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4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Plate Count Agar (PCA; 48시간 배양)와 MC-Media Pad A.C+ (MMPAC+; 24시간 배양)의 검출 효 율과 정량 정확도를 비교하여 건조필름의 배양시간 단축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샐러드 60건에 대한 검출 효율 실 험에서 PCA는 6.1±1.0 log CFU/g, MMPAC+은 6.3±1.1 log CFU/g의 결과를 나타냈다. PCA와 MMPAC+의 P-value 는 0 .3 3 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관계수 (R2)는 0.5545로 상당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샐러드에 일 반세균을 저농도로 접종한 결과 PCA의 경우 3.3±0.1 log CFU/g, MMPAC+의 경우 3.4±0.1 log CFU/g로 나타났고 P-value는 0.251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 농도로 접종한 결과 PCA의 경우 8.9±0.2 log CFU/g, MMPAC+의 경우 9.0±0.3 log CFU/g로 나타났고, P-value 는 0.561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PCA(48시간 배양)와 더불어 MMPAC+ 건조필름을 24시 간 배양하여 일반세균 실험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 단되었다.
        4,000원
        2.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분리정제공정의 연구를 통해 비용 절감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정용여과 장치를 개발하여 바이오의약품 제조 공정에서의 완충액 교환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해 당 방법은 가변 부피 정용여과의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전량여과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완충액 사용량을 약 55%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역흐름을 통해 막의 파울링을 제어하여 초기 유량의 70%를 복구하며 유량의 감소를 완화할 수 있 었으며 교반을 통해 공정시간을 약 52.8%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새로운 정용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연속공정으로의 전환 을 제안한다. 공정의 체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초소형화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초소형화 공정을 통해 적은 용량을 사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신속한 공정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고농도에서의 추가 실험을 통해 상업용 공정에서의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증명이 필요하다.
        4,000원
        3.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mbrane-Aerated Biofilm Reactor(MABR)는 하수처리 공정의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활성슬러지 공정의 기포형 산기 시스템은 산소전달효율(OTE)이 낮고 전체 에너지 소비의 80%까지 차지하는 등 에너지 비효율성을 내포하고 있다. 반면 MABR은 기체 투과성 막(membrane)을 통해 생물막으로 산소를 직접 공급함으로써, 이론적으로 100%까지 OTE 달성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MABR의 산소전달 메커니즘과 구조적 특징을 정리하고, OTE, 산소전달속도(OTR), 폭기 효율(AE) 등의 에너지 효율 지표를 중심으로 파일럿 및 실규모 적용 사례 11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E는 기존 활성슬러지 공정 대비 약 4-5배 향상된 수치이다. 그러나 OTE와 OTR 간의 상충관계, 공정 규모, 기질 농도 등 다양한 운영 변수에 따라 성능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현장 적용에서는 이론적 효율을 하회하는 사례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적 접근으로는 간헐 공기 공급, 주기적 환기, 막 소재 개선, 막 이완 제어 등이 시도되고 있다. 동시에, 실증 연구들 간 실험 조건 및 효율 지표 산정 기준의 상이함은 결과 해석의 일관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MABR 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에너지 효율 평가 기준의 표준화와 대규모 현장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4,600원
        4.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perpetual swaps on structural complexity and market efficiency within cryptocurrency markets. Utilizing 15-minute interval price data from 35 cryptocurrencies, we employ multifractal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MF-DFA), Multifractal-based measure of the degree of market efficiency (MED), and Market deficiency measure (MDM) to comparatively evaluate market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perpetual swaps. Our empirical analysis reveals a substantial decrease in multifractality and structural complexity across most cryptocurrencies post-introduction, particularly pronounced over longer horizons (4–6 months). This reduction indicates enhanced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more efficient price formation mechanisms. Notably, Bitcoin (BTC), benefiting from superior liquidity and efficient information flow, exhibited relatively stable multifractal characteristics, although significant volatility driven by fat-tail distributions remained persist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arket efficiency were consistently demonstrated via paired t-tests, one-sided t-tests, and Wilcoxon non-parametric tests. These improvements were particularly salient during extended observation periods, providing robust empirical evidence that perpetual swaps markedly enhance market efficiency. Consequently, our findings highlight that the introduction of perpetual swaps contributes meaningfully to cryptocurrency market efficiency beyond mere liquidity enhancement, promoting more accurate price discovery and reducing informational asymmetries.
        4,200원
        5.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목본 관상용 식물인 먼나무 (Ilex rotunda)와 으름덩굴(Akebia quinata)을 대상으로 삽목 효율을 분석하였다. 삽수는 녹지와 숙지로 구분하고 생장조절 제 indole-3-butyric acid (IBA)와 시판용 발근촉진제 루톤 (Rootone)을 처리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발근율 (녹지, 숙지)은 먼나무(50.9, 19.0%) 및 으름덩굴(52.8, 28.5%) 로 두 수종 모두 숙지보다는 녹지가 손쉽게 발근되었다. 생장조절 제의 발근 촉진 효과는 녹지보다는 숙지에서 두드러졌으며, 생장 조절제 효과는 두 수종에서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IBA와 루톤에 대한 두 수종의 발근 반응이 다르게 나타냈다. IBA 1,000ppm 처리는 먼나무의 발근을 촉진시켰고(65.9%) 으름덩굴에서는 고 사에 따른 발근율 저하를 야기하였으며(5.0%), 오히려 으름덩굴 은 루톤 처리로 발근이 촉진되었다(83.3%).
        4,000원
        6.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like civilian logistics systems, which primarily focus on efficiency, military logistics emphasizes operational stability. To achieve this,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support system and balanced inventory management are essential. However, the current Army logistics system requires improvements in the support rate through the dedicated support framework. Although long-term improvement is possible through procurement process optimization, short-term enhancement is difficult due to the military’s annual procurement cycle. As a short-term improvement, inventory adjustment between supply points could be effective, but this strategy has not been fully utilized. This is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that, while inventory adjustment may increase costs in the short term, it contributes to improved logistics efficiency and stability in the long term. This study proposes a cost-minimizing plan that includes inventory adjustment between supply points in military logistics and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nventory adjustment. To this end, a mathematical model for optimizing transportation planning was developed. Additionally, the effectiveness of inventory adjustment was demonstrated through a case study reflecting actual Army logistics condi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s of inventory adjustment. Inventory adjustment is expected to enhance the dedicated support rate and promote procurement process optimization,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the Army logistics system.
        4,000원
        9.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safety of offshore eel trap fisheries by developing six types of automated fishing equipment: a bait crusher, bait cutter, main line arranging device, trap cleaning device, eel sorting device, and fish pump system. Sea trials demonstrated that the bait crusher and bait cutter significantly reduced manual labor and processing time while maintaining bait quality. The main line arranging device improved productivity and safety by automating the sorting of looped cords. The trap cleaning device effectively removed fouling organisms using high-pressure water and rotating brushes. The eel sorting device enabled automatic size-based selection, improving resource management and operational efficiency. The fish pump system transferred eels rapidly with minimal physical damage, reducing unloading time by over 80% and decreasing labor requirements. A satisfaction survey of fishery participants confirmed that all developed devices were highly effective in reducing workload, enhancing safety, and improving operational performance. The automated equipment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offshore eel trap fisheries and to offer potential applicability to other coastal and offshore fisherie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