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well known that concrete structures exposed to chloride and sulfate attack environments lead to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their durability due to chloride ion and sulfate ion attack.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to evaluate the resistance against chloride ion and sulfate attack of the cementless concrete replacing the cement with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For this purpose, the cementless concrete specimens were made for water-binder ratios of 40%, 45%, and 50%, respectively and then this specimens were cured in the water of 20±3℃ and immersed in fresh water, 10% sodium sulfate solution for 28 and 91 days,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chloride ion and sulfate attack for the cementless concrete specimens, the diffusion coefficient for chloride ion and compressive strength ratio, mass change ratio, and length change ratio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NT BUILD 492 and JSTM C 7401, respectively. It was observed from the test results that the resistance against chloride ion and sulfate attack of the cemetntless concrete were comparatively largely increased than those of OPC concrete with decreasing water-binder ratio.
        4,000원
        3.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olecular mechanisms and genetics of abamectin resistance mediated by target site insensitivity in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wo isogenic AbaS and AbaR strains. Cloning and sequencing of full-length cDNA fragments of GABA-gated chloride channel genes revealed no polymorphisms between the two strains. However, sequence comparison of the full-length cDNA fragment of a T. urticae glutamate-gated chloride channel gene (TuGluCl) identified a G323D point mutation as being tentatively related with abamectin resistance. In individual F2 progenies obtained by backcrossing, the G323D genotype was confirmed to correlate with abamectin resistance. Bioassays using progeny from reciprocal crossings revealed that the abamectin resistance trait due to TuGluCl insensitivity is incompletely recessive.
        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밀여과용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CPVC) 평막의 화학약품 수용액 내에서 경과시간에 따른 내화학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화학약품으로는 막 세정에 주로 사용되는 유효염소 0.5 wt% NaClO 수용액과 산성인 HCl 1 wt%, pH 4 수용액 그리고 알카리인 NaOH 4 wt%, pH 10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수용액중에 CPVC 분리막을 1일, 3, 5, 10일 동안 5, 25, 50℃에서 침지시킨 후, 각각의 인장강도와 파단시 신장율을 측정하여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막 세정시 주로 사용되는 유효염소 0.5 wt% NaClO 수용액의 경우 5℃ 조건에서는 인장강도 변화는 5% 이내이지만 25, 50℃에서는 17%까지 감소하였다. CPVC 분리막의 내화학성은 산성인 HCl 1 wt%와 pH 4 수용액에서 우수하였으나 NaOH 4 wt% 수용액에 대해서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세 종류의 알루미나 시멘트 모르타르의 염소이온 프로파일을 통해 깊이별 염소이온농도를 측정한 후 Fick’s 2nd 법칙을 이용하여 유효확산계수 및 표면 염소이온 농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알루미나 시멘트 내 산화알루미늄 함량이 높을수록 표면 염소이온 농도 및 유효확산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높은 산화알루미늄으로 인한 염소 이온 고정화 능력의 증가로 공극수 내 염소이온 농도가 감소하여 이온 침투가 촉진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해양, 도로 구조물 등 염소이온 노출 환경에서 높은 산화알루미늄 함량의 알루미나 시멘트 사용은 배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8.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performance of concrete using Nano-TiO2 Carrier. As a result, concrete using Nano-TiO2 Carrier was confirmed to be superior than ordinary concrete and commercial TiO2 concrete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performance.
        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a great social damage has been caused by the sargassum homeri, which has flowed from China in the Jeju and Namhae coasts. In this study, biopolymer was prepared by using sargassum homeri and applied to bridge pavement concrete. The performance of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of the bridge pavement concrete made of biopolymer was evaluated. As a result, excellent penetration resistance performance was shown.
        10.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and electrical resistivity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industrial waste were evaluated. From the results,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increases and electrical resistivity decreases when electric furnace slag is mixed. It is needed that the comparison of results with long-term because the electric furnace slag has a ferrous component.
        11.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alcium leaching on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of mortar specimen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est results, the penetration depth of chloride ion was increased after the calcium leaching attack.
        12.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표면 침투 및 코팅형 흡수방지재인 Polydimethylsiloxane(PDMS)을 고인성 섬유복합체(ECC)에 적용하여 적용성, 강도 평가 및 염화물이온 침투 저항성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DMS 적용 방법에 따른 침투깊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방법에서 KS F4930 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용 방법 중, 침지 방법이 가장 우수한 침투깊이를 보였으나 현장적용성을 고려할 경우 스프레이 방법이 적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ECC 배합에 따른 PDMS 침투깊이 실험 결과 배합강도가 감소할수록 침투깊이는 최대 70% 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압축강도 시험 결과에서는 PDMS 침투 깊이가 큰 M4-A, M4-B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PDMS를 적용하지 않은 M4 시험체와 비교하여 9.6%, 8.0% 압축강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침투깊이가 작은 M1-A와 M1-B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M1 시험체와 비교하여 4%, 2.2% 감소하여 PDMS 침투깊이가 클수록 강도감소율이 증가하였다. 염소이온침투 저항성능 평가 시험결과, PDMS의 침투깊이가 클수록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perform experiment of concrete according to addition of blast furnace slag powder and sulfur activator dosages. Blast furnace slag powder used at 30, 50, 80% replacement by weight of cement, and liquid sulfur additives was chosen as the alkaline activator. As a resul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ulfur alkali-activators can not only solve the disadvantage of blast furnace slag concrete but also offer the chloride resistance of alkali-activated blast furnace slag concrete to blast furnace slag concrete.
        1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performance of Surface Protection Material(SPM). SPM was applied 0.25 and 0.51 kg/㎡ to the surface of the mortar and immersed aging of the chloride solution 7, 14, and 28 days. As a results, In the case of SPM was applied, chloride did not penetrate until the 28th day.
        1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resistance of chloride penetration and sulfate attack of mortar substituted heavyweight waste glass were evaluated. As a result, chloride penetration depth and diffusion coefficient decreased with the substitution of waste glass,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is increased. For sulfate attack resistance, the effect of heavyweight waste glass was little.
        16.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표적인 열화현상인 염해를 억제하고자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그 중에서 혼화재료를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콘크리트 혼화재료인 플라이애시를 혼입한 콘크리트와 OPC 콘크리트에 대하여 3가지 수준의 물-결합재비(37%, 42%, 47%)를 고려해 내구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목표 재령일에서 Tang's method에 준하여 촉진 염화물 확산계수 측정 실험을, ASTM C 1202에 준하여 통과전하량 측정 실험을, KS F 2405에 준하여 압축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결과인 재령 28일의 실험결과를 참고하여 확산계수에 대한 시간의존성지수(m)를 도출하여 고찰하였으며, 장기재령의 압축강도와 시간의존성지수 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재령 49일부터 플라이애시 혼입 콘크리트에서 OPC 콘크리트 대비 개선된 염해저항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포졸란 반응에 의해 생성된 불용성의 수화물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플라이애시 혼입 콘크리트에서 OPC 콘크리트 대비 약 1.5배 높은 시간의존성지수를 나타내었으며, 압축강도와의 상관관계 평가 결과, OPC 콘크리트는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시간의존성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플라이애시 콘크리트는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시간의존성지수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1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absorption protection agent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to evaluate the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The evaluation was based on the method presented in KS F 2711.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stance performance against chloride ion was improved by 56∼71% when the coating material was applied.
        1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concrete to which Polydimethylsiloxane (PDMS) was applied for penetrating water repellency. As the results of study, From test of the resistance to chloride ion penetration, superior salt-resistance was shown in comparison to plain concrete, by the application of PDMS. Experimental results of SM and IM showed more than twofold improved salt-resistance compared to plain concrete.
        19.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poly-silicon sludge was used in replacement with Portland cement as SCMs. Poly-silicon sludge has an ability to improve the durability to the concrete system. Thus, the chloride penetration test of PS specimens was conducted for the confirmation of the durability. From the results,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plain specimens is deepest, and gradually decreases as PS substitution rate increases.
        20.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력발전의 부산물인 플라이 애쉬는 포졸란 반응을 통하여 조직구조를 개선하고 장기 강도 및 염화물 저항성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28일 및 180일 재령의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 및 FA를 혼입한 콘크리트에 대하여 압축강도 및 염화물 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재 령의 증가에 따른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물-결합재비(W/B)를 37%, 42%, 47%의 3가지 수준, Fly Ash를 시멘트 중량의 0%, 30%, 50%의 3가지 수준으로 나누어 총 9가지 배합을 설정하였으며, 28일 및 180일 재령 시, 압축강도, Tang‘s method에 의한 촉진확산계수, 그리고 ASTM C 1202, KS F 2711을 통한 통과전하량을 측정하였다. Fly Ash 혼입율이 클수록, W/B가 낮을수록 염화물 저항성(확산계수 및 통과전하 량)이 개선되었는데, 모든 FA 50 배합에서 염화물 저항성은 재령 28일 대비 재령 180일에서 약 15%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FA의 포졸란 반응으로 인해 공극구조가 더 치밀해져 나타난 결과이며, 염해 저항성이 강도보다 시간에 더욱 의존적임을 알 수 있다. 재령 180일 이후, FA를 혼입한 배합에서 강도와 염해저항성의 뚜렷한 선형관계가 관측되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