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its introduction to the Korean peninsula, the Chinese character became the only official script and was revered by the rulers. In post modern era, with the intervention of Western forces and the awakening of Korean national consciousness, Korea began to abolite Chinese character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dismissal Chinese characters in post-modern Korea and the policy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linguistic sociology and theory of Chinese characters cultureology, and analyzes the reasons and rationality of its development,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Korea in the new era,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relevant literature, news magazines, and policy decrees.
Based on statistics of 7,629,399 characters from South Korea’s three largest newspapers in simplified Chinese corpus from the year of 2017 to 2019, we, with the help of a webzip of Chinese research helper and word segmentation software,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font shapes was 5582 and that of None Universal Standardized Chinese Characters was 997, the latter of which contained traditional ones, variant and old glyphs, characters of dialects, wrong uses, names of people, places and objects, terminology and swearing, characters with overseas origin, and so on.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urvey of None Universal Standardized Chinese Characters helps to solve the problems of information switching and language communication between home and abroad. The comparative study can explore the feasibility, method and scope of cooperation between home and abroad in characters, which has a strong reference value not just for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educational characters including machine-used Chinese characters and those for examination but for making language policy.
In this study,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Chinese characters was briefly summarized in Korea based on prior research to date. It also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characters’ use in Korea, and based on this, it presented prospects and challenges for the future.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early Chinese characters in Korea has changed from the invention and enlightenment period of Hangul and the two periods From the period before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to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Chinese characters were common characte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gap from the words used by Koreans at that time. In an attempt to narrow the gap even a little, a number of techniques such as Idu (吏讀), Kugyol(口訣), Hyangchal (鄉札) have emerged. Even after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the official writing system was still Chinese for the ruling class, and most of the writing life, except in special cases, progressed to Chinese characters. Also, Idu or Kugyol continued even after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The period of modern Korean language from the begin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the various conceptual and technical words of the West flowed from the outside,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at failed to use Hangul, was also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This is not only a very important period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but also a transitional period. Not only were many Japanese translations and conceptual words poured in, but they also had to learn Japanese words and writings instead of Korean words and writings.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it has led to the appearance of today’s Korean language after much effort, including studying Hangul in earnest and devising language policies. In this process,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have become increasingly hidden or marked in Korean and Korean, and with the presenc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large context of Korean, the percep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is gradually disappearing.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re extremely limited, simply claiming the current status or importance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an be seen as a return to the past or an outdated empty discussion. Therefore, the problems of using and educating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need to be addressed with strategic and practical problems, reflecting the language reality of Korea now, not just the matter of the party satellite. In addition, there is a future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when they are developed in a modern sense by making good use of their merits, such as Ideographic, economic, and connotation.
Chinese characters are one of the longest-running text in the world, which has not been abolished so far. East Asian countries, especially Northeast Asia, are inextricably linked by Chinese characters. Moreover, Chinese characters has been the Korean people’s writing system in the past two thousand years. Therefore, Chinese Character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Korean language. Korean vocabulary incluedes two systems, that is, original Korean vocabulary and Sino-Korean vocabulary. Original Korean is the vocabulary that used by Korean people for thousands of years. Sino-Korean is the vocabulary that borrowed from Chinese and Japanese words created by Chinese characters. In Korea, many scholars have carried out a detailed analysis and deep research about Chinese Character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cholars’ research, this paper makes a preliminary study on the usage and status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in view of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 The first section pointed out the research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 of this paper; the second section have reviewe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Moreover, the status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will be described; the third section focused on the usage and countermeasures of Chinese characters; Finally, the result of this paper has been summarized in the last section
Chinese Character studies have mainly been focused on four areas: orthography, phonology, meaning, and character frequency. To add a new dimension to the existing approaches, this paper will provide and examine a quantitative data about the range of the vocabulary in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As a promising new method, the new approach, both diachronic and dynamic, will be very useful in exploring changing aspects of Chinese Characters usage, compared with the existing synchronic and static approache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alysis of all Chinese Characters included in Chŏnun-okp'yŏn, the most authoritative dictionary of Joseon dynasty published in 1805 meaning ‘Chinese Rhyme Dictionary’, and in Sinjajeon, meaning ‘New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published in 1915, to explain their changing aspects in the entries of two dictionaries, and then to show how social change affected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early twentieth-century Korea.
To that end, I construct the database of the two dictionaries on the basis of a detailed analysis of all the characters with respect to the radicals, strokes, components, and structures of these characters, which shows that Chŏnun-okp'yŏn includes 10,997 Chinese characters and Sinjajeon contains 13,348 characters with 13,084 in the body text and 264 in three appendices. 2,114 characters were newly inserted and 7 characters were removed in the body text of Sinjaeon.
In particular, the number of the radical headings containing more than 20 newly inserted characters are 35, with 1,624 new characters in total, accounting for 77.1% of the total. The total number of radical headings including more than 30% newly inserted characters are 26. In addition, the number of radical headings containing more than 10 newly inserted characters with a growth rate of more than 20% is 903, accounting for 43% of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s. Based on these data, modern Koreans appears to have a wider vocabulary consisted of Chinese characters.
The number of characters under the radicals meaning animal and plant ( 犬 (dog), 牛 (cow), 肉 (meat), 木 (tree), 米 (rice), 禾 (pine), 田 (farmland), 虫 (insect) etc.), those meaning mineral (石 (stone), 玉 (jade), etc), those meaning industrial products (皮 (leather), 巾 (towel) ect.), those meaning pathology (疒 (illness), 歹 (broken bones), etc.), increased quite a bit, the words reflecting newly emerged phenomena of industrialization or moderniz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addition,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words used for spoken Chinese newly appears in Sinjaeon.
The variants of references in dictionary reflect many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regions and era. These variants are also the key points to the research of characters’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This paper based on the Access of xinzidian, reorganized all the references to Liji, and then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references and Liji. As a result, we found 100 variants, and summarized them as five types. Then on this basis, we attempt to discuss the features and laws of Korea’s characters.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and origin and connotation of the <Xunmeng zihui>. The paper points out that the term of dictionary definition is the key to grasp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o the users. However, because the ancient authors did not explain the terms they used, this resulted in our study of ancient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s very difficult. If we do not understand the terms, the source and uses of the dictionary, We will not be able to carry on the research to the South Korean Ancient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Whether it is the dictionary itself, or its traditional and theoretical.
한자는 형 음 의의 세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그중 자형은 한자의 본체이다. 그러므로 자형을 분석할 때 먼저 한자의 자형구조를 파악해야만 한다. 필획, 부건, 정자 세부분으로 구성되어있는 한자는 구조를 분석할 때 가장 핵심적인 것이 부건이다. 그러므로 한자의 부건을 분석할 때 자형구조를 인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중의 하나이다. 허신의 육서법이 세상에 나온이후 줄곧 한자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현대에 와서 많은 학자들이 육서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많은 한자구조방법론을 내놓았다. 현재 한자의 형체구조이론중 가장 대표성을 지닌 세 가지는 육서와 구석규의 삼서설과 왕녕의 한자구형학설이다. 본 논문은 한자구형학 이론을 이용하여 한국의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의 부건을 분석하고자 한다. 부건분석의 결과로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해내었다. 부건분석후 表意, 標示, 表形, 示音, 記號의 다섯 가지 부건을 도출해냈다. 1차 부건 분해 결과로 중학교 교육용 한자는 직접부건 489개, 고등학교교육용기초한자 554개를 분석했다. 그중 중복된 부건은 모두 291개로 1800자 교육용기초한자의 직접부건은 모두 752개이다.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의 기초부건은 335개이고 고등학교 교육용 기초한자의 기초부건은 356개로 그중 중복되는 기초구건은 228개이므로,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의 기초부건은 모두 463개이다. 한국 교육용 기초한자의 구형모델은 모두 7개로 모든 기능영합성자, 會義 합성자, 音義합성자 ,標義합성자, 形義합성자, 義記합성자, 聲記합성자이다. 구형의 이치적근거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은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는 87.33%, 고등학교 교육용 기초한자는 89.1%로 평균수치는 88.22%이다. 교육용 기초한자의 분석결과는 중국의 상용한자와 비교하여, 새로운 한자교육 방법론의 인식은 물론 중국어와 한자의 학습자에게 현대한자의 새로운 한자 학습 방법론을 익히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의 한자규범화 및 교육용 기초한자 선정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은 제5회 漢字・漢字 敎育 國際 學術 大會(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n Characters Education and Research)의 주제 발표의 하나로, 韓國의 한자 교육 연구의 動向을 紹介하는 연구 과제로 企劃되었다. 한자 교육 연구의 동향과 성과는 範疇에 따르는데, 한자 교육 연구의 범주와 구분에 앞서 한국에서 한자 교육의 位相과 性格을 座標로 提示한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몇 가지 次元에서 논의될 수 있는데, 한문(과) 교육, 국어(과) 교육, 그리고 중국어, 일본어 교육을 포함한 漢字文化圈 次元으로 收斂된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학교 교과교육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의 핵심 내용 가운데 한 분야이다. 그리고, 한국의 지리적・언어적・문화적 조건에 의해,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국어교육 혹은 한국어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편,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역사적으로, 또한 동시대적으로 ‘한자’를 自國文字로, 혹은 表記의 수단으로 활용했다. 이른바, ‘漢字文化圈’을 말하는데, 비록 <그림 1>에서 표시하지 않았지만, 외곽 點線으로 作用한다. <그림 1>에서 세로축을 기준으로 보면, (가), (나) 영역에 속하는 한자는 일상 언어 생활이나 국어사전 登載 어휘 가운데 ‘高頻度’ 군에 속하는 한자다. 造語力과 常用度 혹은 活用度가 높다. 한문 교육 차원, 곧 가로축을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가), (다) 영역에 속하는 한자가 漢文 典籍에서 높은 빈도를 갖는다. 座標가 스스로 밝히듯이, (가)군에 속하는 한자들이 국어 교육과 한문 교육에서 모두 학습의 轉移 및 相互 作用 效果가 높다. (가), (다)에 속하는 한자군이 바로 현행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의 字種이다. 한편, 한자 교육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연구 문제는, 1972년 이래 국어교과의 附庸으로부터 독립한 한문과의 위상이 외형적으로 좋아진 듯하지만 其實은 孤立無援으로 불안정하게 된 현실을 따져보면서, 한문과 국어의 連繫 내지 統合과 관련지어 조심스럽게 논의되어야 할 과제로 판단된다.
한국의 한자 교육에 대한 연구 현황과 성과를 범주별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漢文科 敎育課程 : 현재,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일차적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가운데, 교과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으로 機能한다.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가운데, 한자 교육 관련 영역에 대한 검토가 집중적으로 遂行되었다. 교육과정에 기술된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한자 읽기 교육, 한자 筆順과 관련된 성과가 提出되었고, 특히 韓國漢文敎育學會는 2013년 ‘초・중・고 한문 학습 字典의 현황과 編纂 방안’을 주제로, 한문학습 자전에 대한 종합적 연구 결과를 報告하였고, 2013년 ‘한문 교육과 創意・人性 敎育’을 주제로, 한문과에서 遂行 可能한 창의・인성 교육을 提案하였다.
•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 : 2000년에 새롭게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가 調整된 이후,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史的 考察, 字義선정, 字形 고찰, 교과서 활용 방안, 형성자의 音價 변화, 의미 통일화 방안 등 제반 분야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를 포함한 교육용 한자의 字量, 字種, 水準,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 방법 측면에서 최근 컴퓨터와 코퍼스언어학의 발달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이 분야를 개척한 연구결과가 注目되는데, 한문교육용 基礎 漢字 선정, 한자 造語 능력, 한자 活用度, 그리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용 基本 語彙․基礎 漢字 선정을 주요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 漢字文化圈의 漢字 敎育 : 한자문화권의 한자 교육에 관한 談論은 한자문화권의 再形成, 현대 한자문화권의 문자 사용과 범주, 한자문화권의 변화 등 한자문화권의 地形圖를 새롭게 照明하였다. 특히, 최근 연구 가운데 韓國, 中國, 臺灣, 日本의 한자 字典의 字形 비교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한자 자전에서 標題字 자형 선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다방면으로 한자 字形 標準化 방안에 대한 논의를 深化, 擴張시킨 보고가 주목된다.
• 國語 敎育 혹 韓國語 敎育과 漢字 敎育 : 국어 교육과 한자 교육(혹은 한문교육)의 관계 양상에 대해 이전의 연구 성과로 連繫 내지 統合, 二元化, 그리고 一元化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최근의 논의 가운데, 국어 교육에서 말하는 어휘 교육은 하나의 덩어리로 굳어져 일상적으로 부려쓰는 어휘의 의미 파악이 목표라고 말하여, 기호론적 입장에서 어휘 학습의 본질적인 목표인 의사소통에 한자 교육이 왜 효과적인지 타당한 근거를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주목된다. 한편,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2013년 춘계 학술 대회에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위상 정립과 방안 연구의 필요성’을 기획 주제로 설정하고, 다방면에서 한국어 교육과 한자 교육의 연관성을 강조하였다.
• 初等學校 漢字 敎育 : 초등학교 한자 교육은 어문 정책, 국어 교육, 그리고 한문 교육 등 이해당사자 사이의 爭點이 되어 왔다. 한문 교육의 경우,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현황과 실태, 교육과정, 성격과 목표 등이 핵심 주제였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대해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초등학교 한자(한문) 교육의 방안 모색’,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 그리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방향 정립과 실행 방안’을 기획하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 전 분야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전개했다.
• 漢字 敎授・學習 方法 및 評價 : 한자 교육 연구에서 가장 實際的 연구 분야가 바로 한자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영역이다.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字源 硏究와 한자 교육’,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의 효율적 방안’을 기획 주제로 설정하여, 한자 교수・학습 방법 분야의 연구를 확대, 발전시켰다. 한편, 한자 교육 평가 분야에서 韓國漢文敎育學會는 ‘동아시아 삼국(韓・中・日)의 한자 능력 평가 및 한문 교재의 현황과 전망’을 기획하고, 한자능력검정시험을 다방면에서 照明하였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을 포함한 한문 교육의 形勢가 점차 衰落하는 것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總論 編制에서의 수업 시수 감소와 ‘한글 전용’에 기반한 국가의 語文 政策과 깊은 관련이 있다. 또 다른 배경으로 정치・경제・사회・교육 등 제반분야에서 이른바 동양 문화 혹 한자 문화의 영향력이 사라지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문화의 도도한 浸潤과 의식의 感染을 들 수 있다. 향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가운데 하나는, 국어(과)와 한문(과)의 連帶 속에서 두 학문[교과]의 지속적 발전을 도모하는 것인데, ‘한자 교육’은 연대의 핵심에 놓여 있다. 連帶와 調和 위에서 국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 교육, 한자문화권, 초등학교 한자 교육,방법과 평가, 교육용 한자 등에 대한 연구 수행 및 결과가 실제적 結實을 맺을
것이다.
漢字敎育에 漢字構造分析理論은 매우 重要한 要素이다. 許愼의 六書論은 최 초의 漢字構造理論으로, 文字學系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하지만 六書論은 小篆에 맞게 형성된 理論으로, 隸變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은 隸書나 楷書體와 簡化된 現代漢字 簡體字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나타 나고 있다. 그러므로 現代로 오면서 漢字를 分析하는 새로운 漢字構造分析理論으로 裘錫圭의 三書說과 蘇培成의 新六書, 王寧의 構形學理論 등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이 중에서 北京師範大學 王寧敎授가 創案해낸 構形學理論은 한자의 部件分解를 基礎로 字形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部件은 특히 다른 漢字를 구성할 때 義符나 音符로 表意나 表音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므로, 部件의 음이나 뜻을 알면 그 部件으로 다른 漢字의 의미나 讀音을 유추 할 수 있으므로 漢字의 形音義를 學習하는데 도움이 된다. 2009년 中國 敎育部에서는 現代 常用漢字의 部件 및 部件名稱 規範을 制定 하였다. 이 部件表는 中國의 現代 常用漢字 3500字의 部件을 514개(441조)部件 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本稿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王寧의 構形學 理論을 利用하여 韓國의 常用漢字 1800字중 먼저 中學校 基礎敎育用 漢字 900字의 部件을 정리하였다. 構形學 理論에 의거하여 漢字部件을 整理한 結果, 아래와 같은 結果를 얻었다. 直接部件489개, 基礎部件335개 및 5개의 구형모델을 귀납 정리했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이후에도 고등학교용 상용한자도 분석하여, 韓國의 常用漢字 部件을 中國의 常用漢字 部件과 比較 分析할 것이다. 이는 韓國의 常用漢字 選定의 必要性과 選定基準 및 여러 가지 常用漢字 選定過程의 문제점을 살펴봄과 동시에 새로운 漢字敎育理論인 구형학 이론을 이용 하여 한자교육방면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外國의 대학입학시험을 통해 韓國의 大學修學能力試驗, 그중에서도 ‘漢文’ 과목 출제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기획한 것이다. 이를 위해 中國의 대학입학시험인 ‘普通高等學校招生全國統一考試’의 ‘語文’ 과목, 그리고 日本의 ‘大學入學者選拔大學入試センター試驗’의 國語과목 중 韓國의 ‘漢文’ 과목에 해당하는 문항을 분석한 기왕의 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경우 한문 과목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 포함되어 시 행되기 시작한 2005학년도 6월 모의평가부터 2011학년도 9월 모의평가까지 총 20 회에 걸친 모의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을 검토 대상으로 하였다. 반면 중국 의 경우에는 2009년 全國卷Ⅰ, 全國卷Ⅱ, 北京卷의 3種만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는데, 그 이유는 이들 시험이 동일한 敎育課程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 이다. 중국에서는 2004년부터 新敎育課程이 일부 지역부터 시행되기 시작하여 현 재 전국적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관계로 지역별로 시험에 적용하는 교육과정 이 다른데, 2009년에 시행된 이들 3종의 시험은 모두 舊敎育課程의 적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일본 大學入試センター試驗의 국어 과목이 하나로 통합된 2006년 시험부터 2007년 시험까지 총 4회를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시험의 구성(문항 수, 시험 시간, 문항당 소요 시간, 배점), 문항의 내적인 면(문 항의 유형, 지문 내용 및 문항 배열), 문항의 외적인 면(문항 형식, 문두 표현, 답 지의 배열, 밑줄 표시, 문제지 면수) 등의 측면에서 三國의 시험을 비교 분석하였 는데, 이를 통해 지문 내용 및 문항의 배열, 평가 방향 및 문항의 유형 등과 관련 하여 여러 가지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re are 3 Chinese Characters Testing Associations using 5,000 Vocabulary Table of Modern Chinese Characters as the standard for testing the teacher’s level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se Vocabulary Tables in their number, forms and so on. These differences not only carries a burden for test‐takers, but also have some difficulties for the standardization of using Chinese Characters in Korea. This article points out the differences exist in these 3 Vocabulary Tables, analyzing their reasons of those differences and put forward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ituation. The article and the conclusion has great value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Chinese Vocabulary Test and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the comparison of the Chinese Characters in Korea and China, etc.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crease the need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eaching of Chinese and Japanese versions of Chinese character pronunciation, and also the modern, simplified versions of Chinese characters that are used in both China and Japan today. A practical problem with the current method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is the fact that the Chinese pronounce the characters differently. Its also common for one who has learned Chinese characters in Korea mot to be able to read actual Chinese newspapers or billboards. To solve these two problems, classes were given using 1,428 chosen Chinese characters that are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alik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Parents of students wish for their children to learn Chinese characters, mainly because they feel it necessary for daily life, and because they feel there is a need to keep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in mind. In addition, they wish for the students to be taught the pronunciations of the common characters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as well. 2.The students feel it necessary to learn the different pronunciations of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o our own, for future trade and relations with China and Japan. 3.In relation to the depth and area of pronunciation studies, parents and students alike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 category marked Learning only the characters that are used in all three countries. This seems to showed desire to learn only the basic characters, in order to become not unfamiliar with the Chinese and Japanese language. 4.The students showed very positive responses about learning the pronunciations of common characters used in all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modernized versions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