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1.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chlorinating agents in partitioning light water reactor spent fuel, with the aim of optimizing the chlorination process. Through thermodynamic equilibrium calculations, the effects of using MgCl2, NH4Cl, and Cl2 as a single chlorinating agent or applying MgCl2, NH4Cl, and Cl2 sequentially for spent fuel chlorination were evaluated Furthermore, in this study, assuming the actual process operation situation, where only a part of the semi-volatile nuclides is removed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and including the process of precipitating the molten salt from the chlorination process with K3PO4 and K2CO3 precipitants, the percentage distribution of 50 nuclides in the light water reactor spent fuel into each process stream was quantitatively calculated using the simulation function of the HSC program and tabulated for intuitive viewing. Compared to a single chlorinator, sequential chlorination more effectively separated the heat and radioactivity of the spent fuel from the uranium-dominated product solids. Specifically, the sequential application of the chlorinating agents following heat treatment led to a final solid separation characterized by 93.1% mass retention, 5.1% radioactivity, and 15.4% decay heat, relative to the original spent fuel. The findings underscore that sequential chlorination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spent fuel partitioning, either as a standalone approach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partitioning processes such as pyroprocessing.
        2.
        2023.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various chlorinating agents in partitioning light water reactor spent fuel, with the aim of optimizing the chlorination process. Through thermodynamic equilibrium calculations, we assessed the outcomes of employing MgCl2, NH4Cl, and Cl2 as chlorinating agents. A comparison was drawn between using a single agent and a sequential approach involving all three agents (MgCl2, NH4Cl, and Cl2). Following heat treatment, the utilization of MgCl2 as the sole chlorinating agent resulted in a moderate separation. Specifically, this method yielded a solid separation with 96.9% mass retention, 31.7% radioactivity, and 44.2% decay heat, relative to the initial spent fuel. In contrast, the sequential application of the chlorinating agents following heat treatment led to a final solid separation characterized by 93.1% mass retention, 5.1% radioactivity, and 15.4% decay heat, relative to the original spent fuel. The findings underscore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a sequential chlorination strategy for partitioning spent fuel. This approach holds promise as a standalone technique or as a complementary process alongside other partitioning processes such as pyroprocessing. Overall, our findings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pent fuel management strategies.
        4,600원
        5.
        2019.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ew Vacuum Solar Telescope (NVST) is the largest solar telescope in China. When using CCDs for imaging, equal-thickness fringes caused by thin-film interference can occur. Such fringes reduce the quality of NVST data but cannot be removed using standard flat fielding. In this paper, a correction method based on multi-scale decomposition and adaptive partitioning is proposed. The original image is decomposed into several sub-scales by multi-scale decomposition. The region containing fringes is found and divided by an adaptive partitioning method. The interference fringes are then filtered by a frequency-domain Gaussian filter on every partitioned image. Our analysis shows that this method can effectively remove the interference fringes from a solar image while preserving useful information.
        4,000원
        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지혈증 모델동물 랫드에서 n-6/n-3가 서로 다른 식이를 급여하였을 때 혈액지질의 대사적 분할에 미치는 작용 메카니즘을 생체 모니터링 기법으로 구명하였다. 총 glycerolipids의 간에서 대사된 cholesteryl 14C-oleate 비율은 n-6/n-3 비율 4:1, 15:1, 30:1, 대조군 순서로 낮았다(p<0.05). 인지질 분비량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n-6/n-3 비율 4:1, 15:1, 30:1 순서로 높았다(p<0.05). 중성지방 분비량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n-6/n-3 비율 4:1, 15:1, 30:1 순서로 특히, 4:1 처리군에서 낮았다(p<0.05). 총 glycerolipid에 대한 인지질의 분할 비율은 n-6/n-3 비율 4:1, 15:1, 30:1, 대조군 순서로 높았다(p<0.05). 간으로부터 중성지방 분할 비율(%)은 대조군 82.25%와 비교할 때 n-6/n-3 비율 4:1, 15:1, 30:1에서 각각 72.99, 75.93, 78.12%로써 n-6/n-3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p<0.05). 인지질 분할 비율(%)은 대조군 11.04%와 비교할 때 n-6/n-3 비율 4:1, 15:1, 30:1에서 각각 25.15, 18.87, 18.15%로써 n-6/n-3 비율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p<0.05).
        4,200원
        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itrogen (N) mineral on reproductive potential of Brassica napus L, plant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N treatment (N0; N100; N500). The half of N content for each treatment were applied at the beginning of the early vegetative stage and the rest was applied at the late vegetative stage. Nitrogen content in plant tissues such as root, stem and branch, leaf, pod and seed was analyzed and harvest index (HI) was calculated as percentage of seed yield to total plant weight. Biomass and nitrogen conten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different levels of N supply. Bioma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59.2% in nitrogen deficiency (N0) but significantly increased by 50.3% in N excess (N500), compared to control (N100). Nitrogen content in all organs was remarkably increased with nitrogen levels. N distribution to stem and branches, and dead leaves was higher in N-deficient (N0) and N excessive plants (N500) than in control (N100). However, nitrogen allocated to seed was higher in control (N100) than in other treatments (N0 or N500), accompanied by higher H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ptimum level of N supply (N100) improve HI and N distribution to seed and excessive N input is unnecessary.
        4,000원
        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차세대 랫드에서 오메가 6(n-6)와 오메가 3(n-3) 지방산 비율이 서로 다른 식이 (0, 1.2:1, 8:1, 19:1)의 섭취가 간에서 새롭게 합성․분비되는 glycerolipid의 대사적 분할에 관한 메카니즘을 구명하였다. 그 방법으로써 경정맥 캐뉼라를 부착한 랫드에서 생체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하였다. glycerolipid 대사에 의한 산화로써 나타난 14CO2 배출율 범위는 8:1 이하 그룹에서 7.05-20.17%로 나 타났으며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총 glycerolipid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19:1, 8;1, 1.2:1 그룹의 순서로 높았다(p<0.05). 중성지방 분비량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1.2:1, 8:1, 19:1 그룹의 순서로 각각 36.35, 20.93, 13.72% 감소하였다(p<0.05). 총 glycerolipid에 대한 인지질의 분할 비율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1.2:1, 8:1, 19:1 그룹의 순서로 각각 1.38, 1.29, 1.17배 높았다(p<0.05). 총 glycerolipid에 대한 14CO2 생성비율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1.2:1, 8:1, 19:1 그룹의 순서로 각각 1.61, 1.52, 1.29배 높았다(p<0.05).
        4,300원
        10.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oposes an information maximization method to extract useful informations for streaming signals. The information maximization method is to extract signals using stream partitioning function and standard normalization function. The stream partitioning function divides streaming signals into intervals. Signal coefficient and interval coefficient are used at generating a interval by using stream partitioning function. Signal coefficient determines the quantity of data included in a signal interval. Interval coefficient determines the starting point of a signal interval. The standard normalization function determines a signal range by using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streaming signals. The information maximization method becomes resistant to outliers and missing values. A normal signal can be extracted effectively for streaming signals by the Information maximization method.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method are also presented by several experimental results.
        4,000원
        11.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착과 정도에 따른 ‘부유’ 감나무(Diospyros kaki cv. Fuyu)의 수체 부위별 질소화합물 분배와 저장양분의 축적 정도를 밝히고, 이들이 다음해 새로운 생장에 재이용되는 관계를 구명하였다. 6월 15일에 엽과비가 10, 20, 30이 되도록 착과량을 조절하였고, 일부는 모든 과실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6월 15일부터 11월 1일까지 증가한 총 아미노산은 제과수에서 가장 많았고, 엽과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뿌리는 엽과비 10에서 당년 아미노산의 증가가 없었다. 증가한 총 아미노산이 뿌리로 분배된 비율은 엽과 비 20에서 64%, 엽과비 30에서 18.5%, 제과수에서 81%였다. 과실로 분배된 비율은 엽과비 10에서 81%, 엽과비 20에서 12%, 엽과비 30에서 35%였다. 당년 착과량이 많은 엽과비 10의 잎에서 아미노산이 감소 하였다. 이 기간 동안 증가한 총 단백질은 엽과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당년에 증가한 단백질은 과실 로 가장 많이 분배하였고, 엽과비가 낮을수록 영구기관으로 분배되는 양이 감소하였다. 엽과비 30에서는 당년에 증가한 총 단백질이 과실로 59%, 뿌리로 40% 분배하였다. 당년 엽과비 10과 20의 잎에서 단백질 이 감소하였다. 이듬해 4월 10일부터 6월 10일까지 신초생장기 동안 아미노산은 모든 처리구의 2년생 이 상의 가지와 신초에서, 단백질은 모든 처리구의 신초에서 감소하였다. 특히 제과수는 뿌리에서 아미노산 이 540 mg, 단백질이 610 mg 감소하였다. 이듬해 새로운 부위의 총 아미노산과 단백질은 전년도 제과수 에서 각각 730 mg, 1290 mg으로 높았고, 전년도 착과량이 많은 엽과비 10에서 각각 120 mg, 400 mg 으로 낮았다.
        4,000원
        1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게임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중에서 분석 및 설계 단계의 산출물 중 시퀀스 다이어그램과 OCL 컨트랙트 명세를 기반으로 하여 테스트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 한다. 생성된 테스트 케이스는 테스트 수행뿐만 아니라 테스트 자동화를 위하여 생성하는 테스트 드라이버 작성시 활 용 가능하다.
        4,300원
        1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공간분할에 기초한 무리 짓기 알고리즘에서 적절한 분할의 크기를 제시한다. 이것은 공간분할에 기초한 무리 짓기의 알고리즘의 성능이 에이전트의 수, 이웃 에이전트들의 수뿐만 아니라 분할의 크기에도 의존하기 때문이 다. 에이전트 수 및 이웃 에이전트들의 수는 게임 환경에 의하여 고정되는 반면, 분할의 크기는 게임 환경에 관계없이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최적화가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공간분할에 기초한 무리 짓기 알고리즘의 성능은 시간 복잡 도 및 실험적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분할의 크기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대부분의 3D 환경에서 분할의 크기 가 에이전트의수 일 때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4,000원
        1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zzy partition is a conceptual vehicle that encapsulates data into information granules. Fuzzy equalization concerns a process of building information granules that are semantically and experimentally meaningful. A few algorithms generating fuzzy partiti
        4,000원
        1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stance-based learning is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that has proven to be successful over a wide range of classification problems. Despite its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however, it has a relatively high storage requirement and because it mus
        4,000원
        16.
        2005.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stance-based learning methods like the nearest neighbour classifier have been proven to perform well in pattern classification on many fields. Despite their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they suffer from high storage requirement, computational cost and sensitivity to noise. In this paper, we present a data reduction method for classification techniques based on entropy-based partitioning and center instanc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new algorithms achieve a high data reduction rate as well as classification accuracy.
        4,000원
        20.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온 조건하에서 추파 청예작물의 의한 질산태 질소 흡수 및 이용에 대한 대사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호밀과 사초용 유채의 생육온도를 5 ∘ C 및 25 ∘ C 로 처리 후 뿌리를 양분하여 14 N 과 15 N 을 각각 공급하여 15 N 의 식물체내 이동을 추적하였다. 5 ∘ C 에서 9일간 호밀과 유채에 의해 흡수된 질산태 질소의 함량은 25 ∘ C 처리구에 비해 각각 59.3% 및 27.1%가 감소하였다. 25 ∘ C 조건하에서 9일간 호밀 및 유채에 있어 흡수된 질산태 질소의 약 2.5% 및 7.6%가 뿌리로 전이되었고, 5 ∘ C 조건하에서는 뿌리로 전이된 질산태 함량은 각각 3.8% 및 10.9%로 증가하였다. 목부를 통해 잎으로 전이된 질소의 함량은 25 ∘ C 조건하의 호밀 및 유채에서 개체당 각각 55.9 및 54.4 mg N이었으며, 5 ∘ C 에서는 각각 22.1 및 38.8 mg N으로 저온 처리에 의해 목부를 통한 전이된 질소 함량은 각각 60.4% 및 28.8%가 감소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호밀과 유채 공히 체관부를 통해 잎에서 뿌리로 전이된 질소의 함량은 다른 경로를 통한 질소 전이량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저온 처리에 따른 전이량의 변화폭 역시 가장 낮았다. 25 ∘ C 조건하에서 호밀 및 유채에 있어 총 흡수된 질소의 2.5% 및 0.5%이었으며, 5 ∘ C 조건하에서 이 비율은 각각 5.2% 및 0.9%로 증가하였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