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어의 구조 안정성 및 치물림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이 널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퍼 기어의 유한요소 모델 링 조건이 해석 결과 및 간소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어 구조 해석의 간소화 방법으로 기어 몸체 및 잇수 간소화, 요소 망 생성 방식, 접촉 및 마찰 조건, 해석 조건 등을 선정하였다. 기어의 성능해석 지표로써 1주기의 기어 치물림 사이클 동안의 정전달 오차를 계산하였고, 간소화 지표로써 해석 소요 시간을 측정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치물림 주기에 따른 접촉 응력 분포 및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모델링 조건에 따라 최대 전달 오차와 해석 소요 시간에 차이를 확인하고 원인을 분석하였다.
        4,000원
        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evaluated based on the items of KS B 6389. The study on the calculation of angular error and measurement uncertainty of HRc hardness measurement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using Rockwell measurement specimens with different hardness values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indenter part of the hardness tester and the specime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est statistic P values ​​for angle changes such as 0°, 1°, and 2° were all 0.000 using the HRc 30 and 40 measurement specimens, so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experiment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ed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extended uncertainty value was calculated as 0.612 at the 95.45% confidence level, and the fact that the hardness test value came out smaller than the existing test value as the inclination angle increased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4,000원
        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using a 100mm gauge block in a contact-type three-dimensional measuring machine surface plate, an NPL-type angle measurement, and a steel ruler, the specimen was measured at 0°, 5°, 10°, 20°, 30°, and 40° along the X and Y axes. After setting the measurement conditions, the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onfirmed by repeating measurements for each yield 10 times. After checking the statistical test value (P) through ANOV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gle change and the error was checked.
        4,000원
        5.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rror between the speed display of the speedometer and the speed display of the navigation occurs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vehicle which makes most of the driver confused and also experience anxiety hence in this paper, by the car management law number 73 (2), tests were conducted with following procedures measured by standard speed tester to analyze the error clearl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installing a car on a speed tester with a speed difference of 10km/h from 30 to 80km/h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nd the vehicle. The result was obtained by measuring differences of the speed display error between the speedometer and navigation when driving the car on the road at the same speed. With the standard speed gauge at 40km/h, error percentage of the speed tester and Morning was 15.9% (5.5km/h) and Sonata was 6.4% (2.4km/h). The error percentage between different car company models was 9.5%. With the standard speed gauge at 40km/h, the error percentage of speed displayed by navigation and Morning was 14.2% (5km/h) and Sonata was 5.3% (2.4m/h). The error percentage between different car company models was 9.6%(3km/h). It was shown that according to the standard safety and rules of the speedometer, the cars were manufactured considering the safety.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speed tester and the navigation was 1.7% (0.5km/h) for Morning, 0.6% (0.2km/h) and 1.1% (0.3km/h) for Trax.
        4,000원
        6.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20대 안질환이 없는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정상안에서 양안시 검사의 기본 검사값인 사위도와 버전스의 검사오차 요인을 분석 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남자 8명, 여자 12명(총 20명)을 대상으로 포롭터 (TOPCON VT-10)를 통해 자각적 굴절검사를 완전교정 후 원근거리 수평사위도와 원근거거리의 음성 및 양성 융합버전스를 측정하였다. 결과: 원거리 수평사위 값은 평균 1.25△ 외사위로 모건의 기댓값 대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의 흐린점과 파괴점 및 회복점 평균값이 X/11/6로 안정적인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의 평균값은 17/37/14로 모건의 기댓값인 9/19/10 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또한 동일 검사자별로 검사결과의 차이가 많이 발생 되었다.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와 원거리 양성 융합버전스 검사에서 검사자별 결과 값의 차이가 많이 발생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피검사자들의 원거리 사위검사 시 평균값과 모건의 기댓값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BI 프리즘 쪽으로 결과가 더 높게 나타났지만 검사결과에는 큰 오차를 보이지 않았다. 근거리 양성 및 원거리 음성 융합버전스의 측정 시 측정오차가 많이 발생되어 검사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application areas based on M2M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and Io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are expanding rapidly. Accordingly, water flow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improvements are being pursued by applying this technology to water and sewage facilities. Especially, water management will collect and store accurate data based on various ICT technologies, and then will expand its service range to remote meter-reading service using smart metering system. For this, the error in flow rate data transmitting should be minimized to obtain credibility on related additional service system such as real time water flow rate analysis and billing. In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the structural problems in transmitting process and protocol to minimize errors in flow rate data transmission and its handling process which is essential to water supply pipeline management. The result confirmed that data acquisition via communication system is better than via analogue current values and pulse, and for communication method case, applying the industrial standard protocol is better for minimizing errors during data acquisition versus applying user assigned method.
        4,000원
        8.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위성관측 표면온도 및 해당 온도경향의 불확실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북반구(30-90˚N) 해양 지역에서 2003-2014년 4월 16-24일 기간에 세 종류의 위성관측 자료(MODIS IST, AIRS/AMSU SST, AIRS only SST)를 상호 비교하였다. AIRS/AMSU 표면온도값에 비하여 MODIS는 해빙과 해수의 경계지역에서 계통적으로 최대 1.6 K 높은 반면에, 해빙 지역에서는 2 K 낮았다. 이러한 주요 원인은 표면온도 산출알고리즘의 해표 정보(e.g., 해빙 탐지)를 위하여 MODIS는 적외 채널만을 사용하는 반면에, AIRS/AMSU는 마이크로파 및 적외 채널을 함께 사용하는 데에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s Goddard Space Flight Center; NASA/GSFC)은 AMSU-A의 노후화를 대비하기 위하여 AIRS/AMSU 알고리즘을 일부 수정하여 AIRS only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AIRS/AMSU와 AIRS only 표면온도 사이에 평균 제곱근 오차(RMSE)값은 30-90˚N 해양 지역에서 0.55 K이며, 편차(bias)는 0.13 K이었으며, 해빙/해수 경계 지역에서는 이들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해빙 경계지역에서 AIRS/AMSU와 AIRS only 간의 차이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큰 이유는 AIRS only 알고리즘이 AMSU 마이크로파 자료 대신에 GCM (NOAA Global Forecast System) 온도 산출물을 사용하는 데에 있다. 세 종류의 위성관측 표면온도 자료는 70-80˚N 위도대에서 유의적인 온도증가(0.23-0.28Kyr-1)를 보였다. 위성관측 표면온도들 간에 계통적인 불일치는 같은 방향(온도증가 또는 온도감소)으로 해당 온도경향 값들 간의 차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5,400원
        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Q-MRA의 검사는 주로 뇌혈관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로 검사하여 수술의 성공 여부와 질환의 재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한다. 이밖에도 밝혀지지 않은 뇌혈류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도 시행하여 비침습적으로 좀더 빠른 진단을 돕고자 검사를 시행한다. QMRA의 경우 뇌혈관 질환의 정량적 혈류량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검사과정 중 혈관의 contours를 그려서 혈류량을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환자의 질환, 상태, 호흡, 맥박, 검사자의 숙련도 등의 오차로 가동적인 혈관의 contours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다. 본원에서는 이러한 오차를 줄이고 정확한 contours를 그리고 정량적 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Auto program contours 검사법 대신 Manual program contours검사를 시행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 검사장비 •MRI 장비 : Achive 3.0 TX(Philips medical system) •신호수집 coil : 32 channel head coil. •혈류량 측정:Non-invasiveOptimalVessleAnallysis( NOVA7.0.3 T3, VaSol) •혈관직경의 비교측정 : Philips work station 2. 검사대상 : 2013년 1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본원에 뇌혈관 질환과 관련 있는 의심 환자(stent insert post-operation surgery 환자와 aneurysm clipping post-operation 환자를 포함한) 16명(남자:8명, 여자:8명, 평균연령은 62.0세)를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시행하고 평가 했다. 3. 검사방법 : Q-MRI에서는 phase contrast image를 사용하여 NOVA 장비를 이용해 각각의 CCA, VA의 직경을 auto와 manual로 측정하고 flow rate을 비교하였다. 혈관 직경은 Philipsworkstation에서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했다. 결 과 : Auto contours와 Manual contours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ilips wortkstation에서 측정된 혈관 직경을 기준으로 CCA의 Auto contours 평균오차(직경)는 10.35%, Manual contours 평균오차(직경) 5.14% 이었다. 그에 따른 Auto flow rate 평균값 380.06(ml/sec), Manual flow rate 평균값376.71(ml/sec) 이었다. BA의 Auto contours 평균오차(직경) 14.59%, Manual contours 평균오차(직경) 9.97% 이고 그에 따른 Auto flow rate 평균값 125.65(ml/sec), Manual flow rate 평균값 125.71(ml/sec) 이었다. CCA에서 contours의 직경 5.21%만큼의 오차에 따라 diameter에 변화가 생겨 오차가 적은 Manual과 비교하여 flow rate도 1.02%만큼의 변동이 있었고, BA에서 contours의 직경 4.62%만큼의 오차에 따라 diameter에 변화가 생겨 Manual과 비교하여 flow rate도 약 -0.72%만큼의 변동이 있었다 결 론 : QMRA 검사시 flow rate는 뇌혈관 질환 환자들에게 있어 중요한 기능적 검사이다. 이로 인하여 병변부 재발의 가능성과, 앞으로 생길 수 있는 질환의 예방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검사이다. flow rate에서 혈관의 diameter의 중요한 factor이고 이를 정확하게 구하는 것은 정량적 검사의 목표이기도 하다. Manual contours 작업시 혈관직경의 오차가 줄어들었지만 혈류량에는 크게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Philips Work station과 Manual contours 작업의 혈관직경의 오차가 Auto contours작업의 혈관직경 오차보다 작은만큼 보다 정확한 정량적 혈류량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사료된다.
        1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f many approaches to reduce motion analysis errors, the compensation method of anatomical landmarks estimates the position of anatomical landmarks during motion. The method models the position of anatomical landmarks with joint angle or skin marker displacement using the data of the so-called dynamic calibration in which anatomical landmark positions are calibrated in ad hoc motions. Then the anatomical landmark positions are calibrated in target motions using the model. This study applies the compensation methods with joint angle and skin marker displacement to three lower extremity motions (walking, sit-to-stand/ stand-to-sit, and step up/down) in ten healthy males and compares their performance.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s, two sets of kinematic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different two marker clusters, and the difference was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the compensation method with skin marker displacement had less differences by 30~60% compared to without compensation. And, it had significantly less difference in some kinematic variables (7 of 18) by 25~40% compared to the compensa- tion method with joint angle. This study supports that compensation with skin marker displacement reduced the motion analysis STA errors more reliably than with joint angle in lower extremity motion analysis.
        4,000원
        1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measure uncertainties involved in the analysis of gaseous VOC standards prepared at various dilution stage. A GC/FlD system equipped with air server/thermal desorption (AS/TD) unit was used to draw calibration curves for the known amounts of VOC gases (including benzene, toluene, xylene, and styrene) prepared at four individual concentrations (10, 20, 50, and 100 ppb). The calibration curves obtained from standards of each respective concentration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t was found that the loss of samples was more prominent with decreasing standard concentrations (e.g., one prepared at 10 ppb) and that the heaviest compound, styrene exhibited the most noticeable loss than the others. In this study, an ancillary experiment was also conducted to evaluate the compatibility of standards between gaseous (using Tedlar bag) and liquid phases (using tube method).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the compatibility between two standard type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recovery ratio between gas and liquid: 56 (benzene), 42 (toluene), 31 (p-xylene), and 25% (styrene).
        4,000원
        13.
        2006.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onsider a mixed model with covariates considered as fixed effects and a random factor. In this paper, we consider methods for constructing confidence intervals on measures of variability in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study to the mixed model with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Computer simulation is used to determine how well confidence intervals maintain the stated confidence level and compare confidence interval lengths for the methods. A numerical example is considered to illustrate the confidence intervals proposed.
        3,000원
        14.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불연속 근사변위함수와 보조받침을 이용한 특이기저함수를 도입하여 균열의 불연속성과 특이성을 구현한 개선된 EFG(Element-Free Galerkin) 균열해석기법이 제안되었다. 개선된 EFG 균열해석기법은 균열의 성장에 따른 해석모형의 수정 없이도 높은 정확도로 균열전파해석을 수행할 수 있지만, 다른 무요소법과 마찬가지로 해석결과가 사용되는 해석계수에 의존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EFG 균열해석기법에서 사용하는 해석계수 즉, compact 받침 크기, 팽창계수, 선단주변에서의 형상함수의 평활화, 보조받침을 사용하는 절점개수가 수치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균열문제에 대한 patch 시험을 통해 응력에 대한 L오차노름과 응력확대계수를 산정하여 해석계수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해석계수의 선택에 대한 지침으로 제시된다.
        4,200원
        15.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이 항해 중 침로와 속력의 변화가 NNSS 측위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성별, 위성통과방향별, 앙각별로 계산기 simulation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위성의 앙각과 통과방향이 일정한 경우 위성의 종류에 따른 측위정도는 그 차이가 거의 없었다. 2. 속력오차에 의한 측위정도는 선속의 대소에는 관계없이 선속오차의 절대치에 비례하고 선박의 침로에 따라 달라진다. 3. 속력오차가 일정할 경우 위성의 통과방향에 따라 측위정도가 달라지며 동측북상과 서측남하인 경우와 서측북상과 동측남하인 경우는 서로 비슷한 측위정도를 나타내었다. 4. 선박의 침로가 남북방향일 때가 동서방향일 때보다도 오차가 크며 앙각이 높을수록 오차도 더욱 컸다.
        4,000원
        1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the error factors of cable tension estimation method using linear regression and suggests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ension error. The tension estimation method using linear regression is affected by errors such as boundary condition, natural frequency, cable length, and mass density. The boundary condition error analyzes the error rate for the case where the error occurs the greatest. The error of mass density and length is analytically derived, and the error of measurement natural frequency is analyzed by Monte Carlo simulation. Among these errors, the boundary condition error and the measurement natural frequency error are expected to be able to present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error that can be caused to the estimated tension by the corresponding error factor.
        17.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ference setting based on the runoff video of 9:00 where the highest water level of 3.94 m has been recorded during the runoff of Cheon-mi Stream in Jeju Island by the attack of Typhoon no. 16 Sanba on September 17th, 2012, the error rate of long-distance and short-distance velocimetry and real-distance change rate by input error have been calculated and the input range value of reference point by stream has been suggested. In the reference setting process, if a long-distance reference point input error occurs, the real-distance change rate of 0.35 m in the x-axis direction and 1.35 m in y-axis direction is incurred by the subtle input error of 2~11 pixels, and if a short-distance reference point input error occurs, the real-distance change rate of 0.02 m in the x-axis direction and 0.81 m in y-axis direction is incurred by the subtle input error of 1~11 pixels. According to the long-distance reference point setting variable, the velocity error rate showed the range of fluctuation of at least 14.36% to at most 76.06%, and when calculating flux, it showed a great range of fluctuation of at least 20.48% to at most 78.81%.
        18.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ong agronomists, there appears to be a confusion in selecting among standard deviation (SD), standard error (SE) and confidence interval (CI) in reporting their results as figures and graphs. If there is a confusion in selection among them, there should also be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results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This review paper aims to help researchers better suited for reporting their results as well as interpreting others by revisiting the definition of SD, SE and CI and explaining in plain words the concepts behind the formula. A variation among observation obtained from an experiment can be explained by the use of SD, a descriptive statistic. If one wants to draw an attention to a variation observed among plant germplasm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or countries, SD can be reported along with the mean so that readers can get an idea how much variation exists in the particular set of germplasm. When the purpose of reporting experiment results is about inferring true mean of the population, it is advised to use SE or CI, both inferential statistics. For example, a certain chemical compound is to be quantified from plant materials, estimated mean with SD does not tell the range where the true mean content of the chemical compound would lie. It merely indicates how variable the measured values were from replications. In this case, it would be better to report the mean with SE or CI. The author recommends the use of CI over SE since CI is a sort of adjusted SE. The adjustment comes from t value that considers not only the probability but also n size.
        19.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gion-specific trends in chang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n incineration plants of local government where waste heat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are reused for the recent five years (2009 to 2013). The greenhouse gas generated from the incineration plants is largely CO2 with a small amount of CH4 and N2O. Most of the incineration plant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 produce steam with waste heat generated from incineration to produce electricity or reuse it for hot water/heating and resident convenience. And steam in some industrial complexes is supplied to companies who require it for obtaining resources for local government or incineration plants. All incineration plants, research targets of this study, are using LNG or diesel fuel as auxiliary fuel for incinerating wastes and some of the facilities are using LFG(Landfill Gas). The calculation of greenhouse gas generated during waste incineration was according to the Local Government's Greenhouse Emissions Calculation Guideline. As a result of calculation, the total amount of greenhouse gas released from all incineration plants for five years was about 3,174,000 tCO2eq. To look at it by year, the biggest amount was about 877,000 tCO2eq in 2013. To look at it by region, Gyeonggido showed the biggest amount (about 163,000 tCO2eq annually) and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per capita was the highest in Ulsan Metropolitan City(about 154 kCO2eq annually). As a resul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calculation, some incineration plants showed more emissions by heat recovery than by incineration, which rather reduced the total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or more accurate calcul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future, input data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improved.
        20.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면적평균강우량의 산정은 가용 수자원의 정확한 양을 파악하고 강우-유출해석에 필수적인 입력자료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면적평균강우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은 강우관측망의 균일한 공간적 분포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향상된 유역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관측망의 공간분포 평가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5대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최근린 지수(nearest neighbor index)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유역별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가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5년~2014년의 강우사상에 대해 산술평균법, 티센가중법, 추정이론을 이용하여 면적평균강우량을 산정하고 각 경우에 대해 추정오차를 평가하였다. 적용 유역에 대해 수문학적 유출특성을 고려하여 분할된 중유역을 바탕으로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국토교통부의 강우관측망은 최근린 지수가 1이상으로 공간적 분포가 상당히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토교통부의 강우관측소 설치 목적인, 즉, 강우-유출 해석의 입력자료인 면적평균강우량을 정도 있게 추정하기 위한 목적에 상당히 배치된다. 아울러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오차를 공간분포가 우수한 중유역과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중유역에 대해 산정한 결과 공간분포가 떨어지는 중유역에서 상대적으로 면적평균강우량의 오차가 더욱 크게 산정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공간적 변동성이 큼으로 인해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에 큰 오차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면적평균강우량 산정 방법별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공간분포가 우수한 유역에서는 가중치의 편차가 작아 공간적 변동성이 작음을 재확인하였다. 향후 관할 기관별 목적에 의해 강우관측망을 평가한다면 보다 설득력이 있는 관측망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