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풍, 폭우 등 이상기후의 대형화와 빈도 증가로 인해 나무가 부러지거나 쓰러지는 훼손이 증가하고 있으나 나무 내부의 공동, 부후 등 구조적 결함은 육안조사로 판별이 어렵기 때문에 예측을 통한 사전대응에 한계가 있다. 비파괴 음파단층촬영은 나무에 미치는 물리적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내부결함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내부결함 진단에 효율적이 나 수종별 정확도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현장적용 전 측정결과의 신뢰성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 수종인 소나무와 은행나무 노거수를 대상으로 음파단층촬영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침입성 드릴저항 측정을 교차 적용하여 목재 내부결함을 측정하고 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두 집단 간 결함부 측정 평균값에 대한 t검정 결과 소나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은행나무는 유의성에 차이가 있었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두 수종 모두 드릴저항그래프의 결함이 증가할 때 음파단층영상 결함이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은행나무 종자인 백과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미백 효능을 규명하고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백과 에탄올추출물 (GBE)을 B16F10 melanoma cells에 처치하여 멜라닌 생성과 tyrosinase 활성을 확인한 결과 유의한 수준의 멜라닌 생성 저해가 관찰되었고, 멜라닌 생성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이 관찰되었다. 멜라닌 생성 관련 주요 인자들의 단백질 발현과 mRNA 수준을 관찰한 결과,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 -2 (TRP-1, -2),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단백질 발현과 유전자 수준이 GBE의 처리에 의해 유의한 수준으로 저해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백과 에탄 올추출물은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 관련 핵심 전사인자인 MITF의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백과 에탄올추출물을 화장품 미백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은행 가공산업에서 부산물로 제거되는 은행 외종피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고자 다양한 생리활성에 미치는 열처리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은행 외종피를 분리하여 130℃에서 2시간 열처리한 후 물, 70% 에탄올 및 80%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생리활성변화를 살펴본 결과, ABTS와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은 80% 메탄올 추출물을 제외하고, 열처리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에서 각각 14.95 mg AAE/g과 7.36 mg TE/g으로 높게 나타났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물 추출물을 제외하고 열처리 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열처리 전 80% 메탄올 추출물에서 98.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저해 활성은 추출물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열처리 후 모두 감소하였다. 산화질소 생성억제 활성은 열처리 시 증가하였으며, 물 추출물(200 μg/mL)이 12.33 μM로 LPS 처리구에 비해 산화질소 생성량을 72.39% 감소시켰다. 지방구 축적억제활성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열처리 시 감소하였다.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 활성은 열처리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은행 외종피 추출물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열처리 후 항산화 활성과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추후 생리활성물질의 규명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 추출물(ginkgo biloba extract)과 실리콘 유연제(silicon softener)를 처리 할 때 실리콘유연제를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과 은행나무추출액 처리하고 난 후에 다른 bath에서 실리콘유연제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중 어느 것이 더 촉감이나 선호도에 더 영향을 주는지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하여 KES-FB system을 통하여 역학적 특성 및 객관적 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침장용 직물이 가지는 개별 감각 및 종합 감각의 주관적 감성을 평가하였다. 이밖에도 침장용 직물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소비자의 개별감각 요소를 평가하여 침장용 직물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하게 되면 인장특성인 EM, WT, RT는 증가하여 신축성이 있고 형태안정성이 좋아지며, 인장특성 전단특성이 감소하여 유연성이 증가하고, 무게와 두께가 증가로 부피감이 커져, THV는 증가하였다. 주관적 감성 평가 결과 개별감각 중 부드러움, 따뜻함, 탄력감, 부피감은 증가하고 거침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부드러움, 부피감, 따듯함을 침장용 직물이 갖는 중요한 개별감각 요소로 평가하였다.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할 경우 촉감이 좋아지고 선호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인천 등지에서 도심지의 주요 가로수 중 하나인 은행나무의 잎을 식해하여 극심한 피해를 야기시켰던 검정주머니나방의 피해분포상황 및 생할경과습성을 조사키위해 지난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수행하였다. 검정주머니나방은 연 1회 발생하였으며 3령유충태로 월동한 후 5월중순~6월초순, 8월중순~9월말에 걸쳐 은행나무를 주로 가해하였다. 기주범위는 은행나무외에 벚나무, 조팝나무, 느티나무로 조사되었다. 유충은 7령 경과 후, 6월중순~7월초순에 용화하였으며 7월 초순부터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탈지 은행 종실 및 잎에서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추출하여 식용 옥수수유 기질에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고자 0.02%(w/w)의 BHA, BHT와 각 추출물 (2% w/w)를 넣어 의 항온기에서 45일간 저장하면서 매 5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 TBA가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항산화 효과를 추정하였다. BHA, BHT와 은행 종실의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활용성 페놀산, 잎의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구와 대조구의 45일 저장후 과산화물가는 각각 133, 52, 115, 190, 127, 95, 140, 121, 280meq/kg, oil이었다. 한편 같은 조건하에서 각 항산화성 물질의 TBA가는 0.153, 0.059, 0.175, 0.260, 0.187, 0.160, 0.1 74, 0.195 0.430이었다. G.C.로 분리 확인된 페놀산은 은행 종실 및 잎 공히 Vanillin, -Hydroxybenzoic acid, Syringic acid, Gallic acid, Protocatechuic acid가 확인되었고 은행 종실에서는 trans-Cinnamic acid, Caffeic acid가, 잎에서는 Coumaric acid, Gentisic acid, Phloroglucinol, Pyrogallol이 각각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은행 종실 및 잎의 페놀산은 식용 옥수수유 기질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은행 열매 오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은행나무 열매 오일은 DPPH assay와 FRAP assay를 사용하여 라디컬 소거능을 시험하였다. 결과적으로 은행나무 열매 오일은 DMSO를 용매 로 0.06% 녹였을 때, DPPH assay에서 9.96%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FRAP는 1.33 mM의 ferric sulfate (FeSO4)를 생성하였다. 은행 열매 오일은 tyrosinase inhibition assay에서 37.72%의 억제력을 가졌고 B16/F10 세포에 멜라닌 생합성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은행 오일 0.06%에서 α-MSH 처리 구에 비해 48.02%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유전자 발현 수 준은 control군에 비해 0.04%와 0.06% 농도 군이 크게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은행 열매 오일 추출물이 멜라 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을 통해 은행나무 잎으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였고, 최대 생장량과 항산화능이 우수한 배양조건을 확립하였다. 즉, 은행잎을 이용하여 조직배양한 결과 암과 광조건에서 모두 NAA 첨가 조건이 2,4-D 첨가 조건에 비교하여 양호한 캘러스 생장을 나타냈다. 가장 우수한 캘러스 생장을 나타낸 배양조건은 광조건의 10 μm NAA와 5 μm kinetin의 조합 처리시였다. 따라서 현탁배양에서 캘러스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한 효과적인 생장조절제는 10 μm NAA/0.5 μm BA, 10 μm NAA/0.5 μm kinetin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행잎 유래 캘러스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광조건에서 10 μm NAA가 처리된 기본 MS배지에 캘러스를 현탁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HPLC를 통한 flavonol glycosides를 분석한 결과 10 μm NAA가 처리된 조건에서 현탁 배양된 녹색 캘러스에서 quercetin dehydrate와 keamperol이 각각 0.556, 0.157 μg/20 μl 검출되었다. 잎 추출물에 비해 표적물질을 제외한 불순물이 적어 표적물질의 순수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keamperol의 경우 기존의 연구보고에 비해 약 7배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As air pollution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pressing urban environmental concerns,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ir pollutants(ex: O3, NO2, SO2, Acid rain, etc.) on roadside trees and urban grove. In Korea, population density started to increase since the industrialization. Since dense population aggravates our living conditions, it's very important for us to preserve and keep a lively and refreshing nature in order to live with green nature in harmony under the current artificial environment-dominating world. In metropolitan cities, the production of pollutants increases in proportion to population growth. The vehicle exhaust gas and air pollutants from cooling and heating systems have been the major causes of acid rain. Furthermore, tire particles which are naturally produced by tire wearing on roads and other toxic substances in exhaust gas have caused a problem in human health directly and indirectly. In fact, a lot of studies have analyzed air pollution, roadside trees and plants in Korea. However, they are mostly limited to covering the influence of air pollution on the growth of plants. No paper has clearly explained why air pollution-resistant or-vulnerable species has shown different reactions yet. Even though a lot of urban roadside trees have died or stopped to grow from time to time, this kind of problem has not been properly examined.
This paper is aimed to comparatively analyze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 such as photosynthesis, chlorophyll contents, soil volume water figure out their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against the expanding roadside trees in Cheong-ju, and provid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roadside trees and elaboration of urban environment preservation policies.
The textile remains have been affected largely by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microorganisms because they were composed of organic compounds to be easy to damage. So, we selected 8 strains of the 131 isolated strains from museum environments and textile remains by high protease activity, and identified them for measuring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ingko biloba extracts. They were identified Genus Arthrobacter spp. 3 strains (Arthrobacter nicotiannae A12, Arthrobacter sp B12, Arthrobacter oxidans B13), Genus Bacillus spp. 2 strains (Bacillus licheniformis D9, Bacillus cereus D33), Genus Pseudomonas spp. 2 strains (Pseudomonas putida A24, Pseudomonas fluorescene C21) and a Genus Staphylococcus sp. 1 strain (Staphylococcus pasteuri D3) as closest strains through the blast search of NCBI. Though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xtracts of Gingko biloba leaves as MIC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pharmaceutical antibiotics. However the extracts was crude extracts, the extracts might have good antibacterial against most of the isolates from museum. Especially, the antifungal activity of Gingko biloba is known previously, the extracts of Gingko biloba leaves has possibility of usage as a good natural material for conservation of rem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