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2.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티칸과의 단절이 오래되었지만 중국의 천주교는 기본적으로 가톨릭 보세(普世) 교회의 원칙을 따르고 있다. 때문에 중국 천주교의 사제양성 교육과정 또한 세계 각 국에서 보편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큰 차별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중국의 특수한 상황 때문에 다음과 같은 특징 을 지니고 있다. 첫째, 종교학교의 설립과정과 운영에 있어 정부기관의 개입이 광범 위하고 영향력 또한 크다. 둘째, 교육과정은 보편적 교육과정을 지키고 있으나, 중국 정부의 종교중국화 정책에 따라 중국 철학사상 방면의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결론 적으로, 중국 천주교 종교교육이 지닌 특징은 교육기관의 설립에서 교육내용에 이르 기까지 사회주의적 종교정책이 관철되도록 다양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장치가 어떠한 실질적 효력을 발생할 지에 대해서는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5,500원
        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더블린 사람들』에서 제임스 조이스는 아일랜드 가톨릭교 신부들을 이득을 위해 자신들의 영혼을 팔아 아일랜드 국민들을 배반한 유다와 같은 존재로 묘사한다. 작품의 각 중단편의 에피소드를 통해 조이스는 가톨릭교회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을 던진다. 그는 아일랜드 가톨릭교회가 맹목적인 순종과 그 권력에 절대 복종하도록 강요한다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작품에 묘사되고 있는 신부들의 모습은 대체로 무능하며 성직자로서의 역할도 제대로 하지 못한다. 이런 이유로 그는 거짓된 권위와 물질주의에 집착하는 가톨릭교를 거부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톨릭교회를 바라보는 그의 마음은 복잡한데, 그것은 그가 가톨릭교회를 거부하긴 했지만 그 제도나 형식을 거부하지는 않았다. 실제로 그는 예수회재단 가톨릭교회의 제도나 교리 등을 작품창작에 적극 활용했다. 그러나 그는 근본적으로는 가톨릭교회나 신부들이 과거의 잘못에서 벗어나 변화되고 새롭게 태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5,500원
        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나라 초기 산수화단을 대표하던 “淸初六家”의 한사람인 吳漁山은 康熙 27년(1688) 8월 1 일 사제품에 오른 후 선종 때까지 약 30년간 江南地域 선교사업에 종사하였다. 그의 선교활 동은 크게 上海에서 보좌신부로서 생활하던 시기와 嘉定에서 본당신부로 활동 하던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三餘集』은 오어산 신부가 강남지역에서 修道生活, 司牧生活, 敎導生活을 하는 여가에 지은 광의의 天學詩들을 수록한 것이다. 陳垣 선생은 오어산 신부의 선교 생애를 ‘窮’과 ‘忙’으로 개괄하였는데, 연구자는 여기에 ‘愁’를 더하여 오어산 신부의 삶과 고민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三餘集』에 수록된 시를 통해 보면 오어산은 고령에도 불구하고 라틴어와 교리에 대한 학습 의지를 접지 않았고, 목자로서 사목에 대한 열의를 불태우며 바쁜 나날을 보냈을 뿐만 아니라 중국 역사 속의 영웅과 고사 들을 인용하여 기독교 교리를 알리고자 하였다. 본문에서는 오어산 신부가 『三餘集』에 남긴 천학시들을 修道詩, 司牧詩, 敎導詩로 나누고, 이상의 내용들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5,800원
        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 「정지용 가톨리시즘의 역사적 재난에 대한 대응」의 목적은 정지용종교시의 역사적 대응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세계 가톨리시즘 문학의 계보에서 정지용의 종교시가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을 계승한 것으로 보는 데서 출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2장에서는 하이데거의 『종교적 삶의 현상학』을 원용하여 정지용 종교시의 ‘고통’과 ‘비애’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1절에서는 「임종」과 「은혜」의 해석을 통해 인간은 자신의 삶의 본질에 다가갈수록 고통을 느낄 수밖에 없으며, 고통의 극한에서 신을 요청하는 것으로 보았다. 2절에서는 「비극」과 「불사조」의 해석을 통해 종교시의 비애는 구원을 통해 기쁨을 얻게 되는, 역설적 비애인 것으로 보았다. 나아가 3장에서는 종교시의 역사의식의 의미를 논구하였다. 1절에서는 「갈리레아 바다」, 「그의 반」, 「슬픈 우상」 이 현해탄의 역사적 의미를 종교적 상상력으로 극복한 것으로 보았다. 2절에서는 「승리자 김안드레아」, 「다른 한울」, 「또 다른 태양」, 「나무」에 나타난 순교의 역사적 의미를 밝혔다. 결론적으로 정지용의 가톨리시즘은 역사적 재난 가운데서 인간의 내면을 옹호하였음을 밝혔다. 나아가 한국의 가톨리시즘 종교시에 대한 연구를 차후과제로 남겼다.
        5,200원
        6.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초대 한국 천주교회 설립 단계에서 한국 천주교 문학에 이어진 서간 중 이순이 루갈다 가족의 서간의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 천주교 서간 문학의 특 징을 규명한 글이다. 서간은 한국 전통 문학의 양식의 하나일 뿐 아니라 성경을 비롯하여 교회문헌에서 이어진 글쓰기이다. 이순이 루갈다 가족의 서간은 이러 한 두 전통이 만나 형성, 전파, 전승된 한국 천주교 문학의 대표작이다. 본고에 서는 이순이 형제의 서간을 ‘가족 서간’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하였 다. 이들 서간은 가족이 주체가 되어 가족에게 남긴 서간에서 출발하여, 이것이 신앙 담론과 결합하면서 신앙을 중심으로 한 신앙 공동체의 담론으로 변모한다. 또한 순교에 대한 심정과 과정을 진솔하면서도 과장 없이 기술함으로써 사적인 편지에 머물지 않고, 신앙의 모범이자 신앙의 가치를 담은 교회의 서간으로 의 미화 된다. 가족을 중심으로 한 조선 사회에서 가서의 형태로 전해진 이순이 가 족의 서간은 수도 공동체나 사도 중심의 서구 가톨릭 신앙 공동체 및 그들의 서 간과 다른 한국 천주교회가 남긴 한국 천주교 문학의 유산이다
        6,000원
        8.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天學詩란 명말 청초 중국 고전시가의 형식을 빌려 천주교의 교리와 전례 등에 관련한 내 용을 담아낸 시를 이르는 말로, 청나라 초기 중국인 예수회 신부 吳漁山이 처음 사용하였다. 오어산은 ‘淸初六大家’의 한 사람으로 화가로서 명성이 높았으며, 지천명의 나이로 ‘聖名之城’ 이라 불린 마카오의 성 바오로학원에서 예수회 수도자로서의 삶을 시작했던 특이한 인물이 다. 『三巴集』은 성 바오로학원에서 생활하던 오어산이 해항도시 마카오의 자연·인문환경을 노래한 『澳中雜詠』과 새롭게 학습한 기독교의 교리와 전례, 그리고 그가 속했던 예수회의 규 율과 성인들을 송찬한 시를 모은 『聖學詩』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에서는 『澳中雜 詠』에 나타난 천학시와 함께 『聖學詩』에 수록된 천학시를 교리시, 전례시, 송찬시 세 부분으 로 나누어 분석하고 중국고전문학에서 천학시가 갖는 의의와 함께 해양을 통한 동서양 인문 학의 교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6,600원
        9.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public of Ireland is called a 'saint's country' since more than 90% of population believe in Catholicism. The Irish Catholicism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Irish society and culture by offering the hierarchical order to Irish people's way of life. And also, Catholicism had been a symbol of nationalism and played the role to confirm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It is also true that since Free State Ireland, Catholicism with the word 'Gaelic' has contributed to making the national identity or 'racy Irish atmosphere'. However, the Irish Church of the 20th century was dedicated neither to spirituality nor the intellectual enhancement of the faith, but to material and social advantage. At the first stage of his writing, Yeats tries to consider Irish Catholicism as holy, combining it with mysticism of theosophy. And also he uses it to strengthen nationalism. However, Catholicism of that time, unlike what Yeats thought, sticks to the practical line, which makes Yeats criticize its materialistic ends. Meanwhile, talking about Heaney, although he accepts its values of contributing to the communal union and he himself is a serious devotee to pilgrimage going to Lough Derg or Station Ireland. Heaney feels at ease because of Catholic's fanaticism and oppression imposed on individuals. The final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although these two poets, Yeats and Heaney, accept that Irish Catholicism has contributed to inspiration of the national patriotism and promoted the modernization of independent Ireland, they criticizes that Irish Catholicism is lacking its artistic spirituality and that it is a trap from which artists are to escape.
        5,200원
        1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엘리엇의 공동체관이 그의 종교, 앵글로 가톨릭과 관련되어 있음을 고찰하여 그의 공동체관이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종교적 원리를 가지고 있음을 규명하는 것이다. 엘리엇의 공동체 관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유럽 전통과 각 개별적 국가들의 특수성을 결합할 것을 추구하는 것으로 지적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합은 매우 역설적이며 양립불가능하게 보인다. 이와 같은 역설적이고 양립불가능 한 결합의 양상을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앵글로 가톨릭시즘이 가지는 몇 가지 특징에 주목하였다. 앵글로 가톨릭시즘은 유럽의 가톨릭전통을 추구하면서 영국 지역의 특수한 상황을 결합하는 종교적 애매모호성, 성육화의 교리를 지적추구로 접근하여 신앙심을 고취시키는 교리적 애매모호성과 더불어 빅토리아 시대의 도시 빈민들에 대한 관심과 물질적 현실사회에서 종교적 이상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을 탐색하였다. 이와 같은 앵글로 가톨릭시즘의 특징으로, 본 연구는 앵글로 가톨릭 시즘과 엘리엇의 공동체관이 관련되어 있으며, 그의 공동체관은 시·공간 적 특수한 요소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물론적 차원을 넘어서며 모든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원리를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만약 엘리엇 연구자들이 엘리엇의 종교관과 그의 종교 앵글로 가톨릭시즘과 의 관계연구를 더욱 면밀하게 수행한다면, 엘리엇의 문화와 공동체에 관한 더욱 광범위한 원리를 규명하여 현재에도 현실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