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통 문화 유산은 고대 중국의 뛰어난 건축 기술과 미적 감각 을 보여주는 좋은 수단이며, 유구한 전통과 고유한 풍습을 고스란히 반 영하고 있다. 푸젠성 흙보루(土堡)는 주로 복건성에 분포하는 중국의 전 통 가옥 중 하나이며, 지역의 문화적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방어용 가옥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푸젠성 흙보루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푸젠성 흙보루에 나타나는 건축 문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흙 보루 문화의 전승 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장 조사 및 문 헌 분석을 기반으로 푸젠성 흙보루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공간 배치 의 측면에서 푸젠성 흙보루의 발생 배경과 건축 문화에 대한 정리 작업 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푸젠성 흙보루의 건축 문화에는 역사적 발전 배경, 부지 선정 문화, 공간 배치 문화, 기능적 구성 등 여러 요소가 반 영되어 있는데, 이는 특수한 역사적 배경 및 고유의 환경적 요소가 복합 적으로 결합한 결과이다. 푸젠성 흙보루의 건축 문화는 중국 전통의 건 축 문화에 기반하며, 최종적으로 지역의 자연 및 사회 환경에 적응하며 형성되었다. 본 연구가 지역의 전통 문화 전승과 중국의 전통 주거 문화 유산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거라 기대한다.
중국 동북지방의 조선족 전통민가는 함경도와 평안도, 그리고 만주 지방형을 토대로 다양한 평면구성형태를 구성하고 있 다. 특히 길림성, 흑룡강성, 요녕성 내륙지역과 중-러 국경지역에 산재된 조선족 민가는 두만강, 압록강 등 집중거주지역에 분포된 조선족 전통 민가와는 달리 이문화의 갈등과 동화 속에서 지역특성에 알맞은 공간형태의 변형을 돋보이고 있다. 그 중 띠캉 공간의 출현이 가장 대표적이다. 바닥을 원형으로 조성된 한족, 만주족 전통민가의 단순공간변형과는 대조적으로 조선족 전통민가의 띠캉은 마루방을 원형으로 주생활 행위의 계절성 변용에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띠캉(地炕) 공간을 중심으로 조선족전통민가의 공간변형과 주생활 양식의 변천에 대한 고찰을 통해 주문화의 전통지속과 농촌주거의 진흥에 도모하고자 한다.
중국전통민가건축은 다양화의 특점이 있다. 중국은 국토가 광활하고 다양한 지리환경이 있으며 따라서 생산생활방법과 종교신앙은 직접적으로 부동한 민족과 지역의 주거문화를 이루었다. 이런 다양한 전통민가건축은 중요한 역사문화유산으로 매우 높은 기술과 예술가치를 가진다. 북경전통사합원은 길림조선족주민은 각기 화북지역과 동북지역의 대표적인 건축으로 이들은 제각기 다른 지역요소와 기후요소의 영향을 받았고 따라서 서로 다른 지역특점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 문화학습 전통재료 및 민간 기예 등 면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런 차이점은 서로 다른 주거문화의 특성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or plan types of folk houses or traditional vernacular dwellings found in Nagan Folk Village located in Joellanamdo province. Examining the floor plans appeared among 36 vernacular folk houses presumably built in the 19th century in the village by means of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bays of Anche, the mail block of the house, the study was also able to construct a spatial compositional process of floor plan development. The floor plan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basic floor plan type in Nagan folk housing was 'ㅡ' shape, a typical southern dwelling based 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This basic type is consisted of three bays or rooms: Jeongji (kitchen), Anbang (large room), and Jageunbang (small room). New spaces or rooms are added to this three room house to expand the house as the residential functions become more complex, such as more living and storage spaces. The expansion appears to have two direction. On the one hand, it has been taken place by inserting Marea, an open wooden floor living space between Anbang and Jageunbang to meet the extended living demand. On the other, Jeongjibang, a second kitchen/storage has been attached to Jeongji outward for extra cooking and storage. This two-way expansion shows the trend of symmetric expansion between cooking, storing space and dwelling space. It can be implied that the arrangement of house rooms has been structurally formulated and shared by the farmer-builders in the 19th century in Nagan village who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fixed images for housing.
Through a field study of the folk houses, 'Closed ㄱㄴ Type' in Goyang-si, Gyonggj-do, focused on the dweller's life by the method of ethnographic interview, observation, and physical survey. L and opposite L type of inner and outer buildings form a closed inner court, and innermost backyard for woman is enclosed by fence. Form and space of the house contains dweller's traditional life. Outer space of a front gate becomes semiprivate space, for thrashing and piling up harvest and raising vegetables and pigs. Confucius principle does not fully dominate dweller's life of ancestral rite at Daecheong floor, and separation of man's and woman's quarter. Superstitious worship activities took place for lord of site and house. In everyday life, Anbang, inner main room, is assigned for parent's quarter instead of woman's quarter, and Geornbang, next room, was for son's family. Anbang has symbolic meaning for a place of deathbed. House contains agricultural activities, crop harvesting, thrashing, putting into storage, hulling rice, and keeping grain near kitchen. At present, rooms are needed more; sheds are made into rooms, rooms are enlarged toward outside, half outside space like Daechong floor becomes interior space by sash screen. And modern facilities of kitchen and bathroom are equipped for convenience. At the end, meaning and generative principle of those forms are discovered.
Accoring to many studies which concerned with the types of folk houses, there are many types of folk houses in Korean peninsula and its areal distribution had been determined by the barrier of mountains, in general. But we have neglected to examine the overlapped areal distribution still now. If two types of culture with different housing type contact at one region, it may interrelated each other and invent certain exclusive charicteristics. And there are its own attitude of traditional culture in Kyung-buk provingce where serveral types of folk houses settled togeth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general pattern of culture in terms of folk houses in northern Kyung-buk province and to suggest a clue to solve the cultural inter-relationship each other, By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plans in this area, the authors try to find out the charicteristics of the serveral types and there areal distribution. Finally, we can find out that certain types of folk houses located in northern Kyung-buk province had formed their cultural regions and these homogeneous regions are overlapped, partly.
중국 전통 민가는 인간의 지혜의 결정체이며, 인류 문화의 살아있는 화석으로, 그 중에서도 전통 민가는 오랜 세월 자연환경과의 융접을 통해 풍부하고 질박한 생태건축 사상을 담아 현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귀중한 경험을 많이 쌓았다.그 속에는 생태와 에너지 절약의 이념이 담겨 있다. 기남지역전통민가는자연환경,기후조건,생산방식,생활방식등의영향으로 입지, 공간배치, 용재, 조성기예 등에서 독특한 건축양식을 형성하고 있으며, 입지적응, 환경적응, 배치유연성, 에너지절약, 친환경 등의 전형적인 생태 이념을 보여주고 있다. 이 이념은 기남전통민가의 발전과 지속에 도움이 되며, 전통민가를 녹색생태건축으로 유도한다. 기남전통민가건축의 특색 및 생태이념에 관한 연구는, 현대 신농촌과 도시화 건설에서 새로운 민가의 발전과 조성에 중요한 귀감이 된다.본논문은기남섭현경락진(冀南涉縣更樂鎮大窪村)) 의 대와(大窪) 전통 정원을 예로 들며 영조 사상 및 건조 기예의 생태적 특징을 발굴하였다.전통민가건 축에 대한 생태이념의 전승 및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