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외인성 효소 첨가제 및 혼합 세균 배양을 통한 고상발효(Solid-state fermentation, SSF)가 채종박(Rapeseed meal, RSM)의 체외건물소화율(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및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외인성 효소 칵테일(첨가 및 미첨가) 및 RSM에 대한 SSF(발효 및 비발효)를 나타내는 2 x 2 요인 설계가 적용되었다. 3-step 돼지 소화율 모델을 적용하여 채종박의 건물 소화율을 분석하였으며, 72시간 대장발효 후 상층액을 수집하여 단쇄지방산 생성량을 분석한 후 칼로리 단위로 변환하여 가소화에너지 소화율을 분석하였다. 소장 (IVDMDh) 및 전장 (IVDMDt) 건물소화율에서는 고상발효된 채종박이 더 높게 나타났다 (각각 p < 0.01). 마찬가지로, 외인성 효소 첨가제 처리구에서 채종박의 소장 소화율(IVDMDh)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 = 0.06). Acetic acid 및 butyric acid의 생산은 대조구에 비해 고상발효 처리 시 유의하게 더 생산되었으며 (각각 p < 0.01), 이는 총 단쇄지방산의 생산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p = 0.09). 에너지 소화율에서는 채종박의 고상발효 및 외인성 효소제 첨가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p < 0.01). 그러므로 채종박의 고상발효 처리는 단백질 이용성을 비롯한 영양적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LAB, a mixture of Enterococcus faecium and Lactobacillus plantarum) supplementation, the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ruminal digestibility of a total mixed ration (TMR). The TMR was prepared into two groups, namely, CON (control TMR without the LAB) and ML (supplementing a mixture of E. faecium and L. plantarum in the ratio of 1% and 2% (v/w), respectively). Both groups were divided and stored at 4°C or 25°C for 3, 7, and 14 d fermentation periods. Supplementing LAB to the TMR did not affec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MR except for the lactate and acetate concentration. Storage temperatures affected (p<0.05)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MR, including pH, lactate, and acetate content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MR was also affected (p<0.05) by the storage period. During in vitro rumen fermentation study, the ML treatment showed lower (p<0.05) dry matter digestibility at 24 h incubation with a higher pH compared to the C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of TMR between the CON and ML treatment however, at 24 h, ML treatment showed lower (p<0.05) IVDMD with a higher pH compared to the CON. The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n IVDMD were not apparent at 24 h incubation. In an in vivo study using Holstein steers, supplementing LAB to the basal TMR for 60 d did not differ in the final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Likewise, the fecal microbiota did not differ between CON and ML. However, the TMR used for the present study did include a commercial yeast in CON, whereas ML did not; therefore, results were, to some extent, compromised in examining the effect of LAB. In conclusion,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significantly affected the TMR quality, increasing acetate and lactate concentration. However, the actual effects of LAB supplementation were equivocal.
        4,000원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nhance the bioavailability and bioactivities of mixed herbal medicines (RW), they were fermented with lactic-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to postbiotics (FRW). Then, from the results of the 16s rRNA sequencing analysis,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were identified to be of two species, namely Lactobacillus sakei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The FRW prepared from the RW were extracted using hot water (HW) and 70% EtOH (EtOH) for comparison of their macrophage-stimulating activities.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activities of the FRW extracts, nitric oxide (NO) production of HW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EtOH. An analysis of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extracts showed that HW had higher contents of neutral sugar and uronic acid than EtOH as well as contained a large amount of glucose. In addition, crude polysaccharide (CP) was prepared to enhance the macrophage-stimulating activity. The FRW-CP not only secreted immunostimulatory mediators but also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mmunostimulatory genes (iNOS, TNF-α, MCP-1, and IL-6). The fractionated FRW-CP contained about 90% neutral sugars, and these sugars were mainly composed of glucose, galacturonic acid, and arabinose. Thus, FRW prepared by fermentation of RW with kimchi lactic acid bacteria were found to be immunostimulatory modulators.
        4,300원
        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rmented total mixed ration (TMR) is a novel feed for ruminant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on the quality of TMR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Strains of three LAB spp. (Lactobacillus plantarum, L. brevis, L. mucosae) were used in fermentation of TMR. Inoculations with the three LAB spp. lowered pH and increased concentrations of lactic acid, ace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mpared to non-LAB inoculated control (only addition of an equivalent amount of water) (p<0.05). Bacterial composition indicated that aerobic bacteria and LAB were higher. However, E. coli were lower in the fermented TMR than those in the control treatment (p<0.05). Among the treatments, L. brevis treatment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otal organic acid without fungus detection. Gas production, pH, and ammonia-nitrogen during ruminal in vitro incubation did not differ throughout incubation. However, ruminal total VFA concentration was higher (p<0.05) in the LAB spp. treatments than the control treatment at 48 hours. Overall, the use of L. brevis as an inoculant for fermentation of high moisture. TMR could inhibit fungi growth and promote lactic fermentation, and enhance digestion in the rumen.
        4,000원
        5.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혼산 화물의 폭발사고에 대한 화학반응 경로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에는 사건-가지분석기법을 적용한 구조 적인 시나리오를 이용하였다. 구조적인 시나리오는 재결서에 기록된 혼산 화물 사고의 내용에서 다양한 화학반응 경로를 추정하여 구축하 였다. 분석에는 화학 이론에 의거한 정성적 분석과 화학 반응식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 및 설문조사를 통한 확률적 분석 등 세 가지 방법을 혼합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사고 발생의 주요 경로는 진한 황산과 물이 반응하여 폭발하는 경로, 혼산과 금속이 반응하여 폭발하는 경로, 특수한 물질과 합성하여 폭발하는 경로 등 세 가지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재결서에 기록된 경로와 유사함을 알았고, 이를 통해서 본 연구 에서 제안한 화학물질의 경로분석 기법이 타당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화학물질 사고의 화학반응 경로 추정에 적 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방산 혼합물 단분자층 LB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통하여 그 안정성을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조사하였다. 지방산혼합물 LB막은 ITO glass에 LB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0.01N KClO4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으로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범위는 연속적으로 1650 mV로 산화시키고, 초기 전위인 -1350 mV로 환원시켰다. 주사속도는 각각 50, 100, 150, 200 및 250 mV/s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지방산혼합물 LB막은 순환전압전류곡선으로부터 산화전류로 인한 비가역 공정으로 나타났다. 지방산혼합물 LB막은 전해질농도가 0.01 N NaClO4 용액에서 확산계수(D)는 각각 7.9×10-2 cm2s-1을 얻었다.
        4,000원
        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테아르산과 인지질혼합물의 농도변화에 띠르는 유기초박막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스 테아르산과 인지질 혼합물 유기초박막은 ITO glass에 LB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NaClO4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으로 순환전압전류법을 사용하여 초기 1650 mV에서 최종 퍼텐셜 -1350 mV 까지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테아르산과 인지질의 혼합물 유기초막은 순환전압전류도표로부 터 산화전류로 인한 비가역공정으로 나타났다. 스테아르산과 인지질혼합물 LB막(몰비 1:1, 1:2, 1:3)에 서 확산계수(D)는 0.01 N NaClO4에서 각각 1.4x10-3, 1.7x10-3 및 1.6x10-3 (cm2/s)로 산출되었다.
        4,000원
        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lauryl sulfobetaine(LSB)과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광범위한 온도변화에서 4-클로로벤조산의 가용화현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런 가용화현상에 미치는 온도효과와 계면활성제분자에서 알킬기의 길이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가용화상수값(Ks)은 UV/Vis 법에서 용액의 전체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대해 도시하여 그 기울기로부터 구하였다. 모든 계면활성제용액에서 4-클로로벤조산의 가용화에 대한 δGos값은 측정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그리고 δHos값과 δSos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즉,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온도의 변화에 따라 Ks 값과 열역학적 함수값이 큰 폭으로 변하였으며, 그런 결과로부터 4-클로로벤조산이 미셀의 어느 부분에 가용화되는지를 예측할 수 있었다.
        4,200원
        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화지방산과 인지질(DMPC)혼합 LB막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포화지방산과 DMPC 혼합 단분자 LB막은 ITO glass에 Langmuir-Blodgett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전기화학적 특 성은 NaClO4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 (Ag/AgCl 기준전극, 백금선 카운터 전극 및 LB 필름이 코팅된 ITO 작업 전극)으로 순환전압전류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포화지방산과 인지질(DMPC)의 LB막은 순환전압전류도표로부터 산화전류로 인한 비가역공정으로 나타났다. 포화지방산과 인지질 (DMPC)혼합(몰비 1:1) LB막(C14, C16, C18, C20)에서 확산계수(D)는 0.05 N NaClO4에서 각각 1.2x10-3, 2.1x10-3, 1.4x10-4 및 1.1x10-3 cm2/s로 산출되었다.
        4,000원
        1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러 종류의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혼합성 계면활성제 수용액에서 4-클로로벤조산의 가용화현상을 UV/Vis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온도의 변화에 따른 가용화상수값(Ks)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열역학적 함수값들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계면활성제의 용액에서 4-클로로벤조산의 가용화에 대한 △Gos 값은 측정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Hos 값과 △Sos 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 종류와 계면활성제분자의 알킬-그룹 길이에 따라 Ks값이 큰 폭으로 변하였으며, 그런 결과로부터 4-클로로벤조산이 미셀 내에서 가용화되는 위치와 미셀과의 상호작용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4,200원
        11.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들기름 및 미강유를 베이스로 개발한 혼합 식용유는 오메가-3 지방산인 리놀렌산 함량이 약 20% 정도로 매우 높다. 이는 기존의 일반 식용유 중 오메가-3 지방 함량이 매우 높은 콩기름과 카놀라유의 리놀렌산 함량이 각각 6% 및 10% 내외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 식용유에 비하여 새로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는 2~3배 높은 비율로 오메가-3 지방산을 제공할 수 있어서,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부족한 현대인의 식단에서 중요한 오메가-3 지방산 급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토코페롤 함량도 약 46.77 ㎎/ 100 g oil 정도인데, 가장 주목할 일은 토코페롤 동족류 중 비타민 E의 활성이 가장 강한 알파-토코페롤(31.71 ㎎/100 g oil)이 가장 많이 존재하여, 총 토코페롤의 64%를 차지하고 있어서 비타민 E로서의 기능이 높다.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기능성이 알려진 파이토스테롤 함량이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에 약 7,200 ppm 함유되어 있어, 일반적인 식용유의 3,000 ppm의 약 2.3배에 달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는 일반적인 식용유인 콩기름과 거의 유사한 산화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일반 들기름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산화안정성이 확보되었다.
        4,000원
        1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한 원료 콩에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와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혼합발효를 통해 대두 발효 제품의 개발을 목표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우수 균주 선별을 위한 연구로 고초균의 경우 단백질 분해능이 높은 균주를 청국장에서 분리하였고, 유산균의 경우 산도 생성이 높은 균주를 김치에서 분리하였다. 그리고 청국장에서 분리한 균주는 Bacillus subtilis로, 김치에서 분리한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두유 발효에서 pH는 Lactobacillus plantarum를 이용한 두유 발효와 혼합 배양의 경우가 급격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일 경우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두유 발효와 혼합 배양의 경우가 lactic acid의 생성은 배양 8시간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의 경우가 완만하게 증가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pH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였다. 두유 요구르트 생육도 측정 결과는 혼합 배양의 경우 단독배양에 비해 증식이 더 우수하였으며, 배양 32시간째 각 처리구별 총 균수는 Lactobacillus plantarum의 경우 1.02×108 cfu/㎖, Bacillus subtilis의 경우 2.12×108 cfu/㎖인데 비해 혼합 배양의 경우는 4.09×108 cfu/㎖로 가장 높았다. α-Amylase의 활성은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과 혼합 배양일 경우는 8시간 이후 효소 활성이 증가되면서 24시간 동안 발효시 22.01 unit/㎖, 8.13 unit/㎖로 가장 높았다. Protease의 경우는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과 혼합 배양일 경우는 8시간 이후 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발효 32시간째 103.08unit/㎖, 85.84 unit/㎖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Lactobacillusplantarum 단독 배양일 경우는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는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한 인지질(sphingomyelin)과 polyamic acid 혼합물의 단분자 LB막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phingomyelin과 polyamic acid 혼합물의 단분자 LB막은 ITO glass에 LB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KClO4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범위는 연속적으로 1650 mV로 산화시키고, 초기 전위인 -1350 mV로 환원시켰다. 주사속도는 각각 50, 100, 150, 200 및 250 mV/s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sphingomyelin과 polyamic acid 혼합물의 LB막은 순환전압전류도표로부터 환원전류로 인한 비가역공정으로 나타났다. Sphingomyelin과 polyamic acid 혼합물 LB막에서 전해질농도가 0.1N과 0.2N에서 확산계수(D)는 각각 2.67cm2s-1×105과 5.23cm2s-1×106을 얻었다.
        4,000원
        1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 isolated from the domestic soil have the most effective activity against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larva. The tannic acid as protease inhibitor might be increased the efficacy of sublethal concentrations of B. thuringiensis. The tannic acid was identified as a protease inhibitor that could increased the efficacy of sublethal concentrations of B. thuringiensis. Mixture of B. thuringiensis and tannic acid was investigated the mortality of S. exigua larva in the laboratory and field. When B. thuringiensis treated to 2nd larva of S. exigua, mortality was shown 54.4%. However, mixtures of B. thuringiensis with 4 and 40 mM tannic acid were increased mortalities to 2nd larva of S. exigua as 64.0 and 95.5%, respectively. Also, synergy effect of mixture of B. thuringiensis and 40 mM tannic acid was increased the mortality of S. exigua 3rd larva to 93.3%, even though 60.0% mortality with only B. thuringiensis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 mortality of mixture with B. thuringiensis and 80 mM tannic acid was 53.3% lower than B. thuringiensis single treatment. In the welsh onion field, the accumulated mortalities of 3 times replicated with mixture of B. thuringiensis and 40 mM tannic acid were 83.9, 89.4 and 66.8% compare with 61.8, 80.4 and 47.3% as only B. thuringiensis treatment, respectively.
        4,000원
        1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sterification of the reactants of Jatropha oil and methanol added by propyleneglycol was done using p-TSA catalyst. And then the emulsification of triglyceride and methanol was conduced by 1.0vol% GMS. The emulsified reactants were transesterified at 65℃ using TMAH and mixed catalyst (50wt%-TMAH+50wt%-NaOH) respectively. The esterification conversion at the 1:8 molar ratio of free fatty acid to methanol using 8.0wt% p-TSA was 94.7% within 80min. The overall conversion at the 1:8 molar ratio of mixed fat(50wt% Beef Tallow) to methanol and 65℃ using mixed catalyst was 95.4% The cloud point of Biodiesel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etroleum diesel.
        4,000원
        16.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investgated UV-Vis absorbance to observe the photoisomerization using the mixture solutions in chloroform and LB monolayers mixed with DLPE and 8A5H containing azobenzene which showed reversible cis-trans photoisomerization irradiated by alternate lights. We have found that the absorbance spectrums of the mixture solutions and LB monolayers were reversibly induced to cis-trans photoisomerization irradiated by alternate lights. In addition, the absorbance of both solution and LB monolayer mixed with 8A5H and DLPE were reversibly by alternate temperatures. As a results, the 1:1(by volume) mixture ratio of 8A5H and DLPE was more flexible and reversible cis-trans photoisomerization than the others.
        4,000원
        17.
        199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MA-co-DAMA were synthesized from 2-diethylaminoethyl metacrylate and ethylhexyl metacrylate in acrylmonomer. To facilitate water emulsification, acrylic copolymer was cationized by acetic acid to produce acetated acrylic copolymer. The structures of the synthesized copolymer and acetated copolymers were confirmed by IR, NMR, and molecular weight was measure by GPC, and C.H.N elemental analysis. Acetated acrylic copolymers were perfectly emulsified in water and showed increased emulsion stability. Polymer dispersion for cement modifier[(PDCM-PED) water proof agent of cement for concrete in building construction] was prepared by blending of the guaternized acrylic copolymer syndisized above, sodium silicate, sodium gluconate and oleic acid emulsion. The result with prepared polymer dispersion of cement modifier was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excellent waterprooffing effect ; Water permeability ratio is 0.50 under the water pressure of 100g/cm2 and 0.60 under 3kg/cm2, and water absorption ratio is 0.42~0.50 and 1.0~1.02 compressive strength ratio at mixed of water/PDCM-PED is 50 times.
        4,300원
        18.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CdCl2 buffer solution as subphase for LB films deposition, it was achieved successively to fabricate the Y-type mixed LB films of (N-eicosyl pyridinium)-TCNQ(1:2) complex and arachidic acid. By measure of U.V spectra and capacitance, deposition status was confirmed. Electrical conductivity was measured on a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LB films and in consequence of calculated was average 2.5 × 10-13 - 2 × 10-14 S/cm.
        3,000원
        19.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xed treatment of compost tea and amino acid liquid fertilizer as a substitute of oil cake for the organic cultivation of maize in Goesan, Chungbuk province. As a result, nitrogen, phosphoric acid,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of each organic fertilizer were in the order of oil cake > amino acid fertilizer > compost tea. Each of these organic fertilizers had little influence on the change of soil chemical. Individual treatment of amino acid fertilizer and oil cake for weight of an ear as well as all individual treatments for the fresh weight of 100 kernel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For the corn yield of merchantable quality, each treatment of compost tea, amino acid liquid fertilizer and oil cake increased higher 3.9, 5.4 and 5.9% than untreated contro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mixed treatment of amino acid fertilizer and compost tea, the change of soil chemical property was insignificant. The mixed treatment, Nonetheles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for stem height to 1st ear, grain setting length in an ear, weight of an ear, and fresh weight of 100 kernels, compared to the oil cake as a control. After all, the corn yield of merchantable quality produced by the mixed treatment was 3.9% higher than the control. Therefore, our study would be considered that the mixed treatment of amino acid and compost tea is one of organic materials that can replace oil-cake in maize.
        2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ixed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and fatty acid profiles of Korean native chicken and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producers. Ninety six Korean native chicken (48 males and 48 females, Hanhyup-3-ho) were allocated to 16 wire cages with 4 treatments, 4 replicates and 6 chicks (3 males and 3 females) per wire cage and fed one of four diets containing 0, 0.5, 1 and 1.5% mixed probiotics for 6 week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growth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 For fatty acid profiles,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each fatty acid, total saturated fatty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observed in all treatments. In the present study, irrespective of statistically differences, inclusion of mixed probiotics tended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reduce saturated fatty acid and increase unsaturated fatty acids in breast muscles from Korean native chicken compared to control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