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신체, 정신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관한 요인을 분석하여 학생 진로지도 및 생활지도에 차별성 있는 도움을 주고자한다.
방법 : 본 연구는 삶의 척도에 대한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측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충청지역 안경광학과 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삶의 척도를 설문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를 SPSS 18.0을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0 로 처리하였다.
결과 : 안경광학과 학생들 중 삶의 의미 척도는 4학년이 4.81, 남성이 4.76, 종교가 ‘있다’ 그룹이 4.80으로 나 타났다. 삶의 만족 척도는 학업수준 중 ‘매우 잘한다’ 그룹이 3.40, 경제수준에 따라서는 ‘매우 좋다’ 그룹이 4.05 로 나타났다.
결론 :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4학년, 남성, ‘종교 있음’ 그룹이 삶의 척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업수준 중 ‘매우 잘한다’, 경제 수준 중 ‘매우 좋다’ 그룹이 삶의 척도를 낮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학업수준과 경제 수준의 정도와 삶의 만족도는 비례할 것으로 예측하지만 본 연구 결과에서는 반비례 결과로 조사된 바, 학업수준 이 높거나 경제수준이 높은 학생들의 상담 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충남지역에 소재한 안경광학과 학생 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 탄력성과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였고, 사후 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Pearson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회복탄력성과 현장실습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알아보았고, 회복탄력성이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회복탄력성은 성별, 현장실습 만족도,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 평소의 대인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현장실습 스트레스는 성별, 현장실습 만족도,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 평소의 대인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현장실습 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능력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13, p=0.016). 또한, 회복탄력성 중 자기조절능력(β=-0.313, p=0.016)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안경광학과 학생의 회복탄력성은 현장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회복탄력성 증가를 위한 교과과정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하여 현장수행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목 적: 본 연구는 미래에 안경사가 될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안경원 종사자 복지에 대한 요구도 를 설문하고 분석하였으며, 이 자료가 안경사 복지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에 응답한 전체의 일반적 특성과 취업 희망분야를 분석하였고, 취업 희망분야 중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인 안경원에 취업을 희망하는 재학생 148명(47.90%)을 대상으로 안경원 취업을 희망하는 이유, 1일 근무 희망시간, 희망 휴무 요일과 수, 월 희망 급여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결 과: 취업 희망분야에서 안경원 148명(47.90%), 안과 68명(22.01%), 안경관련회사 52명(16.83%), 진 학 등 기타는 41명(13.27%)였다. 안경원 취업은 경제적 안정 50.00%, 발전가능성 25.00%, 적성 23.65%, 사회적 인정 1.35% 이유로 희망 하였으며, 1일 근무 희망 시간은 평균 8.91±1.337시간, 월 휴무일 희망 수는 평균 6.27±2.475일, 휴무 희 망 요일 수는 일요일 평균 2.79±1.618일, 토요일 평균 2.12±1.618일, 주중 평균 1.42±1.508일이었고, 월 급여는 평균 166.70±46.164만원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안경사 복지 개선은 안경사 개인 삶의 질과 직업의식의 향상을 일으키고 이는 안경사의 적극적이 고 긍정적인 근무태도로 이어져 고객 신뢰와 매출 증대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안경원 경영에도 도움이 될 것 으로 사료된다.
목적: 안경광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교과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지역 안경광학과 재학생 183명과 서울, 경인지역 산업체 재직 안경사 123명을 대상으로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안경광학과 교과과정을 5개 분야로 구분하여 5점 척도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두 집단의 교과과정 만족도는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는데(재학생: 16.44±2.66, 산업체: 16.47±3.38) 분야별로는 이론교육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재학생: 3.87±0.74, 산업체: 3.82±0.68) 외국어교육과 인성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재학생의 경우에 이론교육(p
목 적: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학내·외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바탕으로 대학 전공 교육의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 법: 설문을 통해 경기도, 경남, 전남, 전북에 소재 대학의 재학생 507명과 서울시, 대전시, 경기도, 전북에 근무하는 안경사 138명을 대상으로 안경광학과 전공교과목에 대한 요구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안광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기하광학 과목이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재학생과 안경사)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안과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안질환 과목이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안경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안경재료학 과목이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검안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굴절검사학 과목 평균점수가 4점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 < .05). 4개 전공 영역의 요구도 비교에서는 2집단 모두 검안학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안경학, 안과학, 안광학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안경사는 실습 4개 과목 중에서 굴절검사 과목 확대 요구도가 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요구를 전공 교육에 반영하여 안경원에서 보다 유용한 시력검사를 할 수 있도록 굴절검사와 관련된 과목의 확대와 강화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