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care, long-term healing programs have gained widespread recognition for their effectiveness in promoting well-being. However, the efficacy of shorter-term interventions, such as 1-night 2-day programs, remains relatively understudied.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initiative is twofold: firstly, to enhance the overall well-being and resilience of participants, and secondly, to investigate the program's potential to ameliorate specific mental health indicators. These indicators include physical stress levels, autonomic nervous system health, brain activity, brain stress, and concentration. A 1-night 2-day mental health healing program was implemented for 560 civil servants from Jeollanam-do (mean age 47.87 yrs). The focus was on measuring changes through baseline assessments before participation and post-program assessments upon completion. Measurements included physical stress index, autonomic nervous system health, brain activity level, brain stress, and brain concent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hysical stress, as well as a significant decrease in autonomic nervous system health (p<0.0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in activity level, there was a tendency for brain activity level to stabilize in the high-frequency range. Additionally, a significant decrease in stress levels and an improvement in concentration were observed. Incorporating 1-night 2-day relaxation programs into our daily lives offers a holistic approach to caring for both our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viding essential moments of rejuvenation and self-care that contribute to overall well-being and fulfillment.
본 연구에서는 정서곤충을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43명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치유 프로그램에 이용된 정서곤충은 누에나방[Bombyx mori (Linnaeus)]이다. 스트레스의 정도는 타액 ɑ-아밀라아제 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스트레 스 수치를 평가하기 위한 타액 샘플 채취와 곤충 선호도에 대한 설문지는 곤충치유활동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측정되었고, 활동을 모두 마친 후에는 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만족도 점수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곤충치유프로그램 활동은 참여 아동의 타액 ɑ-아밀라아제 수치를 통계적으 로 낮추고, 곤충에 대한 선호도를 높여준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누에를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에 참가한 아동들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23 점이었다.
본 연구는 치유농업 프로그램이 현재 운영되고 있는 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치유농업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 모집단은 치유농업육성 시범사업에 참여한 173개소의 농장으로 하였으며, 2019년을 기준으로 치유농업 사업을 운영한 농장 중 설문에 응답한 곳은 106개소였다. 조사 결과, 치유농장에서 운영한 프로그램의 개수는 농장당 평균 3.8개였다. 프로그램 운영 기간은 4∼10월에 집중되었다. 대부분은 요일에 관계없이 주중, 주말 모두 운영하였으며 시간대는 주중과 주말이 유사하게 10시에서 16시까지 운영하는 곳이 많았다. 이용객 비중은 단체가 69.1%, 개인이 30.9% 이었으며 프로그램에 활용하는 자원은 식물이 58.8%로 가장 많았다. 치유농업 프로그램 참여 대상은 초/중/고 청소년이 69.8%로 가장 많았으며, 특성별 기준에서는 일반인이 70.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프로그램 1회당 정원은 평균 26명이었고, 연간 평균 진행 횟수는 19회, 연간 평균 참여 인원은 450명 수준이었다. 치유농업 프로그램 다양화나 대상자 맞춤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좀 더 심화된 사례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다문화 배경 학생들이 늘어남에 따라 이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들의 언어습득향상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OO동에 위치한 다문화예비학교 중학생 남녀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에 산림치유프로 그램을 운영하였다. 실험기간은 2018년 4월12일부터 2018년 6월26일까지 매주 1회씩 12회기로 1시간 (60분)씩 실시하 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은 숲에 존재하는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회복시 키는 활동이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아탄력성은 긍정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친밀행동능력, 감정조절능력, 자율행동능 력 등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1). 언어능력향상은 기술통계로 알아본 결과 쓰기의 오류, 발음의 오류, 문장의 오류, 시제의 오류, 조사・접속사의 오류 모두에서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중도입국자녀들이나 다문화 배경 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언어습득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 교직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동의한 실험자 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27일부터 11월 17일까지 주 1회기 60분씩 총 4회기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의 C대학 학교 숲에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의 회복탄력성와 행복감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교 숲을 이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 교직원의 회복탄 력성 증진과 행복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회복탄력성와 행복감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향후 대학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성인의 기분상태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동의한 성인 17명을 대상으로 강원도 홍천군 소재의 치유의 숲에서 2017년 9월 8일부터 10일까지 2박 3일 동안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단축형 기분상태 척도(K-POMS-B: Korean version of Profile of Mood States-Brief)와 스트레스 반응 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의 기분상태와 스트레스 반응 차이를 살펴보았다.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성인의 기분상태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기분상태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하위척도 중 활기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의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반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하위척도 중 공격성을 제외한 긴장, 신체화, 분노, 우울, 피로, 좌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국립산림치유원에서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1박 2일형 ‘행복학교 에듀힐링 캠프’에 참가한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긍정・부정감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 로그램 참가 전과 후의 스트레스 반응 지수, 긍정・부정감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그 차이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가한 교사들의 스트레스반응 지수와 하위 영역인 신체 증상, 우울 증상, 분노 증상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교사 직책별(비담임교사, 담임교사, 부장교사, 교장, 교감) 스트레스 감소효과에서도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숲에서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저감과 부정감정 해소에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스트레스 위험에 노출된 교사들을 위하여 적극적인 산림치유 활동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provides a review of research published since 1990 on the beneficial effects of healing therapy programs with farm animals. Although animal-assisted intervention for humans with mental disorders has been well documented with companion animals like as cats and dogs, there is a complete lack of controlled studies of farm animals as therapeutic agents for patients with several disorders. Previous studie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with companion animals have documented that human-animal interaction may decrease stress levels, and is shown to improve self-confidence, social competence and quality of life. As it is shown that different types of animals may have different impact on people's health, it is therefore worth investigating to what extent contact and work with farm animals will contribute to self-efficacy, cop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psychiatric patients. Future research employing more rigorous designs and systematically building upon a clearly defined line of inquiry is needed to advance our knowledge on the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of the healing therapy programs trough animal-assisted intervention with farm anim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forest healing programs for retirees by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A survey was conduct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verall perceptions of forest healing, and preferences for forest healing programs, targeting a total of 258 retirees visit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a healing forest. The results of the survey suggested that the awareness of the forest treatment program and the hope of participating in it were both high, bu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low. Among the forest healing programs, the order of preference was "Breath in the forest", "Wind bathing and sunbathing", and "Feeling negative ions in the valle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r retiree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such programs in the future.
This research designs a program to improve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n refugees using a literary therapy methodolog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experiences of defection and migration endured by North Korean refugees are similar to the hardships and the success of heroes in classical literature. Among Korean classics, there are folktales such as My Own Fortune, novels such as The Story of Hong Kiltong, and myths on founding of nations such as the Myth of Chumong, which all deal with oppression and limitations of the past location, and escape, migration and success, and such plots exist in all genres. In the process of the heroes reaching success, the oppression and limitations of their past locations act as inevitable deprivations that allow them to further mature, from which the protagonists gain astonishing abilities and develop into heroes. In light of such syntax of heroic narratives, the past experiences of North Korean refugees can very well become the basis for future success. However, for the refugees, their experiences of defection and migration are remembered only as hardships. They also tend to be pessimistic toward their lives. I consider such aspects to be central in the vicious cycle in which their inadaptability and their mental health affect each other negatively. In order to improve their perspective and help them gain more confidence in their lives, I hypothesize that a humanities-based approach can be an excellent methodology and attempt to detail such a program. The healing program for North Korean refugees using classical heroic narratives that this research proposes is a humanities-based one that induces the subjects to go beyond remembering their past only as series of hardships and to perceive it as a foundation for success. By using the power of narratives, which is the unit of human thought, memory of an arduous past can be relieved, and by applying the success stories of heroes to the refugees’ lives, the refugees can receive guidance in the concrete development of their lives. These are the main aspects of such program, which involve reading of classical literature and creative activities that articulate their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