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파리유충 에탄올추출물(Ethanolic extract of fly maggot, EM)의 경구투여가 혈액 지질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rague-Dawley 수컷 랫드를 이용하여 4 처리구(EM 투여량; 대조군=0, 5.0, 7.0, 9.0 mg/100 g 체중)로 구분해서 6주 동안 진행하였다. EM 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청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C가 유의하게 낮았다 (p<0.05). HMG-CoA reductase activity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EM 투여군에서 낮았으나 총스테롤, 중성스테롤 및 담즙산 배설량은 EM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EM의 혈액 콜레스테롤 감소와 관련한 생물학적 작용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유도된 생체유전자 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s (SREBPs) 및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α) 발현을 측정하였다. EM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공급받은 랫드의 간에서 SREBP-1α, SREBP-2 mRNA 발현을 억압함과 동시에 PPARα mRNA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본 연구의 결과는 파리유충 에탄올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지질대사와 관련한 생화학적 매개변수 및 유전자발현 조절을 통하여 혈액 콜레스테롤을 낮춘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4,300원
        2.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logical mechanism of orally administered fly maggot ethanol extracts (EM) on hypocholesterolemic in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SDS mal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M dose control=0, 5.0, 7.0, and 9.0 mg/100 g BW) and were treated for 6 weeks. EM groups reveal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MG-CoA reductase activity in EM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total sterol, neutral sterol, and bile acid excre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M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t was discovered that EM suppress the expression of SREBP-1⍺ and SREBP-2 mRNA in the liver tissues of high-cholesterol diet fed rats, while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PPAR⍺ mRNA. This finding indicates that EM has a hypocholesterolemic effects in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by regulating cholesterol metabolism-related biochemical parameters and SREBP-1⍺ SREPB-2 and PPAR⍺ gene expression.
        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oa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ly maggot (ME) on reduction of plasma lipids levels in rats fed high-fat diets (Expt. Ⅰ), and on liver function recovery of hepatotoxicity rats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CCl4) or by orally administration of alcohol (Expt. II) were investigated. In expt. I, twenty seven, male rat SDS(sprague dawley strain)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reated groups, including normal control group, HF (group with high fat diets which have no extracts) and HFE (HF plus orally administered doses of ME extract at 5.0 mg/100g of body weight). In expt. II, forty five, male rats (SD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f the five groups: T1 (control), T2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Cl4), T3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Cl4 after orally administered with ME), T4 (orally administered with combination of ME and alcohol), T5 (orally administration of ME after orally administered with alcohol).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plasma (TAG), (TC), (LDL-C) in the HFE group with orally administered doses of ME at 5.0 mg/100g of body weight, respectively, however, the (HDL-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HFE group as compared to HF group with high fat diets which have no extracts (p〈0.05). The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γ-glutamyl transferse(γ-GTP) and bilirubin were highest in T2 or T3, and high in order T4 or T5, and lowest in T1 except for bilirubin which has same with T4, T5 (p〈0.05). The high recovery of liver damage by CCl4 from the light microscopic appearance was observed in rats (T3) with extracts, and also high in T4 than T5 by orally administrated with alcohol. In conclusion, the ethanol extracts from fly maggot may have a bioactive effects to prevent for human lipids disorder and alcoholic disease.
        4,000원
        5.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 진주의 야외에서 1984년부터 1987년까지 고자리파리, Delia antoqia(Meigen)의 발생소장을 트랩을 설치하여 조사한 결과, 고자리파리는 연 3회 발생하였으며 제2화기, 성충의 발생량이 적었다. 성충의 발생최성기는 월동세대 (1화기)가 4월 중순, 제1세대 (2화기)가 6월 상순, 가을세대 (3화기)가 9월 하순-10월 상순이었다. 야외에서 충을 사육하여 우화상황을 조사한 결과, 제 1세대 용의 일부와 제2세대 용의 대부분이 하면하였다. 제1세대의 경우 야외에서 비하염용의 용기간은 22.4일 이하인 반면 하면용의 용기간은 88.5-145일로 늦게 용화한 개체일수록 짧아져서 우화최성기는 제2세대 용과 함께 9월 하순으로 일치하였다. 제1세대의 경우 5월 상순에 용화한 개체들은 43.8%가 하면용인 반면에 5월 하순 이후에 용화한 것은 86.7%이상이 하면상태이어서 용화시기가 늦을수록 그 비율이 증가하였고, 제2세대는 용화시기에 관계없이 93.3% 이상이 하 면용이 었다.
        4,000원
        6.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자리파리와 담배거세미나방을 방제할 목적으로 곤충기생성 선충, S. feltiae와 H. heliothidis를 이용, 실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자리 파리에서 S. feltiae를 유충 한 마리당 30,60,120,240마리를 접종한 모든 구에서 80-100%의 높은 치사율을 얻었고, H. heliothidis 10,20,40,80마리 접종 구에서도 63.3-100%치사율을 얻었다. 담배거세미나방의 경우 S. feltiae는 유충한마리당 50,100,200,400마리를 접종하여 3령층은 전 선충 접종구에서 100%의 치사율을, 4령충은 76.7-100%, 5령충은 43.3-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어 접종량과 령게에 따라 치아율에 차이를 보였다. H. heliothidis는 20,40,80,160마리를 접종하여 3령층에서는 67.7-100%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4령충과 5령충에서는 36.7-90%, 3.3-90%의 치사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먹이인 케일에 처리한 경우 S. feltiae는 비교적 효과가 있었으나 H. heliothidis는 효과가 현저히 검소하였다. 그러나 3령충에서는 효과가 있어 3령충이 가장 방제 적기이며 감수적 영기임이 확인되었다.
        4,000원
        7.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줄기굴파리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검정방법(檢定方法)을 확립하고 주요 품종의 저항성정도들 알기 위하여 포장과 폿트에서 피해(被害)와 사충율(死蟲率)을 조사한 결과, 1. 포장에서 다수계품종(多收系品種)이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보다 피해가 심하였고, 1, 2화기 피해간에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 ()가 있었다. 2. 산란선호성(産卵選好性)은 품종간에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3. 유충의 경내(莖內) 침입율(侵入率)은 수도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낮아졌다. 4. 품종 저항성(抵抗性) 기작(機作)은 주로 항충성(抗蟲性)(antibiosis)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5. 품종별 피해엽수(被害葉數)와 사충율(死蟲率)간에는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81년:, '82년:)가 있었다. 6. 품종저항성(品種抵抗性) 검정(檢定)은 파종 일 된 묘에 갓부화한 유충을 접종하고, 접종 20일후에 사충율(死蟲率)을 조사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 7.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은 낙동벼, 진주벼, 추청벼 등이고,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은 금강벼, 밀양 23호, 백양벼, 밀양 30호 등이다.
        4,000원
        8.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포장(圃場)과 실내에서 벼줄기굴파리의 발생시기(發生時期), 유충(幼蟲)과 용의 발육경과(發育經過), 성충수명(成蟲壽命)과 각충태별(各蟲態別) 발육시간(發育期間)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벼줄기굴파리는 년3회 발생하며 발생최성기(發生最盛期)는 각각 5월중하순, 7월상순, 9월중순이었다. 2 제1화기 발생최성기(發生最盛期)는 월의 평균기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3. 월동세대(越冬世代)의 3령충(齡蟲)은 3윌하순, 제l세대 유충은 본답초기, 제2세대 용과 성충은 8월하순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4. 벼줄기굴파리는 실내조건 ()에서 성충수명이 18.9일, 산란전기간(産卵前期間)은 3.6일, 산란기간(産卵期間)은 6.2일, 산란수(産卵數)는 50.1립(粒)이고, 정온(定溫)에서 난기간은 7일, 용기간은 14일, 에서 유충기간은 25일로 제l세대기간은 약 46일이었다.
        3,000원
        9.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자리파리 유충(幼蟲)에 의(依)한 양파의 피해(被害)를 포장(圃場)에서 1984년(年) 4월(月) 11일(日)부터 5월(月) 21일(日)까지 10일(日) 간격(間隔)으로 전주(全株) 조사(調査)를 하여 피해지도(被害地圖)를 작성(作成)하였다. 지도(地圖)를 양파 80주(株)를 하나의 단위(單位)로 하는 사각형(四角形)으로 구분(區分)하여 빈도분포표(頻度分布表)를 작성(作成)하고 Chi-square test에 의(依)하여 Poisson분포(分布)와 부(負)의 이항분포(二項分布)를 적용(適用)해 본 결과(結果) 부(負)의 이항분포(二項分布)가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에 걸쳐서 적합(適合)하였다. 주변효과(周邊效果)는 지도(地圖)를 중앙부(中央部)와 주변부(周邊部)로 이분(二分)한 후(後) 피해주율(被害株率), 분산(分散)과 평균(平均)의 비(比)를 비교(比較)해 본 결과(結果) 주변부(周邊部)의 그것이 중앙부(中央部)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도(地圖)를 다시 비슷한 크기의 4개(個) 구(區)로 나누고 각(各) 구내(區內)의 표본단위(標本單位)(양파 80주(株)를 다시 4등분(等分)하여 2차단위(次單位)로 하였다. 시기별(時期別)로 각(各) 구(區)에서 5개(個)의 표본단위(標本單位)를 임의(任意)로 택(擇)하고 분산분석(分散分析)하였다. 그 결과(結果) 최적(最適) 표본수(標本數)는 2개(個)의 2차단위(次單位)를 택(擇)할 경우(境遇) 5%의 오차(誤差) 범위(範圍)에서는 개(個), 10%의 오차(誤差) 범위(範圍)에서는 개(個)의 표본단위(標本單位)를 택(擇)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0.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줄기굴파리의 2화기 피해에 있어서, 이삭 및 잎의 피해양상과 용위화치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수율과 공흔발생에 있어, 통일계가 일반계에 비해 높았다. 2) 상수의 피해위치에 있어, 일반적으로 출수기가 이를수록 이삭 하부에, 늦을수록 이삭 상부에 피해를 받았다. 3) 통일계에 있어, 상부 또는 중부 피해 이삭경에 있어서는 상엽에 공흔, 1엽에 무공흔의 경우가 가장 많았고, 하부피해이삭경에서는 모두 무공흔의 경우가 가장 많았다. 4) 용화위치는 지엽과 1엽의 엽초내이었으며, 특히 지엽에 현저히 많았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