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우선 의미적 범주에서의 상의 개념을 정리하고 문법상을 정의하였다. 유형론적 시각에서 상은 크게 ‘완전상-비완전상’의 대립을 가진 공간적 경계상과 ‘완료상 -비완료상’의 대립을 가진 시간적 단계상으로 나뉘는데 한국어와 중국어는 ‘상황을 바라보는 시선의 위치’에 초첨을 두는 시간적 단계상에 속한다. 그리고 범언어적인 문법상의 하위 범주들을 검토하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되는 상 표지를 살펴보고 문법상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기존의 상 체계와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제시하였다. 또 한 전형적인 몇 가지 한중 문법상 표지의 구체적인 분포와 의미를 고찰하고 상응한 상 범주 유형과 의미영역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한중 상 체계에서 한 형태표지가 여러 상 범주에 걸쳐 나타나는 현상에 관하여 상 표지의 문법화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그 이유와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The fashion industry analyzes the value of its essence with ecological design and is expressed as an innovative sculpture using digital technology.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ecological images and digital technologies, categorizes types and derives their meanings through analysis of ecological images shown in modern digital fashion. A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on ecological images and digital technolog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analyze the expression type and internal meanings of ecological images, designs with ecological formability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related journals, books, and internet sites. The finding are as follows: The expression type was first identified as organic curved garment silhouettes of a non-material liquid with digital retouching. Second, ecological fashion design includes structural shape that applies the silhouette of an organism and patterning of the ecosystem. Third, ecosystems consist of interactions between components of an ecosystem that appear in the interactive type. Accordingly, the internal meanings of ecological images in modern digital fashion are: first, digital fashion can encircle the inherent concepts of nature as organic collections of individuals; second, digital ecological images emphasize a sense of community with coexistence and harmony, playing a complementary role; and finally, the images express perceptual features by providing people with transcendent exper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analyzes new formative features based on ecological systems in the digital fashion environment, establishes an aesthetic system through internal meanings, and enhances awareness of human-natural relationships.
『說文解字』 ‘足’部에는 85개의 한자와 4개의 重文이 수록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足’部 한자 중 重文을 제외한 85자를 살펴보고자 하며, 문자학적 관점과 의미학적 관점, 그리고 현재까지 상용되는 ‘足부 한자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문자학적 접근에서는 造字 방법에 따라 관련 한자를 육서의 개념으로 분류해보고, 한자 訓釋에서의 특징, 字義 해 석과정에서의 특징으로 나누어보며, 의미학적 접근에서는 ‘足’부 한자를 크게 명사와 동사로 쓰이는 경우로 나누어 분류해 본다. 현대한자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는 현대한자에서의 통용 여부, 이체자로 분류된 자형과 간체자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 및 의미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足’부 한자들의 자형과 의미의 특징들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래전부터 한국인이 애용해 온 기본 도형을 분석하여 의미와 상징성을 밝히고 그 유형을 분류하는 것이다. 선조들은 원, 네모, 세모 형태를 선호하였는데 한글에 ‘ㅇ, ㅁ, ㅅ’가 존재하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를 위해 고조선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복식과 유물 등에 나타난 기본 도형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도서, 인터넷 및 사진자료 등을 분석하였으며 도자기, 청동기, 복식 등 다양한 곳에 나타난 도형의 연결고리를 찾았다. 그 연구결과 첫째, 원은 하늘, 해, 달, 별, 청동거울, 얼굴 등을 상징하는데 일찍이 천문관측이 발달했던 사실과 원형제단이나 제사장의 표징인 원형 청동거울이 이를 뒷받침한다. 둘째, 땅(地)을 상징하는 것은 네모라고 보았다. 하늘과 땅신에게 모두 제사를 지냈었고 네모는 부족 공동체의 안녕과 풍요를 담은 현실을 의미하는 형태이다. 마름모형이 더 많이 애용되었는데 이는 힘을 상징하는 세모가 두 개나 들어있는 형태이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셋째, 빗살무늬 토기에서도 나타나지만 뫼 ‘山’과 사람 ‘人’ 및 모자나 마늘의 형태 또는 나 ‘厶’ 등으로부터 세모가 파생되었다고 보는데 하늘, 땅 다음으로 사람이 중요하다는 고대인의 사고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아름다운 유산인 기본 도형의 연구를 통해 한국역사의 오랜 전통과 정신을 이해하고 새로운 창조문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이 글의 주요 연구 대상은 한국어 동의어이다. 한국어 어휘 중에서 의미가 비슷한 어휘가 많다.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중국어 학습자들은 어떻게 의미가 비슷하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는 어휘들을 정확히 구분해서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표현하고자 하는 뜻에 가장 어울리는 동의어를 선택해서 활용하는 것은 복잡한 일이다. 그래서 본문에서 한국어 동의어를 완전동의어와 부분동의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완전동의어의 유형 및 대응관계를 살펴보고 그 다음에 부분동의어의 의미차이 유형을 사용대상 및 사용환경 등 미세한 차이를 10가지로 나누어 제시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런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각기 의미차이와 적절한 사용 대상이 있는 동의어들의 정확한 사용에 길잡이가 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semantic types of subordinate compound wor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irst, we discussed the concept of subordinate compound words, then analyzes the concept and the location of the head words in the subordinate compound words. We know that Korean is the head-final language, for the head of is at right. On the contrary, the location of the head of Chinese compound words is not fixed. There are many left-head word structure of compound words in Chinese nouns, verbs and adjectives. By analyzing the semantical structure of the compound words, most of the words are the right-head structure in both korean and Chinese. There are many left-head semantic structure of subordinate compound nouns, verbs and adjectives. By contrast, there are a little left-head semantic structure of subordinate compound verbs and adjectives. There are many same points in right-head semantic structure of subordinate compound. In chapter 4, By analyzing the specific words, we studied the semantic types of subordinate compound nouns, verbs and adjectiv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inally, we came to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We wish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semantical structure of coordinative compound wor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re are four kind of 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of coordinative words, that is overlapping, complementary, contiguous, inclined etc.
Furthermore, in this paper we analysed the figurative meaning of coordinative words from cognitive linguistics. especially viewed from the metaphor and metonymy points. and analysed the reason of the figurative meaning of coordinative viewed from extension of meaning and semantic shift.
Finally, we discussed the cultural connotation in the coordinative compound words from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standard, the semantical compound words can reflect the same and different social culture features of Korea and China. Both Korea and China are seated east Asia, so there are so much same social culture. such as, 'male superiority' etc. We wish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the relation of them.
Kim Eunil & Park Soonhyuck. 1997.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of English Sentences Based on Syntactic and Semantic Types. Studies in Modern Grammatical Theories 11: 1-16. Our database is to help researchers easily find the type of English sentences they want to discuss by clicking syntactic and semantic types or typing in words. The database written by MS Visual Basic 4.0 and MS Jet Database Engine 3.0 has 3 modules--i.e. search, input, and DB manager. The search module helps users find English sentences discussed in linguistic journals by using 62 syntactic/semantic types, words, sources, or grammaticality. The input module helps users make his/her own database while the DB manager merges two DB f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