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작물의 수분 매개자이며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꿀벌의 노제마병(nosemosis)은 꿀벌 집단 붕괴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또한, 노제마병은 봉군 약화를 초래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양봉 산물의 생산성을 낮추는 원인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Nosema ceranae가 노제마병의 주요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 노제마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꿀벌의 중장을 적출한 후 노제마 포자의 확인 및 계수를 통해 감염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노제마 감염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포자 염색법과 qPCR 방법을 개발하였다. 노제마 포자에 대해 특이적인 염색이 가능한 Fluorescent Brightener를 이용하여 노제마 감염 꿀벌 중장을 염색한 결과, 형광 발현으로 노제마의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장내 포자량에 비례한 형광 발현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노제마 감염에 대한 특이도 및 포자량에 비례한 형광 발현 민감도는 신뢰하기 어려웠다. 그에 비해, 노제마 특이 유전자를 이용한 qPCR 방법은 노제마의 감염 여부 뿐만 아니라 포자량에 비례한 감염 수준 결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많은 시료들에서 노제마 감염 수준의 신속하고 정확한 평가에 qPCR 방법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3.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은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강력한 살충제이지만 환경, 생물에 잔류하 여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인 imidacloprid와 clothianidin이 공시 작물인 알팔파와 적용작물로 고추와 오이를 선정하여 토양처리 및 경엽처리에 따른 꿀벌 독성과 엽상 잔류 량을 비교하여 기존 엽상잔류독성시험법의 문제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Imidacloprid와 clothianidin을 작 물 또는 토양에 권장량 및 배수로 처리하고 시간에 따른 꿀벌의 치사율에 대한 RT25를 확인하고 잎의 잔류 농약을 HPLC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경엽처리하였을 때 imidacloprid은 공시작물 RT25가 1일 이하, 잔류 량은 1.07 ~ 19.27 mg/kg이나 적용작물은 RT25가 9일 이하, 잔류량은 1.00 ~ 45.10 mg/kg 수준이었다. clothianidin은 공시작물 RT25가 10일 이하, 잔류량은 0.61 ~ 2.57 mg/kg이나 적용작물은 RT25가 28일 이 하, 잔류량은 0.13 ~ 2.85 mg/kg 수준이었다. 토양처리했을 때 imidacloprid와 clothianidin은 공시작물에 서는 꿀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잔류량은 0.05 ~ 0.37 mg/kg 수준이었으나, 적용작물에서는 imidacloprid은 RT25가 28일 이하였고 잔류량은 4.47 ~ 130.43 mg/kg 수준이었고, clothianidin은 RT25가 35일 이하였고, 잔류량은 5.96 ~ 42.32 mg/kg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꿀벌 독성과 엽상 잔류량을 작물간 비교하였을 때 공시작물 보다 적용작물이 꿀벌의 치사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잔류량도 높게 나타났고, 처리방법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적용작물에 대한 토양처리가 경엽처리에 비해 높은 RT25와 잔류량이 나타 났다. 따라서 농약안전성 확보를 위해 제시된 시험법이 실제 적용작물과 농약 처리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 을 수 있어 imidacloprid와 clothianidin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다양한 경로의 연구가 필요하다.
        4,600원
        4.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N01 is a new antiviral medicine acting against Korean Sacbrood virus (KSBV) of honeybees. It contains 5 mg/mL of active ingredient, double stranded RNAs(dsRNA), that homologous to KSBV ribonucleic acid coding coat protein (VP1) of virus and inducing RNA interference (RNAi). RNA medicine i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for rapid breakage by intrinsic ribonuclease and limited absorption from gastrointestinal tract. However, there were no data of repeat-dose toxicity in laboratory animals for dsRNA targeting SBV.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oxicity of GN01 in SD rats after weekly oral dosing for 28 days and to determine its no-observed-adverse-effect-level (NOAEL). Male and female SD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GN01 at 0, 25, 50 and 100 mg/kg bw/day of dsRNA once per week for 28 days (total 5 administrations). The highest dose 100 mg/kg bw/day was determined based on the maximum volume injectable (20 mL/kg bw) via gavage. During treatment period, clinical signs, functional and sensory responses, body weights, food and water consumption, ophthalmological findings and urinalysis were investigated. After treatment period, hematological and clinical biochemistry tests and examination of necropsy findings, organ weights and histopathological lesions were perform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test groups and vehicle control group in all measured parameters. Therefore, the NOAEL of GN01 was determined 100 mg/kg bw/day, the highest dose administered. In conclusion, repeated oral administration of GN01, a dsRNA medicinal product, is safe even at the maximum available dose in rats.
        4,900원
        1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itosan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health supplement material because of it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In this study, sugar solution containing chitosan was fed to honey bees to induce the production of ‘chitosan fortified honey’ by their same mode of natural honey production. To accomplish this, sugar solutions containing 0.1%, 1%, 2% and 5% chitosan were fed to the honey bees. Fully inverted Chitosan-honey was harvested after feeding the chitosan in sugar solution.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and immune-enhancing effects of Chitosan-honey, 1% and 10% Chitosan-honey containing drinking water were administrated freely to C57BL mice. Glucosamine concentrations in serum rapidly increased to peak levels in 10 minutes (1261.0 ± 97.6 ng/ml), then decreased gradually for more than 24 hours 793.0 ± 34.7 ng/m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and or splenocyte proliferative capacity among experimental mice groups. However, increased granulocytes and monocytes were observed upon flow cytometric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tosan-honey could induce removal of foreign antigens. In conclusion, ‘Chitosan-honey’ developed in this study has the potential for use as a honey type dietary health supplement with the same bioactivity as chitosan; however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onfirm these effects.
        4,000원
        1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olipophorin III (apoLp-III) is a multifunctional protein that is involved in lipid transport and innate immunity in insects. In this study, an apoLp-III protein that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was identified in honeybees (Apis cerana). A. cerana apoLp-III cDNA consists of 193 amino acids that share high protein sequence identity to other members of the hymenoptran insect apoLp-III family. A. cerana apoLp-III is expressed constitutively in the fat body, epidermis, and venom gland and is detected as a 23-kDa protein. A. cerana apoLp-III expression is induced in the fat body after injection with Escherichia coli, Bacillus thuringiensis, or Beauveria bassiana. However, recombinant A. cerana apoLp-III (expressed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binds directly to E. coli and B. thuringiensis but not to B. bassiana. Consistent with these findings, A. cerana apoLp-III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 into the role of A. cerana apoLp-III during the innate immune response following bacterial infection.
        20.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꿀벌의 수분작용이 콩 품종별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1991년까지 2년간 경북농촌진흥원 망사하우스에서 단엽콩, 무한콩, 황금콩, 밀양콩, 팔달콩 및 단경콩의 6개품종을 공시하여 꿀벌을 방사처리 하여 조사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콩꽃에 대한 꿀벌의 방화회수는 노지포장에 비해 방사구에서 58% 많았으며 시간별로는 노지포장, 방사구 모두 오전 10시에 가장 많았다. 주당협수 및 결협율은 무방사구에 비해 방사구가 증가 되었는데, 팔달콩과 단경콩과 무한콩은 3립협 비율이, 황금콩과 밀양콩은 1립협 비율이 증가 되었으나 팔달콩과 단경콩은 3립협 비율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2립협 비율은 품종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콩수량은 무방사구에 비해 방사구가 0~12% 증수되었는데, 특히 팔달콩과 단경콩은 꿀벌 방사에 의한 중수효과가 컸었다. 콩 hybrid주 비율은 무방사구에 비해 방사구에서 증가되었는데 팔달콩과 단경콩에서 hybrid주 비율이 높았다. 콩 개화기간과 hybrid주 비율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