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설 『평양은 선언한다』는 북한의 다른 문학작품과 달리 사회주의 체 제 전환 시기의 이념적 갈등 양상을 비교적 세세하게 다룬다. 본 연구는 소련과 동유럽의 사회주의 체제 전환 과정에서 일어난 북한 체제 내의 갈등 양상을 『평양은 선언한다』를 통해 추적하면서 이러한 정세변화에 대해 북한 체제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던가, 어떤 메시지를 대내외에 전파하고자 했던가를 분석한다. 당시 북한에서는 핵심 계층과 인텔리 계 층 내에서 소련의 ‘개편’과 관련한 이념적 갈등이 존재했으며, 당과 인민 을 유리시킴으로써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 원인이 된 관료주의와 부정부 패 현상을 우려했다. 소련의 ‘개편’이 다원주의를 추구하여 체제를 붕괴 시키는 길이라는 점을 폭로하고 관료주의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를 전달 한다. 소설은 이와 같은 적대적 혹은 비적대적 갈등을 사실적으로 다루 면서도 이러한 갈등을 김정일의 영도력으로 극복하는 과정을 그려 다른 나라 사회주의 체제와의 차별성을 부각한다.
        6,100원
        2.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주의국가들에서 선교적 목적을 가지고 비즈니스 활동을 해 온 BAM 기업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이를 통해 BAM 기업들의 정착 성공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 었다. 연구자는 사회주의국가에서 5년 혹은 그 이상 꾸준히 기업 활동을 해온 기업 대표 7명을 대면 혹은 비대면으로 만나 심층인터뷰를 기초로 한 BAM 기업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 결과를 사례별로 분석하고 또 통합적 분석을 진행한 가운데, BAM 기업 7곳의 정착 성공요인 36개 항목을 정리한다. 나아가, 연구자는 본 연구가 통일선교 론의 범주 안에서 진행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BAM 기업 사례연구의 결과물을 북한선교와 연계시킨다. 북한 내 사회-경제 차원의 여러 변화들을 주시하며, 최근 도시화-자본화 양상에 따라 대두된 BAM 선교론이 향후 북한선교 차원에서 역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유무형의 선교 열매를 맺을 수 있는 대안임을 강조한다.
        7,800원
        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신시기 초 항미원조 영화를 통해 사회주의 혁명 시대의 ‘연장선’에서 포스트 사회주의로의 문화 전환 문제를 고찰하고 있다. 항미원조 서사는 신시기를 사회주의 혁명과의 ‘단절’로 보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던 ‘80년대 담론’을 보완하면서도, 마오쩌둥 시기 중국과 그 이후의 혁명적 자아 상상과 전환을 고찰할 수 있는 문화적 매개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1980년대 초 항미 원조 영화 중 가장 대중적이고 변화적 징후가 명확히 드러난 『마음 깊은 곳』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영화 속 ‘생존자’의 이야기, ‘혁명’ 대가정에서 ‘혈연’ 소가정의 추구, ‘여성’ 인민지원군의 등장을 포스트 사회주의 문화징후로 추출하고, 이를 마오쩌둥 시기 항미원조 서사 특징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전후(前後) 서사 변화를 추동하는 배후의 문화 기제를 탐구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사회주의 혁명 시기와의 ‘단절’이 아닌 ‘연속’의 관점에서 새로운 시대로 안정적 전환을 꾀했던 신시기 항미원조 서사의 문화 기획과 그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5,700원
        4.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종교의 자유가 헌법에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선교의 자유가 주어져 있지는 않다. 특히 외국인 신분의 선교사들 에게는 여러 가지 규제와 제약이 있어 선교활동에 한계가 있다. 이런 제한된 상황에서 30년 동안 베트남에서 사역하고 있는 장요나 선교사는 크게 두 가지 선교를 병행하고 있다. 하나는 병원 건립을 통해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선교를 하고 있고, 다른 하나는 무너진 교회를 찾아 재건하는 일을 하고 있다. 이 양쪽 기둥 사이에 현지인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교육이 조심스럽게 이루어지고 있고 고아원을 통한 어린이 사역도 진행 중이다. 안타까운 것은 주변에 협조자보다는 방해꾼들이 많아 베트남 공안에 잡혀가기도 하고 추방되기도 하며 시련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그를 핍박한 경찰이 기도요청을 하기도 하고 존경을 표하기도 하는 일도 있었다. 순교자 정신으로 선교에 매진하고 있는 그는 영혼구원이라는 분명한 목표를 갖고 현지 상황에 맞는 전략을 구상하여 베트남을 넘어 라오스, 캄보디아, 그리고 미얀마까지 선교활동을 확대하려고 준비 중이다.
        6,700원
        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중국 도농관계의 역사적 변화궤적을 근대전환기, 중화민국시대, 마오쩌둥 치하 사회주의시대로 구분해서 추적함으로써 오늘날 중국 도농관계의 역사적 맥락을 조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근대전환기는 전근대 중국의 도농관계를 특징지었던 사회문화적 연속체가 해체 되고 근대적 도농이분법과 도농불평등의 정치경제적 문화적 단초가 마련되는 시기였다. 중화 민국시대에는 중국경제가 세계 자본주의 체제로 본격적으로 편입되고, 서구로부터 사회진화론의 개념적 프레임이 도입되면서 도농관계가 문화적으로 급격하게 재구성되는 시기였다. 이에 따라 중국의 도시는 진보의 상징이자 모더니티의 소재지로, 농촌은 봉건적 낙후성과 무지 몽매의 장으로 정의되고 재현되기 시작했다. 사회주의시대 중국의 도농관계는 표면적으로 양립 불가능할 것 같은 이념적 양가성을 통해 구성되었고, 이는 문화혁명기에 절정에 이른 상산하향운동을 통해 극적인 형태로 표현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조명한 중국 도농관계 변화의 역사적 궤적은 오늘날 중국 도농관계의 문화적 구성과 그것이 중국의 정치경제적 문화적 지형에서 갖는 중층적 함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적 발판을 제공해줄 것이다.
        6,900원
        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은 중국식 종교이론의 결정판으로서 중국의 종교에 대한 정치 적 이론과 실천의 총합이다. 그것은 현재와 미래에 있어서 중국의 종교와 문화가 어떤 모습 을 지니게 될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본고는 이러한 중국적 종교이론의 형성과정과 핵심 내용 및 비판적 논의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특색사회주의 종 교이론의 형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그 내용적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 해 그것이 상호 이질적인 요소들, 즉 마르크스주의 종교관과 중국종교의 현실, 종교의 원리와 중국의 역사문화적 토양, 나아가 보장과 통제, 자유와 구속이 결합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 으로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법률적 미비성 비판, 종교법 제정의 필요성 주장, 수정본 종교사무조례 비판, 정상적 종교행위를 종교극단주의로 해석하는 정부시선의 부당성에 대한 항의, 정상적 종교활동에 대한 비법적 강제조치에 대한 비판, 종교사무국의 부처이기주의의 위험성에 대한 지적, 종교 세속화 요구 의 부당성 비판, 교육현장에서 행해지는 이중삼중의 종교탄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5,400원
        9.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유위(1858-1927)는 서방열강의 중국침략으로 중국이 반식민지 반봉건사회로 전락하고 중 국 민족이 생존위기에 직면하였을 때 대동사회를 구상하였다. 그는 당시 중국사회를 “끝없이 푸른 하늘과 넓은 대지는 큰 도살장이며 감옥일 따름”(대동서·甲部)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리하여 모두가 행복하고 괴로움이 없는 세상을 꿈꾸었는데, 그것이 바로 대동사회이다. 강유 위의 대동사상은 동서양 사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는데, 특히 공자의 대동사상, 공양삼세설, 인(仁)사상 등과 서구의 천부인권론과 공상적 사회주의 등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렇게 형 성된 그의 공상적 사회주의는 유가사상을 통한 사회주의의 공고화를 도모하는 중국사회주의 의 현대화를 이룩하는 데 사상적 초석으로 작용하였다.
        5,800원
        10.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cience and Religion is a Christian apology that was written in response to the intellectual discourse of the 1920s, when materialistic socialism was rapidly propagated to intellectual youth as scientific discourse. Van Buskirk, a professor at the Severance Medical Research Department, combines the ideology of science, which was a qualification for knowledge, with Christian doctrine. In this way, Buskirk's text constitutes a Christian social evolution theory. Specifically, the narrative frame of Darwinism, which had already been approved by science, is dedicated to selectively combine the doctrine of salvation, soul, love, and sacrifice. With this, it criticized the materialism and the mechanical determinism of materialistic socialism which has emerged as a dominant discourse, and built a discourse that would cope with it. It thus provides an important key to identifying the role of Christianity in the formation of knowledge discourse in the 1920’s.
        5,500원
        11.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ormation of modern architecture during the Weimar Republic in Germany is seen through the works by Bruno Taut, one of the leading architects during that period.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adings on Bruno Taut and critical analysis of Bruno Taut’s ideologies, his works and the circumstances that he was in, the content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root of modern architecture has less to do with functionalism and new technologies, but more to do with need to express new ideologies and expressions of their view of a new society. Although the socialistic idea did not account for sole reason for influencing their architecture, it did play a considerable part in deciding what architectural expressions are preferred. For this discourse this paper limits Bruno Taut's years from 1913 to 1932 prior to his exile from Germany; 1913 to 1923 being the years that constitute theoretical activities and 1923 to 1932 being the golden years for social housing when he participated on many public housing projects.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his architecture put importance of practicality, and utilitarian; however the transition was not an abrupt departure from his expressionistic architecture but an inclusive act on his part.
        4,500원
        12.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얼핏 전혀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안창호와 사회주의’라는 이 글의 주제는 아주 작은 두 개의 단서에서 출발했다. 그 하나는 『주간조선』 1719호(2002년 9월 5일)에 실린 「[발굴 특종] 77년 만에 밝혀지는 ‘모함 투서’의 진상」이라는 제목의 기사이다. 이 기사에 따르면 “도산 안창호가 미국에서 마지막 독립 운동을 하던 1925년 당시 소련 공산당과 연계가 있다고 모함한 한 투서로 미 정부 당국의 감시 대상 속에서 심문과 가택 수색까지 당한 사실이 77년 만에 처음 밝혀졌다”는 것이다. 그런데 정확하게 말하면 이 기사는 특종이 아니다. 안창호가 ‘공산주의’ 관련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는 사실 자체는 이미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이 사실이 처음으로 등장한 자료는 《신한민보》1925년 6월 25일자의 「안창호씨도 쏘비에트주의자라고」라는 제목의 기사이다. 안창호가 “미국에서 볼셰비키주의를 선전하므로 미국 법률에 범하였다”는 이유로 추방될 위기에 처해 있다는 것이었다. 한편 김산(본명은 장지락)이라는, 당 시로서는 무명에 가까운 조선인 혁명가의 삶을 그린 책으로 유명한 『아리랑』에도 “1924년(1925년-발표자) 샌프란시스코에서 공산주의 서적을 자택에 소지하고 있다는 이유로 검거 되었지만, 공산주의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다음날 석방되었다”는 구절이 나온다. 따라서 1920년대 중반부터 이미 안창호가 ‘공산주의자’라는 소문 때문에 곤경에 처해 있었다는 이야기는 민족 운동 전선에 널리 퍼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해방 이후에 안창호의 측근 인물도 한 좌담회에서 이 사실을 언급한 바 있다. 다른 하나의 단서는 김산이 제공한 것이다. 그에 따르면 안창호는 “이 제까지 받은 영향 중 두 번째로 커다란 영향”을 준 인물이었다. 그런 안창호에 대해 김산은 “손문과 중국 민족주의자들이 중국의 복잡다단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맑스주의로 전향함과 동시에 안창호는 공산주의 이론과 전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안창호는 결코 공산주의자가 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아직 미숙한 한국 공산당을 반대한 적이 한 번도 없다”고 평가했다. 안창호가 ‘공산주의자’가 아니면서도 ‘공산주의’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공산당’에 반대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 주목된다. 주지하듯이 김산은 민족주의에서 무정부주의로, 그리고 다시 무정 부주의에서 사회주의로 민족 운동의 노선을 바꾸어 나가면서 일제와 투쟁한 인물이다. 민족 운동의 다양한 이데올로기를 두루 섭렵한 뒤 최종적으로는 사회주의자가 된 김산이 안창호를 ‘반(反)공산주의자’가 아니라고 평가한 것이다. 이 글은 어떻게 보면 별로 큰 의미가 없을 것도 같은 이 두 단서에서 출발해 안창호의 또 다른 측면 곧 사회주의 또는 사회주의 운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안창호는 분명히 사회주의자가 아니었다. 그러면서도 1920년대 이후 민족의 해방과 나라의 독립을 위한 새로운 이데올로기 로서의 사회주의에 관심을 갖고 더 나아가서는 민족 운동 전선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사회주의 운동과의 연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 안창호였다는 사실을 밝히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5,800원
        1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rtworks of Socialist Realism of the former Soviet Union, with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re gaining a new attention from art collectors. One reason for this might consist in the fact that relevant art pieces exemplify the ways in which they visualize ideas on the basis of their high-profile art tradition and also in which they integrate their utopian ideals with mysticism. These aspects of the Soviet art goes far beyond the wide-spread assumption that their art, as a means of propaganda, principally represents a political allegiance to the system. With Stalin coming into power in the 1930s, the artistic trend of Socialist Realism obtained a nationwide sympathy and support from people, giving birth to a new art which essentially corresponded to the demands of the political power. An official art current of the USSR over the period from the 1930s to 1950s, Socialist Realism was in tandem with the Communist commitment to the party and popularity, symbolizing a loyalty to the cause. It was thus characterized by plainness and lucidity so that ordinary people could gain easy access to art. Its salient feature, over an entire range of art, was an optimistic pursuit of a utopian dream. Therefore, it tallied with the popular sentiment for a Communist paradise, giving form to their beliefs in human agency working at the materialist world and also to such abstract concepts as force, fitness, and beauty by adding even mythical ideals. Its main subject matter includes harvest feasts of collective farms, imaginary socialist cities, grand marches of heroic laborers and in this way it served as a propaganda for a sacred utopia of socialist totalitarianism. On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however, rose the second camp of art, which put an emphasis on bona-fide artistic activities of plastic art and on an artist's personal expression and freedom, as opposed to the surface optimism of Socialist Realism. Central to the Russian Avant Garde art, which prized the above-mentioned values, were Malevich's Geometric Abstraction and A. Rodchenko's Constructivism. Furthermore, in the transitional era of the late 20th century and the 21st century it was recognized that film art or electronic media art, rather than traditional genre of paintings, would function as a more efficient way of propaganda. These new genres were made possible by ridiculing the stereotypes of the Russian lifestyle and also by ignoring ethical or professional dimensions of artworks. That is, they reinvented themselves into a sort of field art, seemingly degrading the quality of artworks and transforming them into artifacts or simulacres in the very sense of post-modernism. The advent of the new era brought about the formation and occupation of pop culture of the younger generations, calling into question the idea of art as the class-determined. It also increased the attention to field art, which extensively found way to modern art centers, galleries, and exhibition projects. It can be stated that this was a natural outcome of human nature.
        5,200원
        1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examines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fter the CulturalRevolution(1966~76), focusing upon so-called “Chinese Pop art”, which I termed as“Socialist Pop art”. I considered the art of this period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socialchanges especially after the Tienanmen incident of 1989.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during which idolization of Chairman Mao was at itspeak, one of the major changes in communist China was that an anti-Mao wave wasgenerated in almost every social class. For example, novels that revealed the hardships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were published. Posters that openly criticized the Maoismwere also produced and displayed on the walls, and demand for democracy spurredwidespread activist movements among young generations. These broad social changeswere also reflected in art. A variety of art movements were introduced from the West toChina, and after a period of experimentation with the new imported styles, artists began toapply the new artistic idiom to their works in order to visualize their own social andpolitical realities they lived in. It was a shift from earlier Socialist Realism to a newexpression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Socialist Pop”, an amalgam of Socialist Realism andPop art tradition. After the 1989 crackdown of Tienanmen Square protest, when communistgovernment quelled with brutal measures the students, workers, and ordinary people whorose for democracy, greater urge to protest the Deng Xiaoping regime emerged. This timecoincided with the gradual emergence of art using Pop art vocabulary to satirize the socialreality, the Socialist Pop art, along with many other art forms all with avant-garde spirit.One of the most frequent subjects of Chinese Pop art was visual images of ChairmanMao and his Cultural Revolution, and new China that was saturated with capitalism, whichtainted the Chinese way of life with a Western way of consumerism and commercialism.The reason for the popularity of Mao’s image was spurred by the “Mao Craze”in the early1990’s. People suddenly began to fall in a kind of nostalgia for the past, and once again,Mao Zedong was idolized as an entity who can heal the problems of modern China whohad been marching towards their ultimate destination, the economic development. But this time Chairman Mao was no more an idol but just a popular, commercial product. He is nomore an object of worship of almost religious nature but he has become an iconographysymbolizing the complex nature of present Chinese society. During this process ofdepicting the social reality, Chinese artists are making the authority and sanctity of Maoismineffective. Dealing with this new trend of contemporary Chinese art in view of “Socialist Popart”two manners of re-creating Pop art can be illustrated: one that incorporates thepropaganda posters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other borrows from Chinese traditionalpopular imagery or mass media, such as photos taken during Mao era. What is worthmentioning is that these posters and photos of the Cultural Revolution can be identified as‘popular’media, as they were directed to educate the popular mass, thus combination ofthis ingenuous pop media with Western Pop art can be fully justified as a genre unique toChina. Through this genre, we can discover a new chapter of the Chinese contemporarypainting and its society, as their Pop art can be considered as self-portraits true to theirpresent appearances.
        6,100원
        17.
        200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9.
        199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