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1.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一、《說文解字》的析字方法不是“六書” 1、“六書”是古代小學漢字教學的幾個實用知識點,本身不是學術系統或學術理論。 2、“六書”在《說文解字》的多個層面上有所體現,但跟形體結構分析沒有總體對應關係。  二、《說文解字》的析字方法是“構件分析法” 1、《說文解字》作為一部學術著作,以形體結構分析為中心,有自己貫徹始終的一套析字方法,就是“構件分析法”。 2、構件分析法包括“構件功能分析”“構件同形分析”“構件變異分析”三種情況。 3、《說文解字》沒有歸納漢字的結構類型。王寧教授建立漢字構形學,按照構件的功能組合歸納出漢字結構的基本類型,揭示了許慎“構件分析”的思想。  三、許慎析字方法在漢字教學中的應用 1、無論是古代漢字還是現代漢字,無論是繁體漢字還是簡化漢字,都可以運用“構件分析法”進行分析。 2、基礎教育階段,分析漢字重在功能理據的認知和形體異同的辨識,不必糾纏分類和歸類。類型系統屬於學術層面。 3、運用“構件分析法”需要注意的幾個問題:(1)扣緊字形,據形分析;(2)突出功能,據詞分析;(3)符合邏輯,客觀分析;(4)關照系統,聯類分析;(5)注意發展,歷時分析。
        2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idesprea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Sphere. This paper will probe into the spreading history, the inherited development and the socia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Japan, in particular combined the heritage and research of Shuowen Jiezi in Japan, with the aim of widening a new horizon for Chinese philology studies.
        4,300원
        2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语言是人类生活中非常重要的交流工具,是人与人之间知识和经验的传达手段。语言随着人类的进化而产生,发展,进而产生文字符号,它突破了语言(口语)受到的时间和空间的限制,文字可以更好的记录人类的历史和文化并得以长久流传。众所周知,语言一直在变化,那么文字也理所当然的一直在变化吗?本论文的研究针对这个问题进行具体论述,特别是汉字因为具有表意性的特征,内在的含义可以进行类推,如果想要知道一个汉字的意思,可以从它的部首来进行推测,因为同一个部首的汉字有类似的意思。 本论文从《说文》中的含义研究开始到《玉篇》和《现代汉语大辞典》中的含义研究,这些字的含义朝着哪个方向变化进行研究,通过以上的分析,不论语言还是文字,随着时代的变化而变化,而没有通用的汉字也逐渐消失。现代汉语中往往一个汉字有很多个意思,这些意思在以前的字典中,有的无法找到,有的可以找到。 从'走'字部的所有意思来看,可以发现有两个特征。首先,一般的看法是“走”字部的汉字都有“跑”的意思,但分析的结果是不同的。正如前面第2章中有“'跑,走,移动,超越,速度,其他”等六个含义,大约30%的“走”字部汉字是“跑”的意思,其他的意思的“走”字部汉字占有的比例更多。特别是现代,有更多的不同的含义派生出来,意思更加多样化。最后,我们可以发现在《说文》,《玉篇》中的字现在有很多消失了或者意思已经包含在“现代汉语大辞典”中。 以《现代》为基准,包含在《说文》中的是总共18个意思中存在8个意思。标题字85个中只有59个归于其中,剩下的26个在《现代》中并没有意思。意思分为“'跑,步行。移动”。而名词的用法:“有趣”,介词的用法:“趁~”,动词用法:“起~”,这些在《说文》中没有出现。像这样通过对现代一个部首的意思进行分析的方式,可以对以前中国人的思想和词语的发展有个了解。而越到现代,汉字的个数越少的原因是因为汉语中一个动词都包含有很多意思。但是,“走”字部的汉字中和'足'字是否有关联性这部分在这里还没有进行分析研究,以后将会对这方面问题做进行进一步的研究。
        5,800원
        2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uowenjieziyizheng is a book which is the only remaining in-depth study material of Chosun(朝鮮) dynasty that studies Chinese characters included in Shuowenjiezi. It consists of six volumes, using the bronze inscriptions to correct the errors of shuowenjiezi, and dealing with various graphonomical topics regarding Chinese characters. It has originality which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opinions of Chinese scholars. This paper introduced the unique analysis on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in Shuowenjieziyizheng, and considered its significance.
        4,300원
        2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2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在歷代的字韻書的編纂史上,漢語常用字多半以兩種模式呈現:其一乃通行用字與童蒙字書如《倉頡篇》、《急就篇》、《千字文》的模式,主要以字句組合的型態,使學習者便於記誦與認識。其二則隱含在各字韻書的說解訓釋當中。傳統訓詁的方法在於以已知釋未知,以常見解罕見,所以在字韻書中的說解用字、訓釋詞語多半具有當時常用字的性質,如此在用作字詞解釋時,才能達到使人理解的目的。前者是顯性的體現,後者則是隱性的運用。在歷代的漢字教育中,此二者實際上肩負了教育者與學習者認識漢字、理解漢字最主要的材料與途徑。本文的研究便是圍繞著「漢語常用字」的主軸,以臺灣教育部所編纂的《國民常用字標準字體表》和黃侃《論學雜著》末所附的「說文說解常用字」為分析對象,結合《說文》以來字韻書的字義說解,就其中的幾組常用字的詞彙性質進行研究。目的在於透過歷時的比較,觀察漢語常用字的詞類變化與構詞型態功能,探討這些字詞內在意義的恆常性與變動性,以及變與不變之條件因素和內涵。最後試圖通過上述之研究,重新檢視漢語常用字的整理和研析在漢字教育上的價值,對當前的漢字整理與漢字教學的核心本質與方法提出看法與建議。
        2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28.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說文解字≫一部說 “天, 顚也。至高無上, 從一大。” ≪說文解字≫ 把“天”解釋爲至高無上之“天空”。對於訓爲“顚”, ≪段注≫說“此以同部疊韻 爲訓也。”又頁部說 “顚, 頂也。從頁,眞聲”。顚是頭頂之意。兩字均有高的 意思, 互可相通。所以大部分淸代≪說文解字≫學者們基本上都同意了許愼 與段玉裁的說法。但在甲骨文與金文上所表現的天字, 是象人正立形, 特以 强調頭部, 與天空無關。本意就是“顚”。依此可知, “天”字之本意是頭頂, 頭 頂位於人體之最上部, 所以引伸爲高的意思, 再引伸爲至高無上之意。後來 天字專用爲天空之意, 本來的頭頂之意, 在天字上加表示頭部的形符從頁, 做了“從頁,天聲”之形聲專字。但這天字聲符通假爲疊韻關係的“眞”字, 變爲 “從頁,眞聲”的形聲字“顚”字。依此可見, “顚”是“天”的後起字。顚的聲符眞 是天的聲符通假。這根據從三個方面可以說明。 第一, 字形上天的古文字完全相同于人正立形, 與天空沒有直接的關 係。 第二, 字意上≪說文解字≫所收錄總21字的從眞聲之形聲字的字意當中, 除了示部的“禛, 以眞受福也.”與心部“愼, 謹也”, 瑱, 窴, 塡, 鎭 (走眞), 蹎, (雨眞), 瘨等, 10個字以外, 顚, 槇, 嗔, 謓, 瞋, 䐜, 稹, 鬒, 滇, 闐, 䡩字的 聲符, 字意上都與天字相通。 第三, 字音上天是他前切, 古聲透紐, 古韻12部, 眞是側隣切, 精紐12 部。 透紐是舌音, 精紐是齒音, 聲母有所差異, 但古韻同屬12部, 是疊韻關 係, 兩字音韻上可以通用。
        4,900원
        2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대의 ≪六書尋源≫도 한자의 형성화 추세에 주목하여 형성자, 특히 형성자 성부의 표의기능에 대해서 깊게 연구하였다. 성대가 이처럼 형성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하게 된 데 ≪익징≫의 연구 성과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는 기록은 없다. 하지만 한자의 성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향후 ≪익징≫과 ≪六書尋源≫사이의 전승 관계 연구를 통하여 한국 문자학 연구의 양상과 그것이 중국과 차별되는 특징을 살펴보는 연구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7,000원
        3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說文解字 의 字形解說과 그에 의한 字義를 살펴보고 國語註釋의 適宜性을 따져보고 部首의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현금의 漢字註釋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部首의 增損을 통해 그 수효의 재조정을 추구한 것이다. 위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작업은 說文解字槪要, 字形解說과 字義의 相關關係, 字義의 國語註釋適宜性問題, 部首增損을 다루었다. 설문해자 개요에서는 설문 의 체제ㆍ내용 그리고 六書의 표현양식 등을 제시함으로써 설문 에 대한 기본 인식을 꾀하였다. 字形解說과 字義의 상관관계에서는 자의와 자형해설을 대비함으로써 자의에 자형해설이 적용되는 실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의의 國語對譯語제시를 추구하였다. 자의의 국어 주석 적의성 문제에서는 설문 의 한자 주석이 국어 주석으로 표현될 때의 경향을 살피고, 그 적의성의 밀착과 불밀착을 지적하였다. 部首增損에서는 설문 부수 540부수가 현재의 214부수로 변동되었으나, 그것이 계승된 실상을 살피고 증손할 부수를 제시하였다. 이 작업은 설문 의 한자해설의 경향을 드러냈고, 標題字의 字義와 자형해설의 관계를 밝혔고, 한자의 국어 주석의 정밀성을 꾀하였고, 부수 수효를 증손시키는 논의를 제기한 것이다. 이는 결국 한자의 訓詁및 자형 배열 문제에 일조를 하는 것이다.
        6,300원
        31.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대한어에서 ‘老’부에 속한 한자 대부분이 ‘연로하다’와 관련이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그 의미는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우선 『說文解字』 ‘老’부에 속한 한자는 ‘老’·‘耊’·‘𦽡’·‘耆’·‘耇’·‘𦒻’·‘𦒶’·‘壽’·‘考’·‘孝’ 등 10자가 보이는데, 이 중에서 일부 한자는 현대한어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또 일부 한자는 書面語에서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 사용 예를 살펴보면, ‘老’·‘耊’·‘𦽡’는 모두 나이를 가리키지만, ‘老’는 70세, ‘耊’는 80세, ‘𦽡’는 90세 등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 또 ‘耇’·‘𦒻’은 노인의 외부 모습을 통해 나이를 표현하고 있는데, ‘耇’는 얼굴 피부가 얼어있는 배(껍질)처럼 때가 낀 것과 같은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𦒻’은 흔히 노인들 얼굴에서 볼 수 있는 검은 반점을 가리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𦒶’는 노인의 불편한 행위를 통해 나이를 드러내고 있는데, 보폭이 작아서 서로 부딪치는 것과 같은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이 외에도, 본래 장수의 의미로 사용되던 ‘考’·‘壽’ 중에서, ‘考’는 이후에 의미가 파생되면서 돌아가신 부친, 혹은 시험을 치거나 고찰하는 등 의미를 나타내게 되었다. 현대한어에서는 ‘老’자의 활용이 매우 많으며, 본래의 의미뿐만 아니라 파생의미 또한 증가하였다. 물론 ‘老’자를 부수로 지닌 한자들 또한 현대한어에서 의미범주의 변화가 일어난 것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老’와 ‘考’ 등 한자는 의미항목이 증가한 반면, ‘孝’의 의미항목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또 ‘壽’․‘耊’·‘𦽡’·‘耆’·‘耇’ 등은 비록 본래 의미 그대로 書面語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𦒻’·‘𦒶’ 등은 현대에 이르러 이미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 문법기능의 측면에서 보면 품사가 가장 다양하게 사용되는 한자는 ‘老’·‘壽’·‘考’인데, 고대한어에서는 명사, 동사, 형용사의 용법으로 모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老’자는 현대에 이르러 품사의 활용이 더욱더 다양해졌다. 다시 의미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고대한어에서는‘𦽡’가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老’가 가끔 부정적인 색채를 가지고 있는 것 외에 나머지 한자들은 대부분 중성의미나 긍정적 의미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老’부 한자에서 ‘연로’에 대한 인식은 노인의 피부, 걸음걸이, 長壽 등 시각적으로 형상화된 표현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화적 현상은 고대 중국의 예교사상인 ‘敬老’의 영향으로 인하여 부정이미지에 대한 직접적인 표현을 피하고자 하는 기피현상으로 볼 수 있었다. 본고는 ‘연로’함을 나타내는 同義 한자에 대한 차별성을 고찰해 봄으로써, 당시 사람들이 노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나이의 표현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인식 정도를 엿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동의성’으로 인해 쉽게 혼동하기 쉬운 한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동의 한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사용이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