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suring operational safety and reliability in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necessitates advanced onboard fault detection. This paper presents a novel, mobility-aware multi-sensor health monitoring framework, uniquely fusing visual (camera) and vibration (IMU) data for enhanced near real-time inference of rotor and structural faults. Our approach is tailored for resource-constrained flight controllers (e.g., Pixhawk) without auxiliary hardware, utilizing standard flight logs. Validated on a 40 kg-class UAV with induced rotor damage (10% blade loss) over 100+ minutes of flight, the system demonstrated strong performance: a Multi-Layer Perceptron (MLP) achieved an RMSE of 0.1414 and R² of 0.92 for rotor imbalance, whil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detected visual anomalies. Significantly, incorporating UAV mobility context reduced false positives by over 30%. This work demonstrates a practical pathway to deploying sophisticated, lightweight diagnostic models on standard UAV hardware, supporting real-time onboard fault inference and paving the way for more autonomous and resilient health-aware aerial systems.
        4,800원
        3.
        202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늘어나는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하도로 건설이 추진 중이다. 지하도로 건설 시, 진출입부에서의 차량 간 합류 및 분류로 인해 교통정체 및 안전성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교통정체가 빈번히 발생하는 경부고속도로 금토JCT-양재IC 구간에 서울-용인 지 하도로, 양재-한남 지하도로, 양재-고양 지하도로 건설이 예정되었다. 특정 구간에 다수의 지하도로 건설 시, 접속부 배치 및 위치에 따라 이동성 및 안전성이 변화할 것으로 고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용인 지하도로와 양재-한남 지하도로, 양재-고양 지하도로에 대한 접속부 배치 및 위치에 따른 이동성 및 안전성 분석을 통해 교통혼잡 완화 및 교통안전이 증가하는 지하도로 연계 방안 도출하 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도로 연계 방안별 이동성 및 안전성 분석을 위해 4가지 시나리오 (1안 : 지하도로 미시행, 2안 : 지하도로 미 연계, 3안 : 양재-고양 연계, 4안 : 양재-한남 연계)를 선정하였다. 교통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지상도로 및 지하도로 네트워크를 구축 하고 지하도로 내 차량 주행행태를 구현하였다. 이동성은 평균 통행속도와 통과교통량비로 분석하였으며, 안전성은 상충률을 통해 분 석하였다. 이동성 분석결과, 지상도로 합류부에서는 시나리오 3안 (양재-고양 연계)이 지하도로에서 합류되는 교통량이 가장 적어 모 든 이동성 평가지표에서 가장 큰 이동성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지하도로 합류부에서는 시나리오 3안에 비해 시나리오 4안 (양재-한남 연계)이 이동성 개선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사 교통량 대비 차로수 증가 및 지상도로 합류부 정체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안전성 분석결과, 지상도로 합류부에서는 시나리오 3안이 안전성이 높았으나 지하도로 합류부에서는 시나리오 4안이 안전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나리오별 교통혼잡 완화 및 교통안전 증진 효과를 정량화해 지하도로 연계 방안 결정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에 반영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three-color arrow traffic light operations on right-turn vehicles at intersections in Busan Metropolitan City. METHODS : Intersections in this study were categorized as general intersections (Type 1), intersections with right-turn pockets (Type 2), and intersections with scramble crosswalks (Type 3), and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efficiency (i.e., control delay) and safety (i.e., number of conflicts) of right-turn vehicles by employing VISSIM 2023 and SSAM3. RESULTS : From a mobility perspective (i.e., control delay), the protected/permitted operation outperformed the other two methods at the three types of intersections. The protected operation,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protected/permitted operation, was also superior to the permitted operation in terms of safety (i.e., number of conflicts). CONCLUSIONS : Protected/permitted operation has been proven to be a more efficient and safer measure than other operation methods for alleviating the problems of protected right-turn operation, which is currently implemented without three-color arrow traffic lights.
        4,000원
        5.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We propose a framework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integrating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mobility data to produce the various data required for greenhouse gas emission estimation. METHODS : The mobility data used in the framework were collected at a fixed time from a specific point and were based on raster data. In general, the traffic volume for all traffic measurement points over 24 h can be considered raster data. In the future, the proposed framework can be applied to specific road points or road section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raster data. RESULTS : The activity data required to calculate greenhouse gas emissions were derived from the mobility data analysis. With recent developments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mobility data collected from different sources with the same collection purpose can be integrat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previously unknown or inaccurate information. CONCLUSIONS : This study will help assess the reliability of mobility data fusion as it is collected on the road, and will ultimately lead to more accurate estimate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4,000원
        7.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proposes an index for analyzing mobility based on smartcard and taxi data to evaluate imbalances in public transit. METHODS : The proposed mobility index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bility indexes of public transit and taxis using the variables of the in-vehicle time, waiting time, and driving ratio.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the distances are divided into short distances, medium distances, and long distances. RESULTS : Public transit mobility indexes are generally evenly distributed, but the taxi mobility indexes are located in the largest legend. When comparing the respective mobilities of public transit and taxis, many areas with a high mobility of taxis (similar to the distribution) exist, especially in the outskirts such as Dobong-gu, Nowon-gu, Gangdong-gu, Guro-gu, Geumcheon-gu, and Eunpyeong-gu. On average, the mobility of public transit according to the distance is smaller in a short distance and higher in a long distance. CONCLUSIONS : The results demonstrate the use of the proposed index for analyzing the basic statuses of complementary indexes for evaluating public transit imbalances. In the future, more detailed results (including socioeconomic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grid areas) should be studied to identify the impacts of the mobility index.
        4,000원
        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ccurrence of Laodelphax striatellus (SBPH) in Korea ranged 0.3-19.3 individuals in 2021, and 0.3-23.3 individuals in 2022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Nilaparvata lugens (BPH) was not observed in 2021, but N. lugens (BPH) showed the highest number(82.0 inds.) in late September of 2022. The occurrence of Sogatella furcifera (WBPH) was not severe during the study period. Compared to Korea’s situation, N. lugens (BPH) and S. furcifera (WBPH) in Asian regions showed high occurrence in Bangladesh and Sri Lanka. The results of the field survey could be confirmed with the occurrence pattern of about once or twice in their regions. Continuous monitoring is required for the best control of planthopper species in rice production regions of Asia. We anticipate that exchange of occurrence in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 control cooperation system will improve rice productivity in Asian regions by preventing outbreak of planthopper species and reducing damages caused by the species.
        4,000원
        10.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강하굿둑의 건설로 원활한 용수 공급이 이루어졌으나, 하구 수생태계의 종적 연결성을 단절시켰다. 이에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2017년부터 낙동강하구역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었다. 낙동강 하구에는 다양한 어종이 서식해 왔으며, 이들의 서식·이동 특성은 상이하므로 이를 고려한 수문운영은 기수생태계 복원에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하구에 서식·이동하는 어류를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방류 시 수문운영 형태별, 개도별 평균 유속을 산출하여, 어종에 따른 원활한 소상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어종을 선정하고, 주 분포 수심에 따른 수문운영 형태를 제시하는 등 낙동강 하구역의 기수생태계 복원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문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4,500원
        1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는 동남아에서 매우 중요한 작물이며 작물 재배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벼 생산량 증대를 위해 주요 문제 해충인 멸구류를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제 방법으로는 농약을 이용한 방제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규정상 농약은 공인 된 등록약제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동남아 주요 벼 재배국가의 방제 농약의 정보는 국내에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멸구류 방제용 등록 약제를 소개한다. 1. 등록 약제는 국가별로 소폭 차이는 있으나 그 계통이 네오니코티노이드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였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동일 약제의 연용으로 인한 저항성 발현 문제가 잠재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2. 이는 동남아만의 문제가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기류를 타고 멸구류가 비래해오는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따라서 향후 동남아 국가간 공동방제 등 상호협조가 필요하며, 농촌진흥청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AFACI 사업을 통해 국가별 약제저항성 검정 및 방제 표준화기술 확립 등과 같은 지원에 협력을 해주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reduce the pose error and to solve the dead reckoning issue which occurs when the mobile robot with continuous-tracks travels in the unstructured environments. When the continuous-track type mobile platform travels on terrain such as sand, gravel, stairs and etc., slippage occurs and thus the driving state of the mobile robot cannot be recognized normally. To compensate for this pose error, the proposed method utilizes optical flow estimation detected by camera. This method is tested through experiment. Finally, This method reduces the pose error detected on inertia measurement unit within some limit, while the pose error of without compensation increases without limit during robot move.
        4,000원
        1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큰입배스(Micropterus salmoides)는 우리나라의 도입된 뒤 포식활동으로 종 다양도를 감소시켜 수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는 대표적인 생태계 교란 외래어종이다. 이러한 배스는 큰 강이나 흐름이 보가 건설된 하천, 저수지, 호수등 정체된 수역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관련 연구는 주로 어류 채집이 용이한 봄, 가을철에 이루어져왔으며, 국내에서 겨울철 배스의 월동 특성 및 이동성에 대한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외에서 어류군집의 분포 및 이동성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향학적 조사기법 (Echo-sounder survey technique)을 이용해 이루어진 배스의 이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및 월동기간 배스의 이동성 및 선호 월동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에 위치한 총길이 2.2km의 고복저수지의 유입부, 중앙부, 댐 앞 지점에 설치한 3개의 SUR(Submersible Ultrasonic Receiver)로부터 얻어진 Transmitter를 삽입하여 방류한 큰입배스 2개체의 2017년 2월부터 3월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또한 해당 저수지의 어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2017년 3월 측정된 Acoustic Echo-Sounder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방류된 두 마리의 큰입배스는 평균수심이 5m이고 하상이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저수지의 중앙부에서 2월 11일부터 3월 11일까지 한달동안 움직임이 관측되었으며, 평균 수심이 9m이며 하상구조가 주로 돌과 바위로 이루어진 댐 앞 구간에서는 3일동안 움직임이 관측되었다. 평균 수심이 0.7m이며 하상구조가 주로 진흙과 뻘로 이루어진 유입부에서는 움직임이 관측되지 않았다. Acoustic Echo-Sounder 사용 결과 주로 중앙부와 댐 앞 구간에서 다양한 수층에서 다양한 크기의 어류가 관측되었다.
        15.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new green light emitting compound based on tris (N-methylindolo) benzene (NMTI), anthracene and pyrene was synthesized. NMTI-An and NMTI-Py were used as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LED element to investigate the luminescence characteristics. The OLED device containing NMTI - NPB luminescent layer and hole transport layer (HTL) showed superior characteristics compared to NMTI-Py. The device exhibited maximum EL emission at 502 nm and 550 nm, CIE coordinates (0.38, 0.48) and a luminance efficiency of 2.06 cd/A. Also, when NMTI and NMTI-An were used as HTL instead of NPB, the device containing NMTI-An emitter showed 2.67 cd/A and 2.29 cd/A in luminescence efficiency.
        1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fter being subjected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small black beans (Rhynchosia nulubili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retained bioactive compounds. Using uncooked, pan broiled, boiled, steamed, and pressure cooked beans, the inhibitory effects of MCF-7 cell migration were evaluated at protein concentrations of 40, 160, and 640 μm/mL, using the Boyden's chamber assay. All protein concentrations (40, 160, and 640 μm/mL) of pan broiled bean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59.83, 32.48, and 21.37%, respectively) in the rate of cell migration to the lower chambers (p-value less than 0.001). Estimated cell migration rates correlated to the exponential decay between experimentally measured cell migration rates and converted samples. The range of estimated cell migration rate for each 100 mg/mL of cooked sample was as follows: pan broiled (21.16%), boiled (22.48%), steamed (22.48%), pressure cooked (29.52%), and uncooked (35.03%) beans. Our study indicated that selective modifications of cooking methods for small black beans, such as pan broiling, amelior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CF-7 cell migration. This suggests that optimized cooking methods increase the nutritional contents of the cooked food.
        4,000원
        1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수행, 이동성 및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령 운전자들의 이동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운전능력 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다양한 운전 상황을 도식적으로 제시한 후 각 상황에서의 운전능력을 주관적으로 평정하게 하였고. 객관적 수행은 운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대한 객관적 수행과 이동성 사이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주관적 평가와 이동성 사이의 상관은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이동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삶의 만족, 긍정 정서와는 정적 인 반면, 부정 정서와는 부적인 상관이 관찰되었다. 둘째,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주관적 평가가 높을수록 이동성 수준이 높았고, 이러한 높은 이동성은 다시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삶의 만족과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반면,부정 정서는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고령 운전자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객관적 운전수행보다는 운전 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가 더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4,300원
        1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의 핵심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어류의 어도이용 효 율성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고, 진단할 수 있는 다변수 어도 효율성평가모델(Multi-metric Fishway Efficiency Assessment Model, Mm-FEA모델)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 용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Mm-FEA 모델은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된 영산강 수계의 죽산 보에 적용평가 되었다. 통합적 어도평가 모델의 변수 지표 는 1) 어도의 구조적 특성, 2) 수리수문학적 특성, 및 3) 생물학적 속성으로 구성되었고, 9-메트릭 모델로 확립되었 다. 첫째, 어도의 구조적 특성 측면에서 M1: 어도 구조물의 경사도, M2: 어도폭/천변폭 비율, M3: 잠공부의 수류통과 용이성으로 구성되었고, 둘째, 수리수문학적 측면에서는 M4: 어도 유입 월류부의 수위, M5: 어도 유출 월류부의 수위, M6: 어도의 유속상태로 구성되었으며, 셋째, 생물학 적 특성 측면에서 M7: 보 상·하류 구간에서 채집된 종수 대비 어도 통과 어종 비율, M8: 어도 통과 어류의 체장 분포 특성 및 M9: 어도 내 회귀성/주연성 어종의 출현 빈도로 구성되었다. 죽산보 어도를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Mm-FEA 모델값은 25로서 어도효율성 평가등급은 5등급 시스템 기준에 의거할 때, 2등급인 “양호상태(good)"로 나 타났다. 본 Mm-FEA 모델은 전체 어류를 대상으로 어도 이동 효율성을 평가한 모델로서 현재, 영산강 죽산보를 대 상으로 어도 이동 효율성 평가가 이루어 졌는데, 향후 전국 4대강의 중·대형보에 모델을 적용 평가하기 위해서는 일부 메트릭 속성 및 지표특성에 대한 메트릭 보정이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되며, 일부 보정 과정을 거친 후 4대강의 보에 적용할 경우 좋은 핵심모델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
        19.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조품 이미지의 산자이 브랜드들이 최근 시장에서 급속도로 수용되어 주류 글로벌 브랜드를 위협하게 된 이유 는 무엇일까? 본 연구는 소비자의 사회계층 이동성 인식과 그에 따른 실용적 소비 마인드의 활성화가 소비자로 하여금 산자이 브랜드의 낮은 상징적 가치보다는 우수한 실용적인 측면을 중시하게 하였고 이에 따라 산자이 브 랜드 선호가 증가하게 되었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사회계층 이동성 인식과 산자이 브랜드 선호 사이의 인과관계 를 검증하기 위하여 행동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계층 이동성이 제한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경우에는(vs. 제한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하는 경우), 기능적, 실용적 측면에서 우수하나 브랜드 의 상징적 가치가 낮은 산자이 제품의 선호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현상은 낮은 사회계층 이동성 인식이 소비자들의 실용적 소비 마인드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이라는 것을 매개효과 검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 러한 결과는 최근 글로벌 사회에서 널리 담론화되고 있는 사회계층 이동성의 둔화가 소비자의 제품 평가와 선호 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700원
        2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령운전자의 이동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정적관계는 잘 알려져 있다(e. g., Collins, 2008). 그러나 본 연구에서 는 이러한 관련성이 고령운전자의 동기, 이동성 속성 및 정서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 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령운전자의 접근/회피동기에 따라 이동성 속성이 달라질 수 있는지, 그리고 이동성 속성 에 따른 삶의 만족 수준에서의 차이를 긍정/부정정서가 차별적으로 매개하는지 비교하였다. 132명의 만 65세 이 상 고령운전자를 대상으로 접근/회피동기 척도(BIS/BAS, Carver & White, 1994), 이동성 척도(장혜란 등, 2009), 긍정/부정정서 척도(SPANAS, Diener et al., 2009) 및 삶의 만족 척도(SWLS, Diener et al., 1985)를 사용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 사이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운전자의 접근동기는 사회활동을 위한 운전량 (Amount of Driving for Social Activity: 이하 ‘DSA’)에 정적으로, 반면 회피동기는 물리적 운전량(Amount of Driving Measured by Distance and Time: 이하 'AD')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접근동기는 DSA를 매개로 긍정정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회피동기는 AD를 매개로한 정서와의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둘째, 긍 정정서는 DSA와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AD는 정서성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 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고령운전자의 운전 속성, 동기, 정서성 그리고 삶의 만족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