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태양광을 모사한 D65 광원과 동일한 색온도의 LED6500K 광원 하에서 색보임 차이를 비교하고,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색채구별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두 광원 조건에서 Farnsworth-Munsell 100 색상검사를 실시하고, 산출된 TES(Total Error Score)를 광원, 연령,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의 TES는 LED6500K 광원에서 D65 광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0~30대에서 광원 변화에 크게 반응하였다. 연령에 따라 두 광원 모두에서 50~60대의 TES가 높았고, 동일 광원 내 연령 비교에서는 D65 광 원에서 증가폭이 더 컸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대부분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LED6500K 광원은 D65 광원에 비해 색보임 오류가 다소 크지만, 기존 실내 광원보다 우수하여 실내 환경 에 적합하다. 색채구별 능력은 연령 증가에 따라 저하되며, 청년층은 광원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 어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인구 집단의 색보임 특성을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고객 응대와 제품 진열뿐 아니라 안경사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rowing demand for edible flowers that combine aesthetic appeal and functional benefits has prompted research on light-based strategies to improve their quality.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varying blue (B) light exposure on morphological traits, antioxidant activity, and phytochemical accumulation in two Viola cultivars with different petal sizes. Plants were cultivated under a 12-h daily photoperiod, with irradiation duration via white (W) and B LEDs varied among treatments (W12+B0, W8+B4, W4+B8, and W0+B12) while maintaining constant light intensity. Results indicated that prolonged B light exp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 and flowering rate, particularly in the smaller-petaled cultivar “Delta Beaconsfield” (DB), and also enhanced anthocyanin accumulation and ABTS-based antioxidant activity. Conversely, the cultivar “Delta Trueblue” exhibited higher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levels under mixed W+B light illumination and showed stronger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Notably, DB retained elevated chlorophyll levels under monochromatic B light, suggesting a unique photoadaptive or light-harvesting mechanism. The cultivars differing responses across assays highlight variation in light-regulated synthesis of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potential of spectral manipulation, especially through B light, to improve the functional value of edible Viola flowers.
본 연구는 Peperomia 속 두 종(P. argyreia ‘Watermelon’과 P. obtusifolia ‘Variegata’)을 대상으로 실내환경에서 광질(백 색, 청색, 적색)이 생장, 색소 조성, 무늬 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적정 광질 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생장 반응 은 엽장, 엽폭, 초장, 엽수 등 모든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 ≥ 0.05), 이는 실내 광도 수준에서 광질 변화가 생장에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침을 나타낸다. 그러 나 색소 조성과 무늬 면적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P. obtusifolia ‘Variegata’는 적색광 처리 시 chl a와 b, 총 car 함량이 감소하고, 무늬 면적 또한 유의하게 줄어드는 반응 을 보였다. 반면 청색광에서는 chl a와 car 함량 증가, chl a/b 비율 상승과 더불어 printed area의 안정적인 유지가 확인되 어, 청색광이 생리적 활성 유지에 유리한 광질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늬의 발현 방식에 따라 광질 반응성이 다르며, 실내 재배 시 광질 조절이 관상성과 생리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핵심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mploy a barium hexaferrite/graphitic carbon nitride nanocomposite, abbreviated as BaFe/gCN NC, for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ongo red (CR) under visible light illumination. Barium hexaferrite and graphitic carbon nitride were prepared using sol–gel and thermal polymerization methods to achieve an even distribution and good contact at the interface. The nanocomposite was then prepared through the sonication method. The properties of synthesized materials were confirmed by the examination of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employing an X-ray diffractometer (XRD), the structure analysis of the synthesized materials provided a hexagonal form.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band gap of this composite was estimated to be 2.7 eV using UV–visible spectroscopy analysis. FTIR spectroscopy confirmed the vibrational modes along with the chemical structure and bonding present in the samples. The characteristics of BaFe/gCN nanocomposite reveal that the hexagonal grain boundary is probably distributed all over the surface of g-C3N4 nanosheets, as observed from high-resolu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R-SEM). It was confirmed from the XPS analysis that the elements and chemical states of BaFe/gCN NCs are present in the form of Ba 3d, Fe 2p, O 1s, N 1s, and C 1s. Finally, 50 mg of the produced material is degraded with the help of BaFe/gCN photocatalyst, removing 90% of CR dye at 10 mg/L initial dye concentration in 150 min. Moreover, the removal ability for CR by BaFe/gCN NC was maintained more than 88% during three test cycles. As a result of increased light absorption properties of BaFe/gCN and the prevention of electron and hole recombination, active oxygen species were produced, and hence the photocatalytic activity increase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Propeller blade pitch angle mismatch on Noise, thrust, and vibration in light aircraft. Tests were conducted using a simulator with one blade set at increased pitch angles (10°, 12°, 14°) compared to the standard 8°. Results showed that mismatches increased vibration (above 0.26 IPS), Noise levels, and caused operational issues such as fuel leakage and backfire. While thrust initially increased with pitch, it dropped at 14° due to fuel flow instability.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strict pitch alignment tolerances to ensure optimal performance and safety in aircraft maintenance and operation.
대광은 식물의 생장과 생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환경 요소이다. 식물공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재배 기 간 동안 광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연구는 동일한 누적 광량 조건 하에서 일일 광도 변동이 상추(Lactuca sativa L.)와 바질(Ocimum basilicum L.)의 생장 및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파종 후 25일(25 DAS)에 식물에 7일간 8가지의 광 처리(L1-L7)를 적용하였다. 대조구는 250 μmol·m-2·s-1의 일정한 광도를 유지하였고, L1부터 L7까지의 처리구는 150에서 350 μmol·m-2·s-1 사이의 일일 광도 변동을 수반하였다. 두 작물 모두에서 광합성 반응 은 전반적으로 광도 변동 패턴을 따랐다. 광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기공전도도에 영향이 없었으나, 급 격한 증가가 있을 경우에는 기공전도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32 DAS 에는 상추에서 대조구와 L5 처리구(불 규칙한 변동)에서 가장 높은 생장이 나타났으며, 바질에서는 L2 처리구(점진적 증가 후 감소)에서 가장 높은 생장 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수확 직전의 단기적인 일일 광도 조절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반응은 작물별 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Graphene quantum dots have recently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for their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development of optoelectronic material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ultrasonic method to synthesize white-light-emitting graphene quantum dots from coal soot in just 2 min at room temperature. The white-light emission was achieved in solution and polymeric film with good Commission Internationale del’Eclairage index (0.28, 0.33) and (0.25, 0.30), respectively. The graphene quantum dots cover a significant fraction of the visible region in the emission spectrum with two prominent bands at 475 and 635 nm at 380 nm photoexcitation, corresponding to monomer and J-aggregate emission. The strong reducing and basic nature of the ethylene diamine facilitated the preparation of self-assembled J-aggregate graphene quantum dots through hydrogen bonding and electrostatic interaction. The mechanism of origin J-aggregate emission in the prepared graphene quantum dots was studied using UV–visible absorption, steady-state, lifetime fluorescence spectroscopy, and zeta potential. The as-synthesized graphene quantum dots are successfully coated on the UV-LEDs' surface and emit white light on the applied voltage. The colours of red, green, blue, and yellow balls appear significantly in the lighting of prepared white LEDs.
대한민국 정부들은 복지국가를 시대적 과제로 천명하고 있음에도, 낮은 복지 지출과 높은 사회적 불안이 라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복지국가 ‘체제’의 기획을 제안 하며, 그에 필요한 관점과 방향성을 얻기 위해 복지국가이론의 계보를 탐색한다. 먼저, ‘전후 복지국가’의 팽창을 설명하는 이론들을 고찰하고, 복지체제론을 통해 그 성숙과 위기 대응 양상도 살펴본다. 다음으로, 새로운 사회경제적 환경에 조응하여 진행되는 복지국가의 재구조화, 즉 ‘탈(脫) 전후 복지국가’의 등장을 설명하는 현대 이론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이렇듯 복지국가이론의 계보를 살피는 것은 현행 제도의 구 조와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미래 기획을 위한 아이디어를 얻는 과정이자, 대한민국이 사회권적 기본권이 적 극 구현되는 나라로 나아가는 데에 필요한 지적 토대를 쌓는 일이라고 본 논문은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대학교 천문대(Pusan National University Observatory; PNUO)의 0.5m 망원경을 이용해 외 계행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항성 TOI-3653의 식현상을 관측한 결과를 제시한다. 관측은 협정세계시(UT) 기준 2 02 4 년 8월 12일 15시 2 8분부터 2 .2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수집한 관측 데이터를 전처리한 뒤 TOI-3653의 주변 비교성 을 사용하여 비교 측광함으로써 광도 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얻은 광도 곡선을 EXOFAST 프로그램을 이용해 모형 맞추기한 결과, 우리가 관측한 식현상에서 약 1.7%의 감광이 발생했으며 이를 통해 모형 의존성이 존재하나 TOI- 3653이 목성의 3.15배 크기의 외계행성인 TOI-3653 b을 지니고 있다고 통계적으로 유의미( 2 = 1.08)하게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본 결과는 PNUO 0.5 m 망원경이 외계행성 식현상에 따른 미세한 광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외계행성 연구에 유용한 관측 장비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current US tariff policy has become a focal point of the global trade order, signaling a restructuring of the international economic system established after World War II. The global trade regime is shifting from multilateral cooperation to a landscape increasingly defined by economic and geopolitical competition. The US domestic law is increasingly replacing multilateral mechanisms such as the WTO as the primary legal point at issue and center of gravity influencing and shaping the global trade order. In this transitional phase of order reconstruction, East Asian enterprises should allocate resources to closely monitor geopolitical developments, the US domestic politics, legal frameworks, and ideological trends. They should also establish mechanisms for geopolitical risk management and prioritize risk management over business expansion as a core strategic principle. However, this is not entirely negative; the new research, understanding, and strategic adjustments undertaken by enterprises may lay a deeper foundation for the next wave of globalization.
Concentration-dependent multicolor emission is an unusual yet appealing photoluminescence property of various carbonaceous nanomaterials with interesting potential applications. While carbon dots (CDs) are no exception, the predictability and tuning of the microenvironment of CD to make it suitable for displaying concentration-dependent multicolor emission is far from adequately understood. Through the novel synthesis of bromine-doped CDs (Br-CDs) via controlled hydrothermal pyrolysis, we demonstrate the capacity of the same Br-CD to emit intense red (650 nm) as well as blue fluorescence (410 nm) including intermittent colors as a function of concentration and excitation wavelength. The concentration-dependent morphological transition of the Br-CDs was ascertained using electron microscopy shedding light on their optical evolution in response to concentration changes. The phenomenon is validated as being driven by unique rearrangement and surface functionality modulation, which is essentially linked to the concentration of CD in an ensemble. Notably, the synthesized Br-CDs displayed excellent enzyme-mimicking abilities where oxidase-like activity was assessed using a tetramethylbenzidine (TMB) substrate under visible light (LED, 23W), and peroxidase-like activity was evaluated with TMB and H2O2 over a wide range of pH and temperature. The visible-light-triggere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by Br-CDs proved to be an effective antibacterial agent demonstrating a significant eradication rate against both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A captivating and unusual photophysical phenomenon is exhibited by Br-CD, showcasing their versatile applications in nanozymes and antibacterial interventions where emission color directly links to the activity eliminating the necessity of multiple titrations to determine concentration/units/dosage.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와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주로 재배되는 약용작물이다. 광질은 작물의 광형태형성을 조절하며, 그 반응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따라 서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CPPS)에서 작물에 적합한 광질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와 더덕묘를 CPPS 조건에서 재배할 때 적합한 광질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red, green, blue, red-green (RG), green-blue (GB), red-blue (RB), red-green-blue (RGB) 그리고 white lights를 이용하여 광질의 영 향을 평가하였다. 환경은 온도 25±0.6℃, 상대습도 55±4.7%, 광주기 16/8시간(명/암), 광합성유효광양자속밀도 (PPFD) 110±5μmol·m-2·s-1로 제어하였다. 도라지묘는 RGB 광 처리 시 초장과 엽간장는 짧지만 지상부 및 뿌리 생장이 왕성하였다. 더덕묘는 GB 및 RGB 광 처리 시 다른 광질보다 짧은 초장과 절간장을 유지하면서도 지상부 및 뿌리 생장이 개선되었다. 다분광영상(multi-spectral imaging)을 활용한 엽면적 분석에서는 도라지에서 결정계수 (R²)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CPPS에서 도라지와 더덕 재배에 적합한 광질을 선정하는 데 있어 기초자 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is shown the result of the first year to develop an export 1050MPa-class lightweight ductile iron castings Austempered control arm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ructure of the optimal design Layout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component, and then achieve them through the Control Arm rigidity and optimal structure design and robust design of the focus areas of the expected stress Control Arm. Second, to develop a Control Arm reflects the high rigidity and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structures. Control Arm them developed to meet the design and rigidity as required by the consumer through the hollow, and to develop a process for the Core. Third, through optimum alloy composition and heat treatment methods will be derived to derive the amount of iron alloy (Cu, Ni, Mo) and Austempered heat treated and tempered condition. Fourth, through the development of optimum molding technology development component to develop the optimum ADI for the low-stiffness, high-rigidity component development, it attempts to develop a high-strength casting forming technology.
도라지는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 주로 재배되는 약용 작물이다. 도라지의 뿌리는 사포닌의 함량이 높고 기관지 보 호에 효과가 좋아 약재로 이용이 많이 될 뿐만 아니라 가공식 품, 화장품의 원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도라지의 대 량 생산을 위한 폐쇄형 식물 생산 시스템 내 적정 광 환경에 대 한 기초 데이터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라지의 광도 와 광주기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도라지는 온도 24.9 ± 0.9℃, 상대습도 53.7 ± 10.9%의 폐쇄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 서 48일간 육묘하였다. 광도는 100, 150 및 200 ± 10μmol·m-2·s-1 그리고 광주기는 10/14, 12/12, 14/10h(명기/암기)로 처리하 였다. 가장 높은 광도인 200μmol·m-2·s-1에서 지상부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고 12/12와 14/10h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00μmol·m-2·s-1에서 광주기 12/12h의 절 간장은 14/10h보다 유의적으로 짧았다. 200μmol·m-2·s-1에 서 지하부 생육의 경우 광주기 12/12h보다 14/10h의 생육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200μmol·m-2·s-1, 12/12h는 도라지 공정 육묘의 광 환경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에서 광도 조절에 따른 수 박 접목묘의 생육 및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박 접수는 고온기 품종 ‘부라보꿀(BK)’, 저온기 품종 ‘산타꿀 (SK)’을 사용하였고, 대목으로 고온기 품종 ‘불로장생(BS)’, 저온기 품종 ‘동장군(DG)’을 사용하였다. 광도는 125 ± 25, 225 ± 25 및 325 ± 25μmol·m-2·s-1 3처리로 조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초장은 고온기 접목묘가 125 ± 25μmol·m-2·s-1, 저온기 접목묘가 225 ± 25μmol·m-2·s-1에서 가장 높았고, 줄 기 직경과 마디수는 고온기 접목묘, 저온기 접목묘 모두 225 ± 25μmol·m-2·s-1에서 가장 높았다. 근장과 엽면적은 고온기 접 목묘에서 325 ± 25μmol·m-2·s-1, 저온기 접목묘는 225 ± 25 μmol·m-2·s-1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 과 건물중은 225 ± 25μmol·m-2·s-1 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 났다. 충실도는 두 품종 모두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 며, 특히 고온기 접목묘에서 그 효과가 두드러졌다. 엽면적비 (LAR)는 고온기 접목묘에서 광도 증가와 함께 유의하게 증가 하였으나, 저온기 접목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종합적 으로 생육 특성은 225 ± 25μmol·m-2·s-1에서 높았으나, 묘소 질을 고려했을 때 325 ± 25μmol·m-2·s-1에서 더욱 강건한 묘 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