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Cervical spine mobilization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increase cervical range of motion (ROM). However, whether using a sling with cervical spine mobilization can provide a similar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ROM and muscle stiffness as conventional cervical spine mobilization has not yet been proven.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ling with cervical spine lateral mobilization on improving neck ROM and muscle stiffness in healthy subjects. Design: A two-group pre-posttest design. Methods: A total of 20 healthy subjects were allocated to a sling with cervical spine mobilization (SWCM) group (n=10) and a cervical spine mobilization (CM) group (n=10). The mobilization exercise at grade Ⅳ+ amplitude was applied to the left-side and right-side C3-C4 and C4-C5 of each group for three sets. The mobilization exercise was performed for 30 seconds (frequency of two vibrations per second), with a 30-second resting time. The active cervical ROM, muscle tone, and muscle stiffness of the cervical region of each group was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active cervical ROM of both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ervical active ROM, cervical muscle tone, and muscle stiffness were observed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sling with cervical spine lateral mobilization is an intervention method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to improve the physiological movement of the neck, as well as cervical muscle tone and stiffness.
        4,000원
        3.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fter a stroke, the patient may have abnormal muscle tone due to abnormal alignment. Physical therapists have used stretching, neural mobilization other methods to treat patients after stroke. In addition, joint mobilization is also used to stimulation in pathway of cervical segmental region and to normal cervical spine alignment.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Maitland cervical spine mobilization has an immediate effect on muscle tone and stiffness of upper extremity. Methods: Thir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experimental group (n1=10), a placebo group (n2=10), and a control group (n3=10). The Maitland cervical spine mobilization was applied in the supine position.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muscle tone and stiffness of biceps brachii, brachioradialis, deltoid, and pectoralis major were measured using Myoton®PRO. In the placebo group, sham mobilization was applied to the fifth and sixth cervical vertebra, and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to control breathing.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uscle tone and stiffness of biceps brachii and brachioradialis in comparison with the affected side and the non-affected side before the intervention (p<.05),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intervention (p>.05). Muscle tone of biceps brachii on the non-affected side and pectoralis major on the affected s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05). The placebo and control group showed no changes on the non-affected and affected sid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ll the group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tone and stiffness of upper extremit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Maitland cervical spine mobilization enhanced muscle tone of upper extremity on the involved side symmetrically, and influenced a decrease in muscle tone
        4,000원
        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lvic, Lumbar spine and Cervical spine manipulation on the joint position sense in normal adults. Thirty normal adul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5 subjects and a control group of 15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pelvic, Lumbar spine and Cervical spine manipulation with massage, whereas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massage. Both groups were evaluated in terms of joint position errors (JPEs) using a digital dual clinometer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comparison of the JP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cervical spine resul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flexion, left lateral flexion, and right rotation (p < .05) and lumbar spine resul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flexion and extension (p < .05), but the control group’s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items (p > .05). The pelvic, lumbar spine and cervical spine manipulation makes an effect on the joint position sense in normal ad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elvis, lumbar spine and cervical spine manipulation improve the motor ability in people with low joint position sense.
        4,000원
        5.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osteroanterior (PA) mobilization on the cervical spine in a patient with chronic whiplash-associated disorder (WA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58-year-old woman who sustained a chronic WAD as a result of a motor vehicle accident two years prior. The subject has progressively worsening neck pain and stiffness. The subject was determined to have a grade Ⅱb WAD the use of the Modified Quebec Classification. The intervention was central and unilateral PA mobilization on the spinous process of C4 and C5. The PA mobilizations were performed at the end of range to Maitland grade Ⅳ. The PA mobilization was conducted once daily for a total of eight days. Two sets of measurements were done one before and one after the intervention. Neck pain, cervical stiffness, range of motion and lordosis of the cervical spine were measured. Experimental intervention decreased the neck pain, and increased the neck stiffness and cervical ROM (range of motion) such as flexion, extension, lateral flexion and rotation. X-ray photographs also represented that cervical curvature increased from 35° to 40°. This study suggested that PA cervical mobilization applied to hronic WAD is effective in decreasing pain, increasing cervical ROM and cervical curvature.
        4,000원
        6.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effectiveness of cervical corrective exercises in a patient with cervical radiculopathy (CR) who experienced radicular pain, upper limb paresis, and limited functional activity. A 39-year-old male with cervical radiculopathy performed the cervical corrective exercises for reducing pain. Pain intensity, cervical posture, and active range of motion of cervical intersegmental spine motion were measured baseline, after 4 weeks, and after 8 weeks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radiographs. After 8 weeks of intervention, the patient demonstrated alleviated radicular symptoms, improved neck posture and active range of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cervical intersegmental spine. Especially in the angle between the cervical vertebra 6 and 7, the angle was changed from -4.69° to 3.30° during resting position after intervention. The present case indicates that the cervical corrective exercises might be a possible treatment to effectively reduce radicular symptoms, improve neck posture, and active cervical intersegmental motion for patient with CR.
        4,000원
        7.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retching and sling stabilizing exercises on changes in the angle of the cervical spine in military neck patients. The subjects were 20 adults diagnosed with a military neck(male:10, female:10) and they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to a stretching exercise group and a sling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The total study period was four weeks.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three times per week for 60 minutes per each time. Before conducting the exercise, X-ray of each group was photographed to measure craniospinal angle(CVA) and cranial rotation angle(CRA).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two groups in changes in the cervical spine ang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result of comparing pre- and post-intervention was that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in CVA and CRA in the stretching group (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VA and CRA in the sling stabilization exercise. Such result suggests stretching exercise is good for improving a military neck and stretching is more effective than sling in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a military neck.
        4,000원
        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경추 척수 손상 부위와 정도를 평가하는 데 DTI 기법은 현재 많은 임상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spinal cord를 영상화 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DTI 기법 중 2D ss-DWEPI에 IMIV(Interleaved Multisection Inner Volume) 방법을 접목한 2D ss-IMIV-DWEPI 기법은 위상 부호화 방향으로 공간적 범위를 감소하여 자화율 왜곡과 motion artifact 등을 줄이고 진단 시 병변 감별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DTI 기법 사용 시 2D ss-DWEPI에서 IMIV 기법을 적용 할 때와 기존 2D ss-DWEPI에서의 rFOV변화에 따른 FA 값과 ADC 값을 비교하고 영상의 질을 평가하여 IMIV 기법사용 시 DTI 기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cervical spine 검사 시 DTI sequence를 적용한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spine coil과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DWEPI DTI는 TR/TE: 4000/65ms, FOV: 192mm, slice thickness: 2mm without gap, matrix: 128×32, 64, 128(rFOV 25%, 50%, 100%), NEX: 8을 사용하였다. 또한 ss-IMIV-DWEPI는 위와 같은 조건으로 matrix 128×32(rFOV 25%)를 사용하였으며 두 기법 모두 slice 수 10개, b factor 0, 500s/mm² 적용하였다. 영상 측정은 두 기법 모두 sagittal 영상을 얻어 cervical C1에서 T1까지 각각의 척추디스크 사이에 ROI를 그려 ADC, FA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2개 segment (C1∼C5, C5∼T1)로 나누어 영상의 motion artifact, distortion, 병변 검출 능력을 평가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ADC와 FA의 signal intensity를 측정한 평균값은 ADC에서 IMIV 560.7, rFOV100% 1261.3, rFOV50% 1387.3, rFOV25% 1321.9 로IMIV의 ADC 값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IMIV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rFOV50%에서 138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A에서는 IMIV 623.1, rFOV100% 578.7, rFOV50% 544.5, rFOV25% 495.7로 IMIV의 FA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ADC에서 IMIV와 rFOV25, rFOV50, rFOV100의 p-value는 statistical significant가 모두 0.05 이하였다. FA에서도 pvalue는 statistical significant가 모두 0.05 이하였다. IMIV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rFOV 변화에 따른 값들 모두 유의한 값을 얻었다. 정성적 평가는 방사선사 5명이 영상을 관찰하고 motion artifact, distortion, 병변 검출 능력 등의 전체적인 영상의 질을 점수화하여 5명의 점수를 평균화 하였다. ADC에서는 IMIV 기법을 적용한 경우 upper/lower spine segment 모두 3.8-4.8 사이의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rFOV25, rFOV50, rFOV100에서는 lower spine segment에서 1.2-2.0 사이의 낮은 점수를 받았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A에서는 IMIV 기법을 적용한 경우가 upper/lower spine segment에서 3.6-4.6 사이의 점수를 받았으며 rFOV25, rFOV50, rFOV100에서 1.4-1.8 사이의 점수를 받았다. 결 론 : 3.0T MRI Cervical spine 검사에서 small FOV DTI 사용 시 IMIV-DWEPI 기법을 사용한 DTI는 기존 DWEPI에 비해 긴 검사 시간을 가지고 있지만 motion artifact, distortion 등의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영상에서의 병변 검출 능력이 우수하므로 임상적 이용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본 논문은 임상적으로 정형화된 경추부 MR 검사에서 틀니 제거와 침 삼킴 등의 불수의적 구강 운동에 의한 움직임 인공물을 개선하기 위하여 구강 삽입 유도기구를 이용한 추가적인 검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 01일부터 2014년 1월 31일까지 경추부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중 틀니를 착용한 13명(남자: 7명, 여자: 6명, 평균 연령: 59±7.23세)을 대상으로 C-Spine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선정 시 폐쇄 공포증 환자, 진정제 사용 환자는 검사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기공명기기는 경추부 MR 검사에 최적화된 1.5T(Magnetom Avanto, Siemens,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고 신호 강도를 획득하기 위한 경추 전용 위상배열코일(Neck matrix coil)을 사용하였다. 실험 도구는 구강 삽입 유도 기구(Endo-piece, Vision, Korea)를 사용하였다. 실험 방법으로 대상에게 고정도구의 안정성과 검사에 관한 사항을 먼저 설명을 한 후 정상 체위앙와위(supine position)로 T₁-TSE-Sagittal, T₂-TSE-Sagittal, T₁-TSE-Axial, T₂-TSE-Axial을 획득하고 환자의 입에 구강 삽입 유도 기구를 삽입한 후 다시 T₁-TSE-Axial과 T₂-TSE-Axial을 검사하였다. 영상의 평가와 분석은 환자의 임상 소견과 판독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성적 분석(qualitative analysis)과 SNR(signal to noise ratio)과 CNR(contrast to noise ratio)을 바탕으로 한 정량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을 사용하였다. 결 과 : SNR은 고정도구 삽입 전 T₁-TSE-Axial이 22.33±8.59, 고정도구 삽입 후 T₁-TSE-Axial이 25.21±7.93, 고정도구 삽입 전 T₂-TSE-Axial이 14.49±5.74, 고정도구 삽입 후 T₂-TSE-Axial이 16.61±6.72이었다. CNR은 T₁-TSE-Axial이 0.236±0.21이고 T₂-TSE-Axial이 0.219±0.22로 측정되었다. 정성적 분석 결과 고정도구 사용 전 T₂-TSE-Axial 에서 3.25±0.18점, 고정도구 사용 후 T₁-TSEAxial 영상이 3.95±0.14점을 나타내었다. 결 론 : 고정도구를 사용한 추가적인 검사기법의 적용으로 환자들의 불수의적 인공물이 저감화됨에 따라 영상의 대조도와 분해능이 향상되었고, 영상 판독과 질환의식별에도 기존 검사 기법에 비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움직임 인공물로 인해 질환의 경계가 불분명했던 부분이 명확해 졌으며 업무의 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0.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duration of smartphone usage on cervical and lumbar spine flexion angles and reposition error in the cervical spine. The study included 18 healthy smartphone users (7 males and 11 females). We measured the kinematics of the upper and lower cervical and lumbar spine flexion angles and the reposition error of the upper and lower cervical spine after 3 s and 300 s smartphone use in sitting. A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duration of smartphone usage on the kinematics of cervical and lumbar spine flexion angles and reposition error. The flexion angles of the lower cervical and lumbar spine and the reposition error in the upper and lower cervical spin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300 s smartphone of use (p<.05). However, the flexion angle of the upper cervical spin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3 s and 300 s smartphone of use (p>.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longed use of smartphones can induce changes in cervical and lumbar spine posture and proprioception in the cervical spine.
        4,000원
        11.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d the stability of the cervical spin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neck pain and deep neck flexor performance. Thirty subjects with neck pain, and thirty subjects without neck pai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Cranio-cervical flexion (CCF) test was applied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to classify the subjects into four subgroups; no cervical pain and good deep neck flexor performance (NG group), no cervical pain and poor deep neck flexor performance (NP group), cervical pain and good deep neck flexor performance (PG group), and cervical pain and poor deep neck flexor performance (PP group). The head sway angle was meas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A 3-kg weight was used for external perturbation with the subject sitting in a chair in the resting and erect head positions with voluntary contraction of the deep neck flexors.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with a Bonferroni post hoc test. The deep neck flexor performance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four groups (p<.05). The NG group had significantly greater deep neck flexor performance than NP and PP groups. The stability of the cervical spine also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four groups in the resting head position (p<.05). The head sway angle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NG group a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The PP group had the greatest head sway angle in the resting head posi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bility of the cervical spine among the groups in the erect head position with voluntary contraction of deep neck flexors (p=.57).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ep neck flexor performance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cervical spine from external perturbation.
        4,000원
        16.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자는 부득이 임상에서 환자가 전․후 자세를 취할 수 없을 경우 후 전 뒤침(Pronation)자세로 목뼈 사위(RAO, LAO) 촬영법을 주관적, 객관적 평가 실험에 보았다. 객관적평가는 척추사이공간의 각도를 PACS 영상에서 측정한 결과 C2~C3, C3~C4, C4~C5, C5~C6, C6~C7 C7~T1에서의 각은 47.4°±3.3, 50.5°±2.3, 52.7°±4.2, 53.2°±1.9, 53.2°±2.3, 55.2°±2.3로 나타나 하부 목뼈로 갈수록 신경공과 정중 시상면이 이루는 각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영상에서 측정한 추간공의 각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1). 주관적평가 Recever Operation characteristic로 상부 ,하부 목뼈의 기존의 45° 촬영 각도보다는 상부목뼈 구멍(foramen) C2~C3, C3~C4, 50°에서 잘 관찰되었고 C5~C6, C6~C7, C7~T1은 55°에서 잘 관찰이 되었다 실험결과 목뼈 후·전 사위촬영에서 척추사위공간을 영상관찰은 객관적평가 , 주관적평가 후 상부 목뼈의 경우 50°에서, 하부 목뼈 55°에서 잘 관찰할 수 있었다.
        17.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임상적으로 정형화된 경추부 MR 검사에서 틀니 제거 환자들의 불수의적 구강운동, 침 삼킴 등의 불수의적 구강 운동에 의한 움직임 인공물을 개선하기 위해 구강내 삽입 유도 기구를 이용한 검사방법을 제안하고 인공물을 최소화하여 질환의 경계가 불분명했던 부분을 명확하게 하여 최적의 영상을 만들고자 하였다.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6월 31일까지 경추부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중 틀니를 착용한 30명을 대상으로 경추 자기공명검사를 시행하였다. 방법으로는 틀니를 제거한 후 바로 누운(supine position)자세로 T1-TSE-Sagittal, T2-TSE-Sagittal, T1-TSE-Axial, T2-TSE-Axial을 획득하고 환자의 입에 구강내 삽입 유도 기구를 삽입한 후 T1-and T2-TSE-Axial을 검사하였다. 결과로는 정량적 분석 SNR은 구강 삽입 유도 기구 사용 전 T1-TSE-Axial이 22.33±8.59, 사용 후 25.21±7.93, T2-TSE-Axial은 사용 전 14.49±5.74, 사용 후 16.61±6.72이었다. CNR은 T1-TSE-Axial이 0.23±0.01, T2-TSE-Axial이 0.21±0.01로 측정되었다. 정성적 분석으로는 T1-TSE-Axial에서 구강내 삽입 유도기구 사용 전 3.49±0.11, 사용 후 3.95±0.14로 나타났으며 T2-TSE-Axial에서는 구강내 삽입 유도기구 사용 전 3.25±0.18, 삽입 후 3.68±0.09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구강내 삽입 유도 기구의 사용으로 움직임 인공물이 해소되어 영상의 대조도와 분해능이 향상되었고 영상 판독에 있어 질환의 식별능력이 우수하여 영상의 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18.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자동노출제어장치에 의한 X선질 보정 및 다양한 수학적 보정 알고리즘 적용이 가능한 전산화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의 사용 유‧무에 따라 영상의 질과 환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견부강제 견인법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79명을 대상으로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를 사용하기 전‧후의 측면 투영 scout 영상과 횡단면 영상을 획득하여 횡단면 영상의 일정 크기의관심영역 내의 화소 및 평균 HU 값을 비교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인공물과 해상도 및 분해능에 대한 임상 영상평가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환자가 느끼는 불편 정도를 자가 진단 설문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측면 투영 scout영상에서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를 사용한 경우 묘출되는 경추의 수가 증가되었으나 횡단면 영상의 관심영역 내에서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를 사용하기 전‧후에 대한 화소 및 평균 HU 값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인공물과 해상도 및 대조도와 관련된 정성적 분석 결과에서 관찰자간 특이한 결과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의 사용에 대한 자가 진단 설문 평가에서 환자의 82.27%는 불편함을 호소하였으며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영상의 질을 분석한 결과에서 사용에 따른 영상의학적 이점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근 다양한 수학적 보정 알고리즘에 의한 전처리 필터 과정의 적용과 더불어 절편 두께의 감소 및 자동노출제어장치 등에 의한 선질 보정 등이 가능한전산화단층촬영 장치가 보급되면서 선속 경화에 의한 영상의 잡음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영상의 질에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거나 추가적 위험성이 있는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의 사용은 더 이상 임상적 유용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9.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서산시에 거주하는 자로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1월 31일까지 본원 에 내원한 환자 중 방사선 경추 전․후면, 측방향 촬영을 실시하여 총 113명(40세 이하)을 대상으로 조 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의 분포는 14~40세 까지로 남자 57명(50.4%), 여자 56명(49.6%)이었으며, 연령그룹이 30~40 세 80명(70.8%), 20~29세 27명(23.9%)에서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2) 경부통의 발생 원인으로는 교통사고, 실족, 원인 모름이 대부분으로 조사 되었는데 원인 알 수 없 음이 81명(71.7%)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증상 발현되는 시기는 만성 87명(77%)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나 경부통의 발생원인과 증상발현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3) 113명 중 20~29세 27명(23.9%), 30~40세 80명(70.8%)로 증상발현이 급성, 만성 모두 높은 분포를 보였다. 4) 본 연구자는 전체 113명 중 왼쪽 견부 39명(34.5%), 경추부위 31명(27.4%), 양쪽 견부 20명(17.7%) 에서 각각 주요 통증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측만된 방향으로는 왼쪽측만 62명(54.9%)이 가장 많 은 빈도로 나타났다. 5) 전 후 만곡방향에서 전만곡 48명(42.5%)으로 나타났으며, 수축기 혈압에서는 160mmHg에서 전만곡 19명(16.8%), 이완기 혈압에서는 총 69명(61.0%)이 전만곡 31명(27.4%)이 100mmHg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