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백나무 종자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인 camelliaside B의 표준정량화를 위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DAD)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동백나무 종자에 함유된 주요화합물은 MS/MS 분석, UV 흡광도, 화합물의 유지시간 등을 통해 얻은 결과에 바탕을 두어 camelliaside B를 동백나무 종자 추출물의 지표물질로 선정하였다. Camelliaside B의 HPLC 분석법에 대한 특이성, 정확성, 정밀도 및 정량한계 등을 검증하였다. Camelliaside B 분석을 위해 표준화된 HPLC 분석법은 0.99% 이상의 상관계수(R2)로 높은 선형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Camelliaside B의 회수율은 100.42-108.00%였으며, 검출한계 (LOD)와 정량한계 (LOQ)는 각각 0.084㎍/㎖, 0.254㎍/㎖였다. 동백나 무 종자 지표물질 (camelliaside B)의 일중 정밀도는 각각 0.09-0.16 RSD였으며, 일간정밀도는 0.123 RSD였다. 표준화된 분석법으로 지역별로 수집한 동백나무 종자의 camelliaside B의 함량은 0.279-2.05㎎/g 으로 다양하였다. HPLC 분석법으로 확인한 모든 매개변수는 기능성 원료 인정을 위한 제출자료 작성 기준을 충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한 HPLC 분석법은 동백나무 종자 추출물 유래 건강 관련 기능성 제품 또는 의약품 개발의 첫 단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wo in vitro culture systems callus and adventitious root by investigating the biomass and phenolic compounds in calli and adventitious roots induced from four different explants (leaf, root, petal, and ovary) in Camellia japonica. The biomass of calli and adventitious roots was examined after 4 and 8 weeks of cultivation, respectively, and 22 phenolic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biomass of the ovary-derived calli (2.0 g・mass-1) was 1.5-fold that of the leaf-derived calli. The dry weight (DW) was highest in ovary-derived calli; however, the highest dry matter content was obtained from leaf-derived calli. Differences in th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depended on the callus origin. In adventitious roots, the highest biomass was achieved in the leaf-derived adventitious root system; its fresh weight was 2.3-fold (89 mg・ea-1) higher, and its DW was 1.8-fold (16 mg・ea-1) higher than those of ovary-derived adventitious root system. Active cell division was detected in petal-derived lines in both the calli and adventitious roots. Results of the HPLC analysis revealed that the total content of 22 phenolic compounds was highest in ovary-derived calli and ovary-derived adventitious roots. Our experiments confirmed that the calli and adventitious roots of C japonica have different cy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ioactive compounds depending on the explant origin. In addition, callus culture was a more suitable system than adventitious root for producing phenolic compounds when the duration of the culture period and biomass were considered.
        4,000원
        3.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백나무 재배에 대한 수익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익성 분석지표인 NPV, B/C율, IRR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사업기간 30년 동안 수반되는 비용과 편익을 산정하였다. 특히, 편익은 현재 시장가격이 형성되어 있는 동백나무 종자만을 한정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향후 임금상승과 동백나무 종자 가격 하락에 의한 수익성의 민감성을 분석하였다. 수익성 분석 결과, 사업 10년차에 NPV는 4,537,645원, B/C율은 1.084, IRR는 4.6%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백나무 재배기간이 장기화 될수록 사업의 수익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금상승과 가격하락에 따른 감응도 분석결과 동백 나무 재배에 대한 수익성은 임금상승에 따른 영향보다 가격하락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차나무과(Theaceae)의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우리나라 주요 상록활엽수 중 하나다. 동백나무는 아교목성상의 수종이고, 인위적인 관리가 없는 경우 천이가 진행되어 순림이 유지되기 힘들다. 또한 난대성 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분포 북한계선이 동해의 울릉도, 울산시의 목도, 전라남도 광양시, 경상남도 하동군, 전라남도 구례군, 충청남도 서천군, 서해의 대청도를 잇는 선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찰림으로 보호하고 있어 유지되는 전라남도 광양군 옥룡면의 옥룡사지, 강진군의 백련사, 해남군의 미황사, 구례군의 화엄사와 경남 하동군의 쌍계사, 전북 고창군의 선운사 등의 순림이 남아있다. 천연기념물 제 169호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은 자생하는 동백나무의 내륙 북쪽 한계지역으로 학술적인 가치와 함께 아들과 자식을 잃지 않기 위한 동백나무를 심고 신당을 만들어 용왕에 제를 올린 노파의 전설이나, 풍어제 등 문화적 역사적 가치 또한 인정받아 1965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최초 지정 수량은 74주이며, 현재 885주가 지정되어 있으나 노거수는 82주가 확인되었다. 숲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측 바닷가에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숲 동쪽으로 가동이 중단된 서천화력발전소 1,2호기가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바다를 사이에 두고 오력도가 있다. 북쪽으로는 신서천화력발전소가 건설중이며, 남쪽으로 마량포 마을이 입지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 169호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의 주요군집은 조사대상지 내부의 동백나무 노거수와 동백나무 식재지, 서쪽 방풍림 역할의 곰솔림으로 나뉘며, 주요 식생은 동백나무, 곰솔, 예덕나무, 자귀나무, 토끼풀, 꿩의밥, 부채마, 계요등, 송악 등이 분포 하고 있다.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자생지 내부에 2006년 이후 동백나무 열매를 발아시키거나 외부종을 도입하여 노거수 주변에 보식을 진행한 것으로 확인되어 동백나무림의 노거수와 식재수종의 면적 분포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2008년에 비해 2018년 조사시 노거수의 수관폭의 생장은 크지 않지만 식재수목의 경우 수관폭의 변화가 커 한동안 수간 및 수관의 생장이 진행될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지 내부에 치수발생량을 방형구(3m×3m)를 설치하여 확인한 결과 9㎡당 158개체~1,107개체의 분포를 보였으나 동백나무림 하층은 지속적으로 관리가 진행되어 이후 생장하는 개체는 확인이 불가능하였다. 한편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숲 동쪽으로 서천화력발전소 1,2호기가 1983년 건설된 이후 34년간 가동되었다. 따라서 주변 토양오염 및 식물체의 생장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중금속 축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금속 분석을 진행한 결과 구리(Cu), 니켈(Ni), 아연(Zn), 크롬(Cr)등이 검출 되었으나 기준치 이하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구리(Cu)와 크롬(Cr)의 경우 다른 동백나무림과의 비교나 장기적인 모니터닝을 통해 축적에 의한 오염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의 경우 천연기념물 중 분포한계지지만 자연적 가치 보다 역사적, 문화적인 가치가 크게 인정 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으로 판단되며,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동백나무를 감상하기 위해 방문하는 곳이다. 하지만 기존 분포하고 있는 노거수 주변으로 식재된 동백나무의 인위적인 식재방법(열식과 밀식 등)과 출처가 불분명한 식재 동백나무 등 역사적, 문화적인 가치에 맞는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백나무의 간재적 추정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제주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동백나무 200본을 표준목으로 선정하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재적모델 개발을 위해 80% 자료와 모델 타당성 검정(Validation)을 위해 20% 자료를 무작위로(Randomly)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시된 최종모형의 추정된 계수는 100% 자료를 이용하였다. 동백나무에 대한 재적 모델의 적합성 검정은 결정계수(R2), 추정치의 오차(RMSE), 평균편의(MD), 절대평균편의(AMD)와 직경급별 평균편의(MD), 변동계수(CV%)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결정계수는 0.7571에서 0.9381로 나타났으며, V=aDbHc에서 결정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치의 오차는 0.0326으로 V=aD2H에서 가장 높았으며, 반면에 0.0258로 V=aDbHc에서 가장 낮았다. 평균편의는 V=a+bD2H에서 0에 값으로 나타났으며, V=aDbHc에서 0.0012로 나타났다. 절대평균편의는 V=D2/(a+b/H)에서 0.0186으로 가장 낮았고, 0.0223으로 V=aD2H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변동계수는 V=aDbHc에서 30.4348로 가장 적합한 계수로 나타났다. 5개의 모델식 중 최적의 식은 V=aDbHc에서 나타났으며 V=aD2H에서 적합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엽은 육상 생태계에서 영양원소의 주요 원천이며, 낙엽의 분해는 토양의 비옥도를 유지하고, 식물의 생장을 위한 영양원소의 방출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조절하는 생물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그 분포역의 확대가 예상되는 상록활엽수인 동백나무를 대상으로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원소의 함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실험은 전라남도 완도군 주도 상록활엽수림에서 2011년 1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731일간에 걸쳐 수행되었다. 동백나무 낙엽은 기타 상록활엽수 낙엽에 비해 작고 두꺼우며 단단한 재질을 가지고 있고, 비교적 높은 수용성물질과 셀룰로즈, 리그닌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분해 시작 후, 731일 경과 된 동백나무 낙엽의 잔존율은 42.6%이고 분해상수(k)는 0.427으로 나타났다. 동백나무 낙엽의 탄소 함량은 44.6% 를 나타내었고, 분해과정에 따른 탄소의 잔존량은 낙엽 잔존량의 변화와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질소와 인의 초기 함량은 각각 0.47%와 324.7mg/g을 나타내었다. 질소의 잔존량은 분해 초기 증가하여 최고 1.66배까지 증가하였지만, 점차 감소하여 731일 후 초기양의 1.18배를 나타내었다. 인의 경우 최고 1.64배까지 증가하였고 731일 후 1.15배를 나타내었다. 동백나무 낙엽의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잔존량은 분해과정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칼륨의 경우 빠르게 감소하여 8.9%의 잔존율을 보였다. C/N, C/P 초기 비율은 각각 94.87과 1368.5로 나타났지만,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현저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질소와 인의 함량이 초기 함량에 비해 최대 2.78배와 2.68배까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 동백나무의 낙엽은 조사기간 동안에 질소와 인에서는 부동화가, 나머지 원소에서는 무기화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L.)와 동백나무(C.japonica L.), 제주지역의 주요 과수작물인 귤나무(Citrus unshiu M.) 잎을 대상으로 엽록소형광과 CO2 흡수능을 비교 분석하여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자하였다. 차나무의 CO2 고정율은 같은 과의 동백나무보다 높고 과수작물인 귤나무와 유사하였다. 기공전도도 (gs)는 3종 모두 새벽에는 높고 이후 저녁 시간까지 계속하여 감소하였다. 엽육 내 CO2 농도 (Ci)는 3종 모두 새벽(06:00)에 높고 낮에 감소하였다가 저녁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잎의 증산율 (E)은 낮 시간에 높아졌다가 저녁에 감소하였다. 차나무에서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Fv/Fm)은 낮시간에 다소 낮아졌다가 저녁에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낮시간의 Fv/Fm 감소는 광억제의 결과로 보이며 그 감소폭이 동백나무보다 적어 빛이나 고온 등에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엽면적당 활성상태의 반응중심의 상대적 밀도를 의미하는 RC/CS는 3종 모두 낮시간에 감소하였다. ABS/RC, TRo/RC, ETo/RC와 DIo/RC는 차나무와 동백나무에서 낮시간에 증가하였으며, 귤나무에서도 낮시간에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동화율은 차나무가 320.1 mmol m-2 d-1로 가장 높았으며, 귤나무와 동백나무는 각각 292.5 mmol m-2 d-1와 244.8 mmol m-2 d-1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차나무는 광합성율이 높고 낮 시간의 광억제도 낮을 뿐만 아니라, 귤나무보다 수분요구량이 낮고 수분이용효율은 높아 탄소흡수원으로서 유용한 작물수종인 것으로 보인다.
        4,000원
        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록활엽수림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백나무림 주변 산림군 집에 대한 상록활엽수종의 치수발생량과 종자산포량을 분석하였다. 치수밀도와 비율의 경우, 동백나무림 과 동백나무림 가장자리, 동백나무림내 해송아래, 편백림에서 발생하는 전체치수의 약 90%이상이 동백나 무를 포함한 참식나무와 후박나무, 광나무, 생달나무, 까마귀쪽나무, 돈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류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참식나무, 후박나무, 광나무는 동백나무림에서 200 m 정도 떨어진 해송림과 낙엽활엽수림에까지 밀도는 낮지만 치수발생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가 시작되고 있었다. 흉고 직경급 분포에서 동백나무는 역J자형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고 후박나무, 참식나무, 광나무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동백나무 종자는 동백나무림 주변 50 m 이내에 주로 산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4,000원
        1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백나무림으로부터 거리별 산림군집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난대상록활엽수림의 생태 적 천이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층위별 중요치 분석 결과, 교목층은 조사구- Ⅰ에서는 동백나무, 그 외 조사구에서는 해송과 소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다. 아교목층에서 중요치가 가장 높은 수종은 조사구-Ⅰ은 동백나무, 조사구-Ⅱ, Ⅲ은 참식나무, 조사구 Ⅳ는 때죽나무였다. 전조 사지에서 종다양도는 교목층이 0.121-0.515로 낮고 관목층이 1.112-1.589로 높게 나타났으며, 균재도는 아교목층 0.811- 0.930, 관목층 0.796-0.913으로 교목층 0.155-0.727에 비해 높게 나타나 종별 개체 수의 분포상태가 균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토양 pH는 조사구-Ⅰ이 5.72로 가장 높았으며, 전질 소, 유효인산, 치환성양이온 함량도 다른 조사구에 비해 조사구-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200원
        1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제도 학동 동백나무림 보전과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에 있 다. 현장조사는 동백나무림, 혼효림, 편백조림지, 해송림에서 이루어졌다. 교목층은 동백나무림과 혼효림 에서 동백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으며, 편백조림지는 편백, 해송림은 해송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다. 아교목층의 경우 동백나무림은 동백나무, 혼효림은 좀작살나무, 편백조림지는 참식나무, 해송림은 때죽나 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는 동백나무림 0.121~1.589, 혼효림 0.543~1.540, 편백조 림지 0.276~1.321, 해송림 0.764~1.523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pH는 동백나무림 5.72. 혼 효림 5.26, 편백조림지 5.21, 해송림 5.32로 분석되었으며, 유기물과 전질소 함량은 동백나무림 5.77, 0.48%, 혼효림 4.41, 0.30%, 편백조림지 3.28, 0.33%, 그리고 해송림이 5.32, 0.28%로 나타났다.
        4,000원
        12.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학동지역 동백나무림 천연기념물의 식물군집구조와 식생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상지에 46개 조사구를 설정하였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DCA분석과 평균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46개 조사구는 동백나무군집, 동백나무-사스레피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편백-동백나무군집 등 4개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군집별 천이경향은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은 참식나무로의 생태적 천이가 진행될 것이며, 나머지 3개 군집은 현 상태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대상지의 식생관리는 천이억제형 식생관리가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이며, 식생관리에서 제거해야 할 수종으로 단기적으로는 편백. 참식나무, 사스레피나무 3종이며,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나도밤나무, 산벚나무, 졸참나무 등 5종은 장기적인 관리대상 수종이었다.
        4,900원
        14.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eds of wild and cultivated Camellia japonica were studied for their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seeds of wild and cultivated Camellia japonica contained 70.2% and 73.4% lipids, respectively. Fifteen fatty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lipids from the Camellia japonica seeds. In addition to confirming the 5 previously reported (16 : 0, 18 : 0, 18 : 1, 18 : 2 and 18 : 3), 10 more acids were characterized. The newly identified acids were 14 : 0, 16 : 1, 17 : 0, 20 : 0, 20 : 1, 20 : 2, 22 : 0, 22 : 1, 24 : 0 and 24 : 1. Both seeds lipids contained 18 : 1 in high levels (81. 6~82. 2%). Little difference in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ed between the wild and cultivated Camellia japonica seed lipid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commercial Camellia japonica oil was similar to those of the Camellia japonica seed lipids.
        3,000원
        15.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백종실유(冬栢種實油)에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지질(脂質) 성분(成分)을 상호(相互) 분리(分離)하였다. 여기서 얻은 트리글리세리드의 일부(一部)를 취하여 알칼리로 가수분해(加水分解)하거나 또는 pancreatic lipase로 가수분해(加水分解) 하여,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構成) 지방산(脂肪酸) 또는 1, 3- 위치(位置)와 2-위치(位置)에 급합(給合) 한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조사(調査)하였다. 나머지 트리글리세리드는 16% AgNO3 TLC로 이중결합선(二重結合敾)별로 나누었으며, 이렇게 나누어진 분획(分劃)을 다시 HPLC로 PN별로 재분획(再分劃)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획분(劃分)들 중 PN이 같은 것은 모두 모아서 알칼리 가수분해(加水分解)로 PN의 총지방산(總脂肪酸) 조성(組成)을, pancreatic lipase로 1,3 위치(位置)에 결합선(結合敾)한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을 조사(調査)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結果)로 부터 구성(構成) 트리그리셀리드 분자종(分子種)을 산출(算出)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算出)를 얻었다. 1) 종실유(種實油)는 투명(透明)한 액체(液體)로 그 함량(含量)이 73.5%였으며, 그 중 트리글리세리드가 94.8%, 극성(極性) 지질(極性)이 2.0%, 탄화(炭化) 수소(水素)가 1.8%였다. 2) AgNO3-TLC로 트리글리세리드를 분획(分劃)하였더니 5개의 획분(劃分)을 얻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트리글리세리드가 이중(二重) 결합선(結合敾) 3~5개인 band 2와 band 3에 80% 이상 존재(存在)하였다. 3) AgNO3-TLC에서 얻은 각 획분(劃分)은 모두가 HPLC상에서 PN 46, 48 및 50으로 나누어졌으며 전체(全體) 분획(分劃)에서 PN 48이 78.13%로 제일 많았으며, 다음으로 PN 50이 12.04%였으며, PN 46이 9.83%였다. 4) 전체(全體)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종(分子種) 중에서 0.1mol%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분자종(分子種)이 43종(種)이었으며, OOO와 POO가 각각 39.8mol%와 25.8mol%로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OPO가 5.5 mol%, OOL가 4.8 mol%, POS가 3.9mol%, SOO가 3.5mol%. POL이 3.0mol%였다. 또 동백종실유(冬栢種實油)에 존재(存在)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종(分子種)의 조성(組成)은 1,3-random, 2-random 분포설(分布說)에 따라 구성(分布說)되어 있었다.
        4,000원
        16.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동백나무의 대량번식 및 양묘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자 무게와 저장방법에 따른 발아특성과 유묘생장을 조사하였다. 실온저장과 4℃건조저장의 발아율은 종자 무게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습윤모래저장의 발아율은 종자무게가 무거울수록 높아졌으나 저장 120일에 매우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4℃ 습윤여과지저장의 발아율은 60 일, 90일, 120일 저장 모두 80% 이상으로 높았고, 종자 무게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발아일수는 실온저장과 건조저장에서 30일 내외의 긴 시간이 요구되었지만 습윤저장(모래, 여과지)은 13일 내외로서 짧았다. 엽수, 엽건물중, 줄기직경, 뿌리건물중은 종자 무게 1.21 g 이상부터 평균치를 상회하였고, 줄기길이는 종자 무게 1.01 g, 식물체건물중은 종자 무게 0.81 g, 줄기건물중은 종자 무게 0.61 g부터 유묘의 평균치를 상회하였다. 유묘 생장은 종자 무게가 무거울수록 양호하였으며, T/R율은 종자가 무거울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동백나무 유묘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종자 무게 및 크기를 구체화할 필요성이 있고, 파종을 위한 종자저장은 4℃ 습윤여과 지저장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17.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s : The action mechanisms of several chemopreventive agents derived from herbal medicine and edible plants have become attractive issues in cancer research. Tea is the most widely consumed beverage worldwide. It have been demonstrated that the active principles of tea sources such as flower extract Camellia sinensis (CSF) and Camellia japonica (CJF)were attributed to their tea polyphenols. We focused on investigating CSF, CJF, mixtures of CSF and CJF has been proven to suppress colonic tumorigenesis.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study, human colorectal carcinoma HT-29 cells were treated with CSF, CJF, mixture of CSF and CJF to examine the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effects of mixture of CSF and CJF (3 : 1), as well as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these effects. Cell viability assay, nuclear staining, DNA fragmentation, caspase assay, cytochrome c release, were utilized to dissect the signaling pathways. In mixture of CSF and CJF (3 : 1), CSF appeared most anticancer effect by both MTT assays and the cleavage analysis of apoptosis-related molecules and PARP. Interestingly, we found that CJF make it possible to express the apotosis inducing by CSF in a short time and apoptosis effect of CSF maintained sustainable. Conclusion : In summary, our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i) CSF treatment causes damage to mitochondria, and (ii) CJF contributed CSF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mediates cytochrome C release, (ⅲ) mixture of CSF and CJF (3 : 1) the potential to function as a chemopreventive agent against colon cancer.
        18.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s : Camellia sinensis is known to have a very high antioxidant activity, but its petals are small and it is difficult to use it because of its low yield. In comparison Camellia japonica has many petals and yield, however, the biological effects of C. japonica have been less frequently studied. In the present study, we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in vitro antioxidant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from flower of C. sinensis (CSF), C. japonica (CJF) and mixture of CSF and CJF. Methods and Results : Content of total phenolics and total flavoni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ducing power, superoxide anion and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SF and CJF were compared in vitro experimetal models. Total phenolics was contained the higer in CJF (172.19±1.65 mgCAE/gEX) than 146.75±0.15 mgCAE/gEX in CSF. And effects of antioxidant measured by reducing power, superoxide anion generated by xanthine/xanthine oxidase and hydroxyl radical generated by the Fenton reaction (FeSO4 + H2O2) in a cell-free system was shown higher in mixture of CSF and CJF than BHT, ascorbic acid as a chemical oxidant which was detected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ry coupled with DMPO spin trapp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mellia flower extract such as CSF and CJF exhibits antioxidant properties by scavenging ROS. Camellia extract contained quercetin, quercetin-3-O-glucoside, quercitrin and kaempferol, which are antioxidant compounds. Conclusion : As a result, the combination of CSF and CJF showed higher antioxidative effect than using CSF or CJF alone.
        19.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election of excellent resources and true seeds of southern medicinal plant (Camellia japonica). Methods and Results : Camellia japonica seedlings (measure in October, seeding in May) were 7.4 leaves, 1.0 g leaf dry weight, 6.7 ㎝ stem length, 2.9 ㎜ stem diameter, 0.3 g stem dry weight, 17.3 ㎝ root length, 1.0 g root dry weight, 2.0 g plant dry weight and 1.4. T/R ratio. Leaf number, leaf dry weight, stem diameter and root dry weight were higher than average after 1.21 g of seed weight. Stem length was higher than average after 1.01 g of seed weight, plant dry weight was higher than average after 0.81 g of seed weight, and stem dry weight was higher than average after 0.61 g of seed weight. Seedling growth was good when the seeds were heavy, and T/R ratio tended to decrease when the seeds were heavy. Conclusions : In order to mass-produce of seedlings using Camellia japonica seeds, it was necessary to specify the weight and size of the seeds.
        2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election of excellent resources and true seeds of southern medicinal plant (Camellia japonica). Methods and Results : The germination rate at room temperature and 4℃ dry storage did not show a tendency according to seed weight. The germination rate of 4℃ wet sand storage increased with seed weight but showed very low germination rate at 120 days of storage. The germination rate at 4℃ wet filter paper storage was higher than 80% in 60 days, 90 days and 120 days storag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rmination rate with seed weight. The mean number of germination days was about 30 days in average at room temperature and 4℃ dry storage, but wet storage (sand, filter paper) was short as about 13 days. Conclusions : The seeding of Camellia japonica seeds (last autumn harvest) in the spring of the next year was evaluated as the most efficient way to 4℃ wet filter paper storag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