宋元話本小說 ‘篇尾’에는 다양한 ‘修辭格’이 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修辭格의 표현을 통해 수사 예술의 뛰어난 성과를 살펴볼 수 있다. ‘篇尾’에 운용된 ‘修辭格’은 어문의 기세와 독자 의 인상을 강조하거나, 혹은 작품 내용을 응집하고 정련하면서 간단하고 정제된 방식을 유지 하기 위해서거나, 또는 어문 형식을 응용하여 서술적 흐름에 변화와 조화를 구현하는 등의 예술적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수사 예술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은 먼저 서술자에 대한 감정 과 견해, 주장과 생각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하며, 이어서 작품 내용에 대한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이해를 도와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당시 話本小說 에 나타난 다양한 수사 기교를 통해 小說修辭學의 미학적 관점과 표현 예술의 구현 과정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宋元話本小說 ‘篇尾’에 나타난 수사 기교와 예술적 성취는 상당히 체 계적이고 숙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청자(독자)를 주요한 대상으로 그들에게 가장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예술적 감흥을 전달하는 법을 강구하는 것이며, 동시에 작가 자신의 미적 감각을 ‘修辭格’의 운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작가는 작품에 대한 내용과 형식, 주제와 의미에 대한 예술적 안배와 조정을 ‘篇尾’를 통해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청자(독자)에게 효과적이고 적확하게 작품의 내용과 주제를 종결하거 나 정리하여 전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중국소설사에서 明代에 활발히 이루어진 소설의 텍스트화 과정을 살 펴보고, 그 속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를 분석했다. 인간이 언어로 소통을 하면서 최초의 문학 활동은 문자가 아닌 구술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존 중국문학사에서 구술문학은 그 역사와 가능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하게 다루어졌다. 특히 명대 이후 소설이 텍스트로 대량 출간 됨으로써 문학적 비평이나 담론은 거의 문자로 된 문학 영역만을 다루고 있는 것이 현실이 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설 이전의 형태인 말하고 듣기로서의 이야기(說話)가 점진적으로 문자의 영역인 텍스트 속으로 전이된 과정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구술로서의 이야기의 문 화적 가능성을 주로 다루고자 했다. 특히 소설 텍스트의 형식화로 인해서 문자로 소설을 읽 는 독자와 귀로 이야기를 듣고자 하는 보다 광범위한 대중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아울러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聊齋志异』 속 ‘人化爲物型’ 고사 네 편( 阿寶, 向杲, 促織, 竹靑)을 대상 으로, 주인공들이 인간에서 동물로 변신하게 된 동기와 양상을 분석하고, 변신을 통해 그들이 추구한 욕망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다. 각 작품의 서사 전개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변 신은 모두 변신 주체의 내적 결핍이 외부적 억압기제와 결합하면서 발생하게 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인물의 변신을 推動하는 동기, 내적 결핍, 특정한 동물로 변신하는 변신의 방향성, 이 세 가지 요소의 종합 분석을 통해 도출해낸 욕망의 구체적인 양상은 첫째, 진실한 사랑을 얻고자 하는 욕망, 둘째, 사회적 제약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 셋째, 타자로부터 인정받고 자 하는 욕망, 넷째, 현실에서 탈주하고자 하는 욕망이다. 이들의 욕망이 당시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축적되고 분출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속에는 동시대를 살아간 인물들의 공 통된 욕망 또한 일정부분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즉, 『요재지이』 속 변신 서사에는 ‘변신’이라 는 환상의 세계와 ‘욕망’이라는 현실의 세계가 공존하고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曹雪芹의 소설 『紅樓夢』을 소재로 각색한 청대 시기 희곡 중에서, 극작가 吳鎬의 『紅樓夢散套』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吳鎬의 『紅樓夢散套』는 청대에 각색한 홍루몽 희곡에서 통시적으로 중간 시기에 위치한 작품으로, 극작가가 소설 원작에 대한 비평 적 태도를 드러내는 동시에 다른 홍루몽 희곡 작품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가 각색을 하게 된 주요 출발점이 되었음을 밝히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극작가가 이러한 태도를 구현하는 주요 각색 방법은 『紅樓夢散套』의 체제와 구성을 분석하고, 극중 인물의 배치와 운용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먼저 극의 내용을 120회 『紅樓夢』의 주요 이야기 전개 축선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구성하여 원작의 색채를 존중하였고, 극 전개 상 주요 대목에서 여 성 인물을 초점화자로 설정하며 이들의 극중 역할 비중을 원작에 비해 확대하거나 축소하고, 또 역할의 성격을 변경하는 것 등을 통해 원작 및 기타 각색 희곡 작품과 구별되는 독특한 주제 의식을 형상화 하도록 하는 결과를 도출하도록 의도하였다. 『紅樓夢散套』의 극본은 여 러 차례 중복 간행하였고, 또 중국 이외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특히 한국에서 소장하고 있 는 『紅樓夢散套』유일한 청대 홍루몽 희곡 작품으로, 희곡 각색을 통한 중국에서의 『紅樓夢』수용 경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한국에서의 『紅樓夢』 전파 과정, 나아가 중국 고전 소설과 기타 장르와의 연관 관계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참고할 만한 측 면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청대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 소설의 전체적인 상황과 그 특징을 파악해 보기 위 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만주족이 문자를 가지게 된 것은 1599년의 老滿文과 1632년의 新滿文 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만주족은 정권 초기부터 한족 문화와 제도를 적극 수용하였고, 그로 인 해 한문 서적의 만주어 번역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文館으로부터 內三院, 內閣 기구에는 滿 文 번역 부서가 마련되어 있었고, 內翻書房과 같은 전문번역기구가 설치되기도 하였다. 科擧 에는 飜譯科가 신설되었고, 啓心郞, 筆帖式과 같은 통번역 업무를 전담하는 관료 계층도 생겨 났다. 國子監과 八旗 교육기관에서는 만주어문 교과과정이 개설되어 만주어 학습을 장려하였 고, 만문을 사용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힘썼다. 청대 만주어 번역 소설의 출현은 이런 독특 한 시대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만문 도서는 크게 抄本과 刻本으로 구분되며, 각본은 官刻本과 坊刻本으로 나뉜다. 청대에 나온 만문 도서는 수도 北京의 황실 중심의 관각본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에 지방 관서의 각본은 주로 만주어문 학습에 필요한 교과서나 공구서가 중심으로, 지극히 작은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업적인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만문 坊刻本 역시 北京에 집 중되어 있었다. 방각본 만문 도서는 대부분 만한합벽이고 순수 만문으로만 된 것은 극소수이 다. 당시 書坊들에게 만문 도서의 간행은 주력 사업이 아닌 부차적인 아이템이었다. 내용적으로 四書 등과 같은 유가경전, 사전류, 만주어문 학습서 등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고, 『삼국연의』, 『요재지이』 등과 같은 문학 작품은 극히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필자의 불완전한 통계에 따르면, 현존하는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 소설은 대략 48종이다. 이 가운데 90% 정도는 만문으로만 번역되어 있고, 10%는 만문과 한문이 병렬되어 있는 滿 漢合璧으로 되어 있다. 내용적으로 볼 때 연의류 소설과 재자가인류 소설이 거의 80% 정도 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사대기서’는 만주족 사이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던 소설 로, 『삼국연의』는 多爾袞의 명으로 순치7년(1650)에 간행되었고, 사대기서 나머지 작품들도 비교적 이른 시기인 강희 연간에 만문으로 번역되어 각본, 혹은 초본의 형태로 유통되고 있 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청대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 소설의 규모와 유통 범위는 크지 않았고, 주 로 북경을 중심으로 하는 만문 식자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고 추론해 볼 수 있다. 그 식 자층은 대부분 ‘旗人’에 속해 있던 사람들로 만주족을 비롯하여 일부 몽고족, 한족 등 만주어 문화권에 속해 있던 사람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역본 소설은 만주어 문화권에 속해 있던 蒙古族, 錫伯族, 達斡爾族 등 북방 소수민족들을 비롯하여 글자를 알지 못하던 훨씬 더 많은 만주족들에게 ‘烏勒本(ulabun)’과 같은 說唱 예술의 형태로 전파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서유기』는 불교적 구도의 과정에서 각 층위의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며 승화해 가는지를 그려낸 소설이다. 본고에서는 豬八戒의 이름과 거처, 그의 데릴사위 살림, 그리고 손오공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이 각 측면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 인물형상에 담긴 불교적 상징과 비유,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떠한 불교적 주제의식을 구현하고자 하는가를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저팔계는 天蓬元帥, 豬剛鬣, 豬悟能, 豬八戒의 이름을 갖는다. 그 이름은 각기 번뇌의 대표 (천봉원수), 자아의 집착(저강렵), 주체와 대상의 불이성을 깨달으라는 과제(저오능), 자아의 승화를 위한 실천방안(저팔계) 등을 상징한다. 저팔계의 거처 또한 풍부한 상징적 함의를 갖 고 있는데 烏斯藏國은 달의 나라로서 진리를 대상화하여 집착하고 있는 팔계의 현주소를 드 러내는 이름이다. 福陵山은 팔계가 복을 쌓아 산을 이루는 방식으로 구도에 임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점을 암시하고, 雲棧洞은 팔계가 걷고 있는 것이 허구의 길이므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음을 말해준다. 저팔계는 달을 상징하는 姮娥, 卯二姐, 翠蘭에게 집착한다. 그것 은 진리에 눈뜨는 길과는 정반대의 길을 걷는 일로서 팔계가 줄곧 데릴사위의 살림을 산다는 사실을 통해 효과적으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저팔계는 손오공과의 관계를 통해 그 자아의식 으로서의 본질이 잘 밝혀진다. 손오공은 팔계를 감시관찰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은 서천여 행의 핵심내용이 된다. 불교적 진리는 마음의 작용(팔계)을 밝게 관찰하는(손오공) 일을 통해 서 밝혀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팔계는 서천여행이 끝나고 여래에게 정단사자라는 이름을 받게 된다. 그것은 출발시의 팔계가 갖고 있던 8만 4천 번뇌가 있는 그대로 8만 4천의 지혜와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되었음을 밝히는 이름이기도 하다.
현전하는 최초의 南戱 『張協壯元』과 明末 馮夢龍의 話本 ‘三言’ 속의 『金玉奴棒打薄情郞』 은 ‘婚變’을 서사한 중국고전서사물 중에서 남편의 배신으로 인한 ‘破鏡’과 아내의 용서로 인 한 ‘重圓’을 이루는 독특한 모티프를 가진 작품이다. ‘파경중원’ 서사에 대한 기존 연구는 ‘파 경’의 원인으로 근세기를 아우르는 科擧문화라는 봉건사회의 한계에서 탐색하고, ‘중원’의 동 인은 禮敎문화의 굴레와 ‘大團圓’을 갈구하는 민족심리로 귀결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작품 내에서 작동하는 ‘교환과 증여’의 법칙에 입각하여 탐구한다. 그 결과, 이 작품들의 ‘혼인’-‘파경’-‘중원’ 과정에 ‘증여’와 ‘교환’의 법칙이 작동하고 있고, 남희 『張協壯元』은 ‘증여와 교환의 딜레마’에 처해 있음을 밝힌다.
본고는 『삼국지』와 『삼국지평화』, 그리고 『삼국연의』에 이르기까지, 여포의 ‘義父殺害’ 고 사가 어떤 양상으로 變容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각각의 작품들은 여포와 정원·동탁과의 관계 및 그들이 여포의 손에 살해되는 과정 등을 相異하게 묘사하였기 때문에,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여포의 배신 요인 역시 차이가 있다.
역사서 『삼국지』의 기록을 살펴보면, 여포는 “용맹하나 지모가 없는(勇而無計)” 인물로, 올 바른 정세 판단을 하거나 제대로 된 主君을 알아보지 못했다. 즉, 어리석음이 그를 배신자의 길로 이끌었다고 할 수 있겠다.
元代 『삼국지평화』는 여포의 배신에 허구를 더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냈다. 이 작품 에서 정원과 동탁은 여포가 살해를 저지를 정도로 그를 극단으로 몰아붙였고, 때문에 여포의 살인은 배신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삼국지평화』에서 여포는 反面人物이기 때 문에, 그의 살해 동기를 크게 부각시키지 않는다.
『삼국연의』의 여포는 과도한 자부심을 가진 인정욕구가 강한 인물로, 그의 판단과 행위의 준거가 되는 것은 나르시시즘(narcissism)의 만족 여부이다. 여포는 정원과 동탁으로 인해 나 르시시즘이 억압되자, 그들을 죽이는 배신을 저질렀다. 그는 나르시시즘에 빠져 자기중심적으 로 해석하고 판단했기 때문에 배신을 거듭하면서도 죄의식을 느끼지 않았다.
결국, 『삼국연의』의 유행과 영향으로 인해, 여포는 변명의 여지가 없는 ‘반성을 모르는 배 신자’로 영원히 남게 되었다.
한자는 오랜 세월 중국어를 기록하는 문자로 사용되어 온 만큼 시대변화에 따라 그 의미 가 파생되거나 때론 가차되어 자의가 계속해서 확장되었다. 현대 중국어는 과거에 비해 외래 어 표기를 위한 음역어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 영어 음역어이다. 표의문자 성격이 강한 한자로 영어를 음역한다는 것은 여러 문제점이나 어려움도 있지만 한자의 자의를 더욱 풍부하게 확장시킨다는 점에서 나름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본고에서는 현대 중국어의 한자 자의 확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이를 위해 먼저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방법과 그 영향 에 대해 알아본 다음 몇 가지 단음절 음역어를 예로 들어 한자의 자의가 어떻게 확장되었는 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관련 교육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외래어는 새로운 사물과 개념에 대하여 본국 어휘에 대응되는 것이 없을 때 차용하거나 외국 문화와의 교류가 잦아지면서 이에 따른 외국어의 유입으로 형성된다.1) 외래어는 세계 여러 언어에서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정의를 살펴보면 ‘교류를 통하여 자 연스럽게 또는 필요에 의하여 외국어를 자기의 언어적 요소로 바꾸어 사용함으로써 정착된 단어’를 외래어라고 한다. 이러한 외래어는 신조어를 만들어 그 나라의 어휘를 더욱 풍부하게 하기도 하지만 고유어를 위축시키거나 문법체계를 혼란시키는 부작용도 있을 수 있다.2)
중국어에서 외래어를 표기하는데 쓰인 단음절 음역어는 假借義가 의미항목에 추가되는데, 假借義는 음이 같다는 조건 하에 나타낸 본래 한자와는 무관한 의미로, 나무로 말하면 다른 나무에 접지한 나뭇가지라고 할 수 있다.”3) 예를 들어 ‘花’의 本義는 ‘꽃’인데, 현대 중국어에 서는 ‘돈을 쓰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이는 꽃과 전혀 상관없는 의미로, 假借義라고 할 수 있다.4) 과거에는 주로 어기조사나 추상적인 의미 등을 假借義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는데, 요즘엔 외래어를 음역하는 과정에서 假借義가 추가되는 경우도 있다. 引伸義와 假借義 모두 한자 자의가 확대 응용되는 과정에서 생긴 새로운 의미로, 한자의 자의 변화와 발전에 영향 을 미치고 있다. 다음에서 중국어로 외래어를 표기하는 방법과 외래어가 중국어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天學詩란 명말 청초 중국 고전시가의 형식을 빌려 천주교의 교리와 전례 등에 관련한 내 용을 담아낸 시를 이르는 말로, 청나라 초기 중국인 예수회 신부 吳漁山이 처음 사용하였다. 오어산은 ‘淸初六大家’의 한 사람으로 화가로서 명성이 높았으며, 지천명의 나이로 ‘聖名之城’ 이라 불린 마카오의 성 바오로학원에서 예수회 수도자로서의 삶을 시작했던 특이한 인물이 다. 『三巴集』은 성 바오로학원에서 생활하던 오어산이 해항도시 마카오의 자연·인문환경을 노래한 『澳中雜詠』과 새롭게 학습한 기독교의 교리와 전례, 그리고 그가 속했던 예수회의 규 율과 성인들을 송찬한 시를 모은 『聖學詩』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에서는 『澳中雜 詠』에 나타난 천학시와 함께 『聖學詩』에 수록된 천학시를 교리시, 전례시, 송찬시 세 부분으 로 나누어 분석하고 중국고전문학에서 천학시가 갖는 의의와 함께 해양을 통한 동서양 인문 학의 교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LÜ Zu-Qian, ZHEN De-Xiu, and JIN Lü-Xiang are all renowned Neo-Confucianists during the Song Dynasty. Their viewpoint on literature was built on Confucianism’s Tao and they considered sentences from Liu Jing canon for their sentence structuring. Yet there are differences in compilations they made regarding selection of literatures and writers based on their selection criteria.
LÜ Zu-Qian’s Song Wen Jian contained various works and writing styles, adhering to the emperor’s order to select sentences that would do good for politics. However, his compilation is criticized for lack of coherence. His another compilation Gu Wen Guan Jian mainly consists of sentences of archaic prose writers, holding true to its purpose of guide to sentence structuring. Taken together, overarching characteristics of LÜ’s compilations are purpose of guide to sentence building.
ZHEN De-Xiu viewed sentence as part of academic pursuit, and argued that literature should identify sages’ findings and teachings. And it should be practically useful for the country, not merely a talk for talking’s sake. Holding true to such belief, ZHEN compiled Wen Zhang Zheng Zong by dividing the compilation into four sections: CiMing (purpose), YiLun (exchange of opinion), XuShi (launch work) and ShiFu (verse and prose) in a bid to teach readers for what the right kind of literature works is. This book, albeit stronger philosophical thought of Neo-Confucianism of the Song Dynasty compared to LÜ’s compilations, is mainly intended as a guide to creation of literature.
JIN Lü-Xiang’s Lian Luo Feng Ya, the first compilation of poems written by Neo-Confucianists of the Song Dynasty contains the Lian Luo School’s poems and proses to identify the school’s origin and scholastic mantles. JIN put his painting Lian Luo Feng Ya Tu on the first page to demonstrate his academic tradition as a successor of Zhu Xi, and arranged literature works in the order of this. It has an implication as the first compilation of the Song's Neo-Confucianists’ poems that abstracted poems created by figures of the Lian Luo School and reestablished line of the Lian Luo School, a big move from traditional framework of compilation for traditional literatures.
최근 중국 대륙 문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주류 문학이자 소수자 문학으로 인식되어왔던 홍콩이나 대만문학, 또는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화인(華人)들의 화문문학(華文文學)에 대한 연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필자는 홍콩작가 예쓰(也斯)의 작품을 통해 과거 식민지 홍콩에 대한 기억과 흔적들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1970년 대 홍콩 정부가 시행한 사회개혁안 중 도시개혁으로 인해 사라져버린 특정 장소나 건물에 대 한 개인의 기억과 생각들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필 자는 식민지 홍콩이 중국 대륙의 정치, 사회, 문화와는 상당히 다른 자신만의 독자성과 로컬 적 특징을 어떤 식민지 역사적 과정을 통해 형성시켜왔는지 개인의 기억을 통해 살펴봄으로 써, 동시에 홍콩 문학 역시 그만의 독자성을 가지고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홍콩은 서로 다른 문화가 섞여서 만들어진 곳이다. 하지만 서로 다른 문화가 단순히 혼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문화가 섞여서 제3의 새로운 성질을 지닌 어떤 곳으로 재탄생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이 예쓰가 그의 작품을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홍콩이다.
路遙는 중국의 當代 작가로, 그의 平凡的世界는 고난과 시련을 이겨내고 자신의 꿈을 추 구해 가는 陝北 지역 사람들의 생활상을 그려낸 장편소설이다. 이 작품의 시대배경은 1975년 부터 1985년까지 10년 동안이다. 이때는 중국의 문화대혁명이 끝날 무렵부터 개혁 개방 초기 까지의 기간이다. 路遙는 작품에서 세 명의 주요인물의 성장과정을 통해 인간의 삶과 개인의 분투와 노력을 표현하고 있다. 특히 세 인물은 각각 ‘성장’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그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이상은 또 각자 달랐다. 이들 중의 두 인물은 공공의 이익을 위한 단체의 리더로서 성장해 가고, 나머지 한 명은 자신의 개인적인 꿈을 찾아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 물질적인 성장이라기보다는 노력을 통하여 자신이 추 구하고자 하는 정신적 성장에 더 큰 가치를 두고 있다. 작가는 작품에서 1980년대 당시 농촌 에서 도시로 진출하려고 하던 사람들의 과도기적인 관념과 그 당시 그들이 직면해야 했던 시 대적 갈등을 표현할 때, 자신이 실제로 처했던 현실과 이상을 추구해 가는 과정에서 겪었던 그 고민을 작품 속에 잘 반영해 냈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 작중의 孫少平은 농촌 을 벗어나 도시로 진출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孫少安은 여전히 농촌에서 소 박한 꿈을 실현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孫少平이 필사적으로 농촌을 벗어나고자 했던 상 황과 孫少安이 끝까지 농촌에서 삶을 영위해 가는 상황을 감동적으로 묘사할 수 있었던 것은 도시와 농촌을 모두 경험했던 작가의 의식 때문으로 사료된다.
Confucianism and Taoism both played very important roles in the history of China. On the whole, such a trend can be found that when the nation is united and the society is stable, Confucianism would prevail and dominate the political orientation. However, Taoism would become the mainstream of social ideology and the main theme of thought together with Buddhism when the nation is in the state of war and there is social unrest. Therefore, it’s obviously necessary to figure out w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schools are.
Confucianism emphasizes on “Difference”, however “Equality” is an important part of Taoism. The refined two terms probably reflect the difference in expounding ideas and practicing theoretical path between them. Confucian politeness rule “being harmonious then respectful” (亲亲尊尊) standardizes Chinese millenarian civilization. Since the existence of Confucianism, it has great influence on each dynasty. It, meanwhile, explicitly specifies a class difference between the young and the old, and between the lower class and the upper class, which is also an equidifferent logic paradigm. On the other side, it appears that Chuang Tzu’s “On Leveling All Things”(齐物论) is unruly uninhibited. However, the “Equality” philosophy builds strong inner strength in a large context and it also has great soft influence on the social framework which is composed of Confucianism on the surface and legalism beneath the surface.
Up to now, the intertexture between “Equality” and “Difference” can probably still contribute to the rebuilding of the Golden Rule by means of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ought and profound historical accumulation.
본 연구는 한중 간 온라인 의견표명 차이를 알아보고자 설계되었다. 특히 양국의 트위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의견표명 행위를 상호비교 하는데 그 주목적이 있다. 여기서는 이들의 온 라인 의견표명에 관여하는 요인을 인구통계학적 변인, 트위터 이용정도 그리고 인터넷 이용 행태로 보고 있다. 기존 의견표명 연구 대부분은 첫째 오프라인에서의 검증연구 위주, 둘째 통계검증에서 주로 비율척도 활용, 셋째 무엇보다 국가 간 비교연구가 한정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한국에 비해 중국의 트위터 이용자들이 온라인에서의 의견표명 을 보다 적극적으로 하고 있었다. 그 중 중국 남성의 온라인 의견표명 의지가 두드러졌다. 둘 째 양국 모두 트위터 이용시간이 길수록 온라인에서 자신의 의견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고, 그 정도는 한국이 중국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이용행태에서 인터넷을 습관적으로 이용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온라인 의견표명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이 한국보다 더욱 뚜렷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시 한번 중국인은 한국인에 비해 온라인 의견표명 행위를 더 적극적으 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온라인 의견표명에 익숙한 중국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온라 인 언어자료를 수집,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양국민 모두 트위터 이용시간이 길고, 습관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개인들이 온라인에서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인터넷에 노출되는 빈도와 목적의식 여부가 의견표명 정도에 영향력을 나타내 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the young people who born in the 1980s and 1990s have been married, the number of young married couples who are open-minded is generally rising. Tourism has gradually been accepted as a new method to celebrate the wedding. So honeymoon tourism is so popular in the tourism market, and it has become a new tourism product in order to meet the newly married couples’ travel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nd overseas honeymoon tourism market and the theory of consumer behavior and psychology, this paper has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honeymoon travel behavior. Shanghai, as one of the biggest international city in China, the number of honeymoon travel consumers is huge. So, by using the questionnaire, this paper also statistically analyzes and contrasts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behavior between Shanghai and other domestic active honeymoon tourism cities and researches the influential factors of honeymoon tourism. Finall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paper provides a reasonable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about the development of Shanghai honeymoon tourism market, hoping to explore more potential customers for the enterprises, developing more new honeymoon tourism products, improving this tourism market system,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honeymoon tourism market.
In 2013,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put forward to build “Silk Road Economic Belt”and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One Belt One Road). “One Belt One Road” would also directly contribute to the continues growth of China's FDI. FDI is one of the key issues in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all around the worl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a-Korea economic, the FDI between Korea and China is particularly attracting extensive attention. In this paper, by using South Korea to China's FDI as a carrier, the determinants of FDI from South Korea to China has been studies under conditions of both practical evidences and experience. In the aspect of practical evidence, green data KTL is introduced timely along with the use of PANELDATA data, which is the product with the development of global green economy, knowledg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been imported to econometric model as determinants. On the other hand, the FDI from China to Korea has been analyzed while with its successful experience. Results shows that GDP (market and the scale of economies), TIEC (Industrial clusters and regional attraction), WAGE (cost and factors), KTL (knowledge innovation and technology) are the determinants of South Korea to China's FDI. Selecting the target stage by stage, implementation of the Chinese localization, taking resource-oriented and making reasonable choice of business focus, concentrating its attention to technology innovation and patent protection is South Korea's successful experience to outward FDI.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hinese government reduces economic disparities across regions and industries through the mean of tax benefits among enterprises. This paper applies multiple regression, which prove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mposed favorable effective tax rates (ETR) on the technology industries in Eastern areas and plantation industries in Western areas at the expense of other industries located in the Central and Northeast areas. This result has several implications. First, the government tried to achieve political stability through its fiscal policy, facing a fundamental dilemma such as farmers' movements against high fee burdens and the political dissatisfaction of minorities in Western areas in China. Second, as the tax is favorable for high-tech companies in Eastern areas, the investments of high-tech companies in these areas is more effective than in other areas.
상사중재는 당사자 간의 자발적인 중재합의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소송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어 국제상사분쟁해결의 주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중재분쟁 과정에서 주 요한 문제 중의 하나가 관할권으로, 중재가 보편화되면서 관할권에 대한 이의도 증가하고 있다. 즉 각국마다 상사중재의 관행이 상이하고, 당사자 간 중재합의에도 불구하고 중재합의의 유효성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여 특정법원의 중재절차를 회피하고 특정 관할권을 거부하는 등 고의적으로 분쟁해결을 지체시켜 이익을 추구할 목적으로 이를 악의적으로 남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는 FTA 체결 이후 양국간의 거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에도 법률규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이와 관련한 문제로 손실이 야기되어 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국과 거래하는 한국기업이 효율적으로 무역분쟁을 해결할 수 있도록 관련법률 규정 을 중심으로 중재관할권에 대한 이의가 어떻게 남용되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규제의 필 요성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이슈인 지속가능한 개발 중 에너지자원 확보의 한 예로 최근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셰일가스(shale gas)의 개발과 국제개발협력을 중국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미국은 셰일가스 생산 급증으로 세계 최대의 에너지생산국으로 올라 섰으며 글로벌시장에서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를 제외한 지역에서의 셰일가 스 개발성공 여부는 아직까지는 불투명하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은 자국의 에너지 안보를 위 해서 셰일가스 수출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이에 대비하여 에너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즉. 국제개발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셰일가스의 개발은 국제개발협력의 지속가능한 개발의 가장 좋은 예이고 국가 간의 개발협력이 가장 필요한 부문이다. 중국은 늘어나는 에너지 소비로 국내 공급용 에너지 확보가 절실하며 미국과 캐나다의 개발사들은 가스 공급과잉에 직면해 있다. 중국은 매장량, 생산계획 등에도 불구하고 낮은 기술 수준, 부족한 수자원, 인프라 부족 등의 회의적인 시각이 존재하고 있다. 중국이 비전통적 자원 개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해서는 경험, 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한 미국과 캐나다의 도움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