번째로 골프웨어 브랜드의 소비가치가 쾌락성, 심미성, 상징성 순으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웨어 브랜드의 태도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골프웨어 브랜드의 소비가치가 쾌락성, 심미성, 상징성 순으로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패션 브랜드들이 사용자들의 능동적 참여가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자사의 브랜드 접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와 오프라인 스토어에서의 브랜드 체험을 비교하고자 한다. 패션 브랜드 젠틀몬스터의 오프라인 스토어과 이를 메타버스 공간에 그대로 재현한 제페토(ZEPETO) 스토어의 브랜 드 체험을 비교하였다. 실험 참가자 집단을 메타버스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집단과 오프라인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집단으로 구분하여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1) 전체 체험 반응에서 감성 보다는 새로운 정보에 반응하는 감각 체험이 주를 이루었다; (2) 메타버스보다는 제품을 직접 만지고 체험할 수 있는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체험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3) 네 가지의 테마공간 유형 중에서는 제품 공간에서 가장 많은 체험 반응이 나타났다; (4) 오프라인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두 번째 그룹보다 메타버스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첫 번째 그룹에서 보다 활발한 체험 반응이 일어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가상공간에서 의 메타버스 브랜드 스토어가 현실 공간의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은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오프라 인 스토어의 경험을 더욱 의미 있고 풍부하게 만들어 주는 전략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authentic marketing on the formation of trust between brands and customer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and to analyze the role that brand trust has in this process. In doing so, it examines the specific aspects of authentic marketing that increase brand trust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urchase intentions, which could then be leveraged as key elements of a company’s marketing strategy. Data in this study was used frequenc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rough SPSS 26.0,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 Subsequent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model analysis, and mediated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AMOS. Finding indicate that, identity and truth in authentic marke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trust but heritage and reality did not affect brand trust. It was also found that the factors of identity, heritage, reality, and trus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urchase intention. Additionally, brand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inally, the analysis indicates that brand trus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forming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factors of identity and truth in authentic marketing. Therefore, the core of authentic marketing is the sincer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obtained from the clarity and integrity of messages, and in this process, mutual trust is built, which leads to product purchases. It can be surmised that the purpose of authentic marketing is to build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based on brand trust.
This study gathered basic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Jiu-Jitsu uniforms suitable for players in Korea. Detailed data were collected between December 20th and December 30th, 2022 on 21 selected brands sold in online shopping malls. For each, information was recorded on the production country, product type, price, colors, material, and sizing system. A total of 612 datase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Chi-square tests. Jiu-Jitsu uniforms were classified as either standard or limited edition. Limited edition uniforms were more expensive than regular uniforms. International brands had a higher price range than domestic brands. The most commonly used colors for Jiu-Jitsu uniforms were the regulation colors associated with the sport: white, black, and blue. Domestic brands were more likely to use non-regulation colors than international brands. The material used for the top half of the uniform was predominantly pearl weave, while the bottom half was usually ripstop. International brands used a more diverse range of materials than domestic brands. The Jiu-Jitsu uniform sizing system incorporated a range of sizes between A00 and A6. While sizing designations differe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sizing systems of different countries, the sizes remained the same, as did the range of sizes available. Where size guides were provided, height and weight were used to help the customer determine the appropriate size. The dimensions of each size varied between brands. Overall, we found that international brands offer a more diverse range of Jiu-Jitsu uniform designs than domestic br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