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분매개곤충으로 중요한 산업적 가치를 지닌 꿀벌은 전 세계적으로 병해충에 의한 개체수 감소 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제기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질병저항성 꿀벌 계통을 선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꿀벌 육성 계통별 청소력(hygienic behavior)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는 질병 저항성 계통 선발에 관한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5종의 꿀벌 계통과 2종의 교배종 계통에 대한 청소력 평가를 Pin killed brood assay 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처리 24 시간 후 죽은 번데기를 제거하거나 개봉하는 능력이 60% 이상으로 청 소능력이 낮은 계통(non-hygienic)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반대로 죽은 번데기를 제거하거나 개봉하는 능력이 90%이상인 hygienic 계통은 C, D, E, F, ♀CX♂D 그리고 ♀FX♂D 계통인 것으로 드러났으며, 그 외 A 계통은 보통(intermediate)의 청소능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육성 계통 대부분이 높은 질병저항성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질병저항성 꿀벌 계통 선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거리청소년을 위한 문진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학생건강검사에서 사용되는 청소년을 위한 건강검진 문진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리청소년을 위해 별도의 문진표를 개발해야 하는 이유는 거리청소년들만의 독특한 생활양식이 일반 청소년과 는 다소 상반되기 때문이다. 청소년기에 가정을 떠나 장기적으로 거리를 배회하는 경우 위생과 영양결핍 그리고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우울, 불안 등과 같은 심리적⋅정신적 어려움 등을 호소하지만, 시의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거리청소년의 건강 수준을 파악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건강 정도를 스크리닝 할 수 있는 개별 문진표 마련이 시급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개발된 거리청소년을 위한 문진표는 거리청소년의 건강 관련 욕구를 직접적으로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 거리청소년의 건강 실태를 문진표를 통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적절한 의료지원을 제공한다면, 거리청소년의 건강 관련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 을 것이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new concept of a gripper mechanism mounted on the home cleaning robot. This new mechanism composed of two grippers and an auxiliary dustpan can tidy and load up objects. We additionally analyze the required motor torque and dynamic motion of this robot using dynamic simulation of Recurdyn. This new tidying gripper mechanism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home cleaning applications.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nge in lane reflection performance through lane washing and sweeping on highway lanes.
METHODS: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nges in lane reflection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lane washing and sweeping. The research method was as follows. First, we selected four research sites on the Gyeong-bu Highway. Second, the parameters affecting lane reflection performance are classified into luminance, brightness, and number of glass beads. Third, the change in reflec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after washing /sweeping at the same place after studying 60m of the unwashed/unswept area. Fourth, the measurement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lane washing/sweeping.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ne washing improved the luminance and brightness by 4.2~21.4% and 1.4~5.1%, respectively, and reduced the number of glass beads per wash by 0.2~1.2%. Second, lane sweeping improved the luminance and brightness by 2.3~8.5% and 0.8~2.3%, respectively, and reduced the number of glass beads per sweep by 0.8~4.9%.
CONCLUSIONS : By comparing the results of lane washing and sweeping, it was found that compared to lane sweeping, lane washing improved the luminance and fewer glass beads were dropped.
The consumer products in the living environments include a variety of chemicals which could be harmful in the human heal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halation exposure and risk for cleaning workers who had used bleach in the university. A total of 81 cleaning workers took part in this study. Frequency and amount of cleaning bleach during working hours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interviews. Exposure assessment was used by the exposure algorithm and exposure factors. Used cleaning bleach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ingredients, and risk by exposure was assessed by separating as carcinogen and non-carcinogen substances. The results of chemical substances and the questionnaire were used to assess the exposure factors, and the inhalation doses were calculated through inhalation exposure algorithm.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s for the cleaning workers, frequence of cleaning bleach was 11.66 ± 7.21 times per month. And average usage time and amount per cleaning work were 30.78 ± 36.00 minute and 20099.53 ± 12998.60 mg, respectively. Risks for carcinogenic substances of formaldehyde, ethylbenzene, and chloroform were exceeded by 56.79%, 27.16%, and 82.72% as the reference value of 10−6, respective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particles and bacteria from six types of household vacuum cleaners in the closed chamber. A test cleaner without HEPA filter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first one minute of initial operation, observing significant generation of airborne particles, and especially for particle size of 0.5 to 2.5 μm, the generation rate increased up to 68.5 × 103 particles/min. Concentrations of airborne particles and bacteria depends on the production year, the motor power, and the dust filter efficiency of the vacuum cleaner. The observed result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design of the vacuum cleaner as well as how they are operated in indoor environment.
도로에서의 강우유출수 내 포함된 오염물은 주요한 비점오염원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하여 많은 대책이 적용되고 있다. 도로청소에 의한 방법 또한 오염물의 강우유출에 의한 배출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 중의 하나로 인식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청소 시 수거된 토사입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퇴적토사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로 구간별로 도로청소에 의하여 저감할 수 있는 오염물의 양을 평가하였다. 도로청소를 통하여 수거된 퇴적토사는 모래질로 분석되었으며 세립토 비중은 낮은 결과를 보였다. 퇴적토사 내 오염물의 양은 토양환경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청소작업시 물을 살수함으로써 토사에 포함된 오염물이 세척되어 침출수로 미리 배출되는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두 도로구역에 대하여 오염물 농도, 발생 퇴적토사량, 오염물 원단위를 적용하여 저감할 수 있는 오염물 양을 평가한 결과, ○○지역에 대하여 TSS 31.4% 및 △△지역에서는 TSS 7.7%의 TSS 저감량이 도출되었다. 중금속과 같은 타 오염물의 경우 훨씬 낮은 저감량이 평가되었으나 이는 물의 살수로 인하여 퇴적토사 내 오염물이 침출수로 배출된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보다 정확하게 도로청소에 의하여 저감할 수 있는 오염물의 양을 산정하기 위하여 보다 자세하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