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중국과 한국 간의 사신 문화 논쟁을 계기 로, 비교 신화학을 통해 중국, 일본, 한국의 동아시아 사신 문화를 살펴 본 연구이다. 본 연구는 고고학, 인류학, 문학, 역사, 심리학을 결합한 학 제간 접근을 강조하며, 문헌 분석, 무덤 벽화 비교, 풍수지리 실천을 통 해 이들 문화에서 사신의 묘사와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냈다. 연구는 사신 문화 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이 넓은 의미의 동아시아 문화 공동체로 나아가는 단계로서의 실행 가능성과 필요성을 제안하며, 이에 대한 이론적 지지를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는 동아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은 다른 지역으로 확장하고, 사신 상징의 현대적 응용을 탐구하며, 이 문화 유산의 보존 및 전파를 위한 디지털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자는 형음의의 결합이며, 중국어 서사의 기초단위이다. 한자의 형음의는 서사 와 발음의 형식이며, 이는 형식을 말하고 있다. 더 중요한 것은 한자는 표의문자라 는 사실이다. 한자의 의미는 어소와 어소의 의미이다. 언어 사용의 실제면에서 어 휘는 실질적인 활용 요소이나, 보통 사람들은 언어의 문장 의미에만 관심을 지니 거나, 구의 의미에만 관심을 가지거나, 혹은 대부분 어휘의 의미에만 관심을 가지 고 있어, 대부분 어소의 층위를 분석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한자 개별의 어소 의 의미 혹은 한자와 한자를 이용한 단어의 조합 방법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하 거나 그 이치에 대해 알지 못하 못하고 있어, 언어의 변화나 자의의 역사 속에서 의 변화를 파악하지 못하여 동일하지 않은 언어 환경 속에서 사람들은 계속하여 어휘를 사용하면서 새로운 어휘를 생성하여 결국 어소의 의미에 상당한 변화를 생성해 내고 있다. 예를 들어, 세금을 납부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缴纳税款的人’ 이 왜 ‘纳凉’, ‘接纳’, ‘收纳’, ‘笑纳’, ‘纳妾’, ‘容纳’, ‘吸纳’, ‘出纳员’의 ‘받는다’의 의 미가 전혀 다른 ‘缴交’가 되는가? ‘缴纳’의 반의어가 조합되었다고 할 수 있는가? ‘纳’의 의미가 사라져, ‘人马’와 같이 현재에는 ‘马’의 의미가 사라졌다고 할 수 있 을까? 왜 ‘纳税人’ 중에서 ‘纳’이 돈을 내다라는 의미가 되는가?또한 ‘缴’의 의미 가 ‘纳’안으로 포함되었는가?혹자는 이것을 일차적 번역의 오류라고 말한다. 그 러나 언어는 이렇게 변화하는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보자. 대만에서는 대륙에서 말하는 신부를 ‘陆妻’라고 하는데, 여기서 ‘陆’은 육지의 ‘陆’이 변화하여, 다시 중 국 대륙의 ‘陆’으로 변화한 것이다. 어소의 의미는 계속 축소하여 점점 더 정치화 되는 것이기 때문에, 미국의 부인을 ‘陆妻’라고 칭할 수는 없다. 비록 그가 미국 대륙에서 왔다고 하더라도 말이다. 더욱이 이 어소의 의미는 중국 대륙에서 온 학 생을 지칭하는 ‘陆生’과 같이 또 다른 어휘를 생성해 내는 생산력을 가지고 있다. 본문은 2012년도에 대륙에서 생산된 신조어를 대상으로 자의의 변화를 탐색해 보 고, 이 새로운 어휘의 어원 지식을 살펴보는 동시에 사전 편찬의 방법과 한자 자 의를 공부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여 보았다.
The following demonstrates similariti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food culture. The facts have been discover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records kept by Korean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Japanese Envoys. Both countries used the numbers 7, 5, 3, in food treats. Both demonstrated Da do(茶道) style during banquet. Japanese Na-ra-dae(奈良臺) is similar to Korean Sue-bae-sang(壽杯床). Both countries had a Kan-ban(decorative table, 看盤) and Mi-soo(wine and someatables, 味數) during banquet. The composition of the table may be the same for both Korean Geo-sick-oh-kwa-sang and Japanese 3Jeup(soups) 15Che(dishes). Agasang is a Kan-ban(decorative table) of Choson's Da-do(茶道) style.
Food goods traded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Cho Sun era included Insam (Jinseng), rice, beans, honey, perilla oil, starch, adlay, walnuts, pine nuts, jujubes, hazelnuts, and dired chestnuts as exports ; and pepper as imports. The number of Japanese envoies that visited regularly was one thousand five hundred people a year. The receptions that were held for them during the middle period equaled those of the first term of the Cho Sun era, but these receptions were only held in Pu-san. The expense of daily meals was broken down into 8 grades ranging from \129,300 to 2133. The daily meals included Jo-ban (breakfast), Jo-seok-ban (breakfast and dinner), and Ju-jeom-shim (lunch) for the Japanese who visited regularly. During the course of a year, the total amount spent on daily meals was put at a billion won. The banquet style meals included Ha-seon-da-rye (a welcome tea party), Ha-seon-yeon (a welcome banquet), No-cha-yeon (a banquet that was held on the street), and Ye-dan-da-rye (a drink banquet that was held when silk was offered as a gift). It also included Byeol-yeon (a banquet out of the dordinary), Sang-seon-yeon (a farewell banquet), and Myong-il-yeon (a banquet that was held on a national holiday). The banquet style meals were composed of Ceon-tack (to set a table for dinner), Sang-hwa (a flower that was put on the food), Kwan-hwa (to offer a flower when a banquet was held), Ju-9-jan (the ninth wine glass), Dae-seon (meat), music, and Jung-bae-rye (a banquet that was held again after a banquet). The Cho Sun government held banquets forty five times for the Japanese, the food expense for the banquets was put at two hundred and thirty million won.
Food goods traded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first term of the Cho Sun era included Omija (fruit of the Maximowiczia chinensis), Jat (pine nuts), Insam (Jinseng), rice, and beans as exports ; and pepper, sugar, and medicinal stuffs as imports. The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was a result of Japanese envoies' visiting. The official number of Japanese envoies who had exchanges with Koreans were two thousand people a year. Once the Japanese entered Korea, they did not need to pay for their living expenses for the length of their visit because the Cho Sun government bore the whole expense. The Cho Sun government gave formal receptions to them, which included daily meals as well as banquet style meals. The daily meals included Jo-ban (breakfast), Jo-seok-ban (breakfast and dinner), and Ju-jeom-sim (lunch). Meals were served four times a day. The banquet style meals included Sam-po-yeon (a banquet that was held in Sam-po), Kyong-joong-young-jeon-yeon (a farewell banquet, and a welcome banquet that was held in Seoul), Jyu-bong-bae (to offer a guest a drink by day), No-yeon (a banquet that was held on the street), Kwol-nae-yeon (a banquet that was held within the Royal Court). It also included Ye-jo-yeon (a banquet that was held in Ye-jo), and Myong-il-yeon (a banquet that was held on a national holiday). The banquet style meals were composed of Ceon-tack (to set a table for dinner), Sang-hwa (a flower that was put on the food), Kwan-hwa (to offer a flower when a banquet was held), Ju-5-jan (the fifth wine glass), Dae-seon (meat), and music.
Welcome reception for chinese envoy had been very important affairs for Chosun Dynasty. The procedure for the reception was described in Youngjeob Dogam. The events of each visit of Chinese envoy were also recorded in Youngjeob Dogam Euigwae. Among them, only the records of the year of 1609, 1610, 1626, 1634, 1637, 1643 are existing.
There is the picture of four gods(四神圖) painted on the wall of old tomb of Koguryo dynasty in 4~5 century. Four gods in this picture were Symbolized by four animals, tortoise, tiger, ryong which is imaginative large Snake, and bong hwang which is also imaginative birds. Those animals wese believed at that time as protecting geities against all of the haman disaster and evils. The peoples of Kojosun dynasty carried those animal charms, and painted or graved on some where of living environment such as furniture, utensils, tools, wall, ceiling, etc. They ate those animals as food or medicine to treatment of all disieses and to get rid of evils and to gain well-being. A lot of examples in historical records were cited and interrelated to above super stitions.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공연에서는 오랜 역사와 전통문화 속에서 이상을 실현하는 한국의 모습을 그려내었다. 그 가운데 ‘평화의 땅’은 고구려 고분벽화인 무용총과 강서대묘에서 나타나는 무용도, 사신도, 인면조를 재해석하여 공연한 부분은 많은 관심을 받았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고구려 시대 ‘옛 무덤의 벽에 그린 그림’을 말하는데 약 3세기말에서 7세기 전반까지 만들어졌으며 벽화의 내용, 구성 방식, 표현 기법에서 고구려인의 기질과 그들의 기상 그리고 많은 문화적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므로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고구려 고분벽화를 내용으로 하여 재해석한 공연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고구려 고분의 무용총과 강서대묘 벽화인 무용도, 사신도, 인면조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공연에서 현대적으로 재현된 무용도, 사신도, 인면조를 비교하여 논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구려 고분벽화의 변화와 표현을 알아보고 무용총과 강서대묘 벽화의 주된 표현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공연 가운데 ‘평화의 땅’에서 무용도, 사신도, 인면조가 현대적으로 어떻게 재해석되고 있는지 그 표현들을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