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무인센서카메라를 이용하여 설악산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다람 쥐(Tamias sibiricus)의 연중 관찰 양상과 행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주차별 관찰빈도를 지표로 하여 관찰빈도의 연중 변화를 파악하였고 봄과 여름, 가을의 시간별 관찰빈도를 이용하여 계절별 일일 행동 패턴을 분석하였 다. 다람쥐의 일일 행동 패턴은 지역 및 계절에 따른 차이 없이 주행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에 서식하는 다람쥐는 연중 관찰 기간에 차이가 있었다. 설악산에서 18~45주차에, 지리산에서는 7~48주차에 다람쥐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동면시기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두 지역에서 다람쥐는 가을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계절에 따른 다람쥐의 개체군 동태 및 활동량 변화가 무인센서카메라 관찰빈도에 반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인센서카메라의 관찰빈도는 간접적인 지표로서 대상종의 서식 밀도와 활동량을 구분해낼 수 없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지만, 방법이 쉽고 조사자에 따른 편차가 적어 효율적인 모니터링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Nemopilema nomurai a very large jellyfish that has been found in the East China Sea and is now are migrating to Korea and Japan.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N. nomurai based on the changing marine environment of the East China Sea, we conducted field survey in the early summer from 2006-2008. We observed the marine environment using CTD and the occurrence of N. nomurai using FMT and bottom trawling. We caught the most N. nomurai in 2007 and the fewest in 2008 and 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its are more sensitive temperature than salinity. Large quantities of N. nomurai with a small bell diameter were caught in 2007 and large individuals with a significant bell diameter were caught in 2008. This appeared which between the catch and bell diameter of N. nomurai had (-) correlation (R=-0.988, p=0.098). Meanwhil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N. nomurai concentrations in lower salinity mixed seawater inflow in Changjiang Diluted Water.
본 조사에서는 양식업 및 수산업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막만을 대상으로 수질환경 변화에 대한 이매패류의 군집구조 및 연간변동을 파악하고 물리적 화학적 환경이 이매패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막만 해역의 12개 정점을 설정하고 2001년부터 2006년까지 4월, 7월, 9월, 11월 계절별로 조사한 결과 이매패류 총 28종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서식밀도는 226.72±196.20 ind. m-2의 변동범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 in the Keum River Estuary. Water sampling was carried out regularly with response to the tidal cycle from September, 1986 to August, 1987. Analyzed or observed items were sea water temperature, salinity, TS, TDS, TSS, VSS, FSS. and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wind velocity, precipitation, tidal cycle and TSS were investigated. It is found that the sea water temperature is the lowest in January(2.5℃)and the highest in August(24.4℃), and increases toward upstream in summer and vice versa in winter. Salinity is the lowest in August (13.6‰) and the highest in December(20.3‰), and the annual mean value shows 13.6‰. TS and TDS are firmly related with the variation of salinity, thus, high in spring and low in summer. The annual mean values of TSS in 199.8(65.3∼454.5)㎎/ℓ, highest in March 308.2(67.5∼792. 3)㎎/ℓ and lowest in June 36.8(10.9∼200.0)㎎/ℓ. The annual mean values of VSS is 22.0㎎/ℓ, its variation tendency is similar to that of TSS. The annual mean value of VSS /TSS ratio is 13.9(6.8∼20.2)%, which are not high level compared with those of polluted sea areas. This ratio is high in summer(24.1%) and low in autumn(13.3%), and in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direction. It is also revealed that TSS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wind velocity(r=0.59), and a negative with the precipitation in the Keum River basin(r=-0.64). TSS concentration is primarily subjected to the tidal range and the freshwater discharge and also related to the resuspension of bottom sediments by the action of wind force or wind waves. The dilution rate is strongly subjected to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freshwater discharge, therefore, TSS concentration shows low in summer and high in winter. Under low discharge condition in spring, autumn and winter, TSS, VSS are high level in spring tide compared with those in neap tide : under high discharge condition in summer, these values are reversed that is, TSS is higher in neap tide than in spring tide.
This study aims to monitor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of PCDD/DFs between the gaseous phase-particulate phases in the ambient air of urban area in Korea. This monitoring is evaluated by using the Junge-Pankow model and the Koa absorption model with the application of the Octanol-air partition coefficient. In this study, the ambient air samp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congener group of the PCDD/DFs by HRGC/HRMS, which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past 5 years. In the results, the annual variation in the concentration level of ∑PCDD/DFs in TSP was increased from 1588 fg/㎥ in 1998 to 5123 fg/㎥ in 2002, and from 31 fg I-TEQ/㎥ to 94 fg I-TEQ/㎥ in the ∑I-TEQ. In the case of PUF of gaseous phase sample, their variation was increased from 1615 fg/㎥ in 1998 to 2237 fg/㎥ in 2002, and in the ∑I-TEQ from 12 fg I-TEQ/㎥ to 17 fg I-TEQ/㎥. The relative coefficient between the gas phase concentration of PCDD/DFs and the temperature was a value of 0.744; the contributive rate of the temperature to the gaseous phase concentration was 0.554.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attern of the coefficient of distribution based on log PL0 is similar to the ambient air of the urban areas.
도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연 물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 56개 기후관측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10 km에 해당하는 의 면적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지역 내에서 연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였고, 도시화에 따른 연 유출량변화를 모의하기 위하여 연 물수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 실제증발산량 산정을 위하여 수문기후자료와 토지이용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연구지역별 연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여기서 연 실제증발산량은 Zhan
본 시험은 브랜드 쌀의 연차가 변이와 품질 수준을 점검하고 지속적인 품질 평가를 통한 브랜드 쌀의 인지도를 높여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시험기간중 기상은 2002년 9월 중순부터 기온이 많이 낮아졌으며, 2003년은 7월과 8월의 기상이 상대적으로 낮게 경과하였고, 일조시수 또한 적어 벼의 생육에 많은 영 향을 미쳤으나 2004년은 벼가 생육하기에 가장 적당한 기온을 보였다. 2. 도내 브랜드 쌀의 3개년간 분석 성적에서 완전미율이 CV가 1.9%로 브랜드간 변이가 가장 작았으며, 식미치 또한 4.2%로 변이는 적은 편이었다. 3. 완전미의 최하위와 최상위의 범위는 2003년도에서 가장 넓게 나타났으며 그에 따라 평균 완전미율 또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평균 단백질 함량이 2003년에 8.0%으로 2004년에 7.0%에 비해 약 1.0%정도 높았으며, 특히 2004년의 경우 단백질 함량이 7.0% 이하인 브랜드가 65.4%를 차지하고 있어 감비재배의 효과와 등숙에 알맞은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5. 기상이 양호했던 2004년에는 심복백미 비율이 0.3~5.9% 였고 평균 2.8%로 이상 기온 현상이 있었던 2003년의 절반 정도로 감소되었다. 심복백미 비율이 3% 이상 되는 브랜드 수 또한 2003년에 73.6%를 차지해, 2002년의 53.2%와 2004년의 46.2%에 비해 높아서 외관상 품위를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6. 연도별 식미치는 완전미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단백질 함량이 가장 낮았던 2004년도에서 평균 77.0으로 가장 높았고, 그와 반대로 완전미 비율도 낮았고,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던 2003년도에 71.0으로 낮았다. 토양 및 식물과 관련된 집중 관측과 단기 실험들이 뒤따라야 하겠다.적인 자극으로부터 개체들에게 더 많은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폐사율을 높일 수 있는 열악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s the strategies on the revitalization and enhancement of small-sized retailers" productivities.에 종양을 가진 환자 치료 시 더욱 질 높은 방사선 치료가 실현될 것으로 기대한다. 30∼40% 정도 느렸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도 퍼레니얼라이그라스 100% 단일종류에 비해 20∼30%정도 늦었다. 따라서, 뗏장 재배시 여러 종류의 초종을 천편일률적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컨셉에 따라 적절하게 초종 및 품종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5. 뗏장의 뿌리 형성 능력은 퍼레니얼라이그라스가 가장 좋았고, 가장 저조한 초종은 켄터키블루그라스였다. 톨훼스큐는 켄터키블루그라스와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혼합구의 뗏장 형성 능력은 초종의 혼합비에 따라 뿌리 형성력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퍼레니얼라이그라스 혼합비율이 많을수록 뿌리 형성 능력은 증가하였다. 6. 뗏장 수확시 잔디 품질은 단일 초종구의 품질이 혼합구에 비해 양호하였는데 가장 우수한 초종은 켄터키블루그라스였고, 톨훼스큐는 켄터키블루그라스 다음으로 중간정도, 그리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는 가장 저조하였다. 켄터키블루그라스는 균일한 잔디 면, 고밀도 및 예초 후 상태가 우수한 특성으로 품질이 양호하였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품질이 저조하였던 것은 초장이 길어 잔디 면이 누운 상태로 나타나 균일도 저하 및 예초 후 품질이 켄터키블루그라스나 톨훼스큐 보다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혼합구의 품질은 여러 종류가 혼합됨으로 인해 색상 및 밀도의 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