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설향’ 딸기에서 정식날짜와 정식전 단근처리 및 정식후 굴취처리가 생육, 출뢰율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60~70일 묘령의 모종을 9월 7 일, 9월 14일, 9월 21일 정식하였고 단근처리는 전체 뿌리의 25%, 50%를 각각 잘라내어 무처리와 비교하였다. 굴취처리는 9월 7일 정식한 묘를 10일후 굴취한 다음 재정식한 것과 20일후 굴취하여 재정식한 것을 비교하였다. 정식일이 늦을수록 지상부 생육이 억제되고 수량이 감소하였다. 정화방과 액화방 출뢰는 다소 앞당겨지는 경향이었다. 단근처리와 굴취처리는 지상부 생육이 억제되고 수확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25% 보다 50% 처리구에서 더욱 확연하게 보였다. 단근처리시 정화방과 액화방 출뢰일은 무처리에 비해 늦추는 경향을 보인 반면 정식 20일후 굴취처리에서 액화방 분화를 약 7일 정도 앞당길 수 있었으나 수확량은 무처리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액화방의 분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강한 근권부 스트레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나 수량과 생육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재배시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4,0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부지역에서 논 콩 파종기 이동에 따른 생육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콩 조숙종 3품종과 중만생종 3품종을 경기 수원지역에서 5월 21일, 6월12일, 6월29일, 8월1일 4회 파종을 하여2012년부터 2013년까지 2개년 간에 수행하여 주요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현율은 파종기 조·만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중만숙종인 태광콩이 가장 높았고 조숙종인 참올, 중만숙종 황금이 가장 낮았으며 연차 간 차이는 없었다. 2. 출현소요일수는 만파될수록 단축되는 경향이었으며 조숙종, 중만숙종 품종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연차 간에 총 평균 출현소요일수의 차이가 있었다. 3. 개화소요일수는 조·중만숙종 품종에 관계없이 만파될수록 개화일수가 단축되었으며 단축폭도 만파될수록 적어졌다. 조숙종이 중만숙종 보다 5.5일이 더 빨랐고, 연차 간에 개화소요일수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 주경장은 조파에 비해 만파에서 단축되는 경향이었으며 조숙종이 중만숙종 보다 적었고 연차 간에 주경장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분지수는 조숙종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중만생종은 만파될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중만숙종이 조숙종 보다 많았고 연차 간에 차이가 있었다. 5. 주당협수는 조파에서 가장 많았고 중만숙종이 조숙종 보다 많았으며 연차 간 차이는 없었다. 주당립수는 전 파종기조·중만숙종 전체평균치는 중만숙종이 조숙종 보다 더 많았고연차간 비교시 2012년이 2013년보다 더 많았다. 백립중은 조기 3파종기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만파에서는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조숙종이 중만숙종 보다 더 무거웠고 연차 간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6. 10a당 수량은 6월29일 파종기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6월12일, 5월21일 순으로 낮아졌으며 8월1일 파종기에서 가장 낮았다. 전 파종기에 걸쳐 조숙종과 중만숙종 전체평균치를 보면 중만숙종이 조숙종 보다 많았고 연차 간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4,000원
        3.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ltivation methods of Acanthopanax in Korea need to be optimized.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ratios and planting dates on the growth and acanthoside D content of two (2) Acanthopanax species. The current recommended fertilizer rate of 10.5-8.5-8.5 kg/ha- (N-P2O5-K2O, respectively) produced the best plant growth of Acanthopanax. For the first year,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2x phosphate) rate was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fertilizer ratios, y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ing from the various treatments for either Acanthopanax divaricatus or Acanthopanax koreanum. Similarly, for the second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various fertilizer ratios, although for both species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treatments.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doubling the amount of phosphate increased the acanthoside D content. Plus, the optimum planting date with respect to growth and productivity for Acanthopanax divaricatus was identified as April 15. The cultivation methods of Acanthopanax in Korea need to be optimized.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ratios and planting dates on the growth and acanthoside D content of two (2) Acanthopanax species. The current recommended fertilizer rate of 10.5-8.5-8.5 kg/ha- (N-P2O5-K2O, respectively) produced the best plant growth of Acanthopanax. For the first year,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2x phosphate) rate was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fertilizer ratios, y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ing from the various treatments for either Acanthopanax divaricatus or Acanthopanax koreanum. Similarly, for the second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various fertilizer ratios, although for both species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treatments.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doubling the amount of phosphate increased the acanthoside D content. Plus, the optimum planting date with respect to growth and productivity for Acanthopanax divaricatus was identified as April 15. The cultivation methods of Acanthopanax in Korea need to be optimized.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ratios and planting dates on the growth and acanthoside D content of two (2) Acanthopanax species. The current recommended fertilizer rate of 10.5-8.5-8.5 kg/ha- (N-P2O5-K2O, respectively) produced the best plant growth of Acanthopanax. For the first year,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2x phosphate) rate was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fertilizer ratios, y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ing from the various treatments for either Acanthopanax divaricatus or Acanthopanax koreanum. Similarly, for the second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various fertilizer ratios, although for both species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treatments.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doubling the amount of phosphate increased the acanthoside D content. Plus, the optimum planting date with respect to growth and productivity for Acanthopanax divaricatus was identified as April 15. The cultivation methods of Acanthopanax in Korea need to be optimized.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ratios and planting dates on the growth and acanthoside D content of two (2) Acanthopanax species. The current recommended fertilizer rate of 10.5-8.5-8.5 kg/ha- (N-P2O5-K2O, respectively) produced the best plant growth of Acanthopanax. For the first year,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2x phosphate) rate was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fertilizer ratios, y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ing from the various treatments for either Acanthopanax divaricatus or Acanthopanax koreanum. Similarly, for the second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various fertilizer ratios, although for both species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treatments.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doubling the amount of phosphate increased the acanthoside D content. Plus, the optimum planting date with respect to growth and productivity for Acanthopanax divaricatus was identified as April 15. The cultivation methods of Acanthopanax in Korea need to be optimized.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ratios and planting dates on the growth and acanthoside D content of two (2) Acanthopanax species. The current recommended fertilizer rate of 10.5-8.5-8.5 kg/ha- (N-P2O5-K2O, respectively) produced the best plant growth of Acanthopanax. For the first year,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2x phosphate) rate was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fertilizer ratios, y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ing from the various treatments for either Acanthopanax divaricatus or Acanthopanax koreanum. Similarly, for the second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various fertilizer ratios, although for both species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treatments.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doubling the amount of phosphate increased the acanthoside D content. Plus, the optimum planting date with respect to growth and productivity for Acanthopanax divaricatus was identified as April 15.
        4,000원
        4.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논에서의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수량을 비교 분석할 뿐 아니라 논과 밭의 생육특성 및 수량도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논에서의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출사일수는 4월 22일 파종기에 81일, 5월 20일 파종기에 70일, 6월10일 파종기에 62일로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출사일수는 짧아졌다. 논과 밭 간의 출사일수는 차이가 없었다. 논에서의 간장은 4월 22일 파종기와 5월 20일 파종기 간 차이는 없었으
        4,000원
        7.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최근 육성된 국내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들의 파종기에 따른 수량 및 사료가치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산 옥수수의 파종일에서 출사일까지의 출사일수는 수원169호와 P3394가 62일로 가장 짧았으며 강다옥이 68일로 가장 길었다. 청안옥이 다른 품종보다 도복에 더 강하였으며 후기녹체성은 광평옥, 강다옥이 다른 품종보다 더 우수하였다. 암이삭 비율은 강다옥을 제외한 품종들은 수입종인 DK697과 P3394와 비슷하였지만 대체로 낮은 것으로
        4,000원
        11.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밀-헤어리베치 혼파는 높은 생산성과 토양보전 측면에서 추천되어진다. 본 시험은 이런 혼파조합을 이용함에 있어 적정 파종 및 수확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확이 지연됨에 따라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초장은 커졌으며 파종시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건물 함량은 파종시기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확시기간에는 수확이 지연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져 5월 중순경에 약 30% 전후를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출수기에 17~18%에서 급격히 떨어져
        4,000원
        12.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ultural method of triticale(Triticum Secalotriticum Saratoviense Meister) as a whole crop silage by evaluating the effect of seeding date and nitrogen fertilization rate on forage yields and feeding value. H
        4,000원
        13.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수수의 흑조위축병 발생이 심한 경화 경산에서, 흑조위축병 내병성이 다른 사일리지용 옥수수 2품종과 생육기간이 다른 사일리지용 수수 2품종을 6개 파종기(4월 l일, 4월 15일, 4월 29일, 5월 13일, 5월 27일,6월 10일)에 재배하여 옥수수는 황숙기에 1회, 수수는 유숙기에 1차 수확하고, 재생한 것은 10월 1일에 2차 수확하여 건물생산성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입묘솔은 옥수수가 수수보다 높았다 옥수수는 품종간 및 파종기간에 입묘솔
        4,000원
        1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esh edible sweet corns demand relatively short period to harvest fresh ears, which can allow farmers to make a choice sweet corns for various cropping systems. For this reason, we were to find the optimum planting date of late-planted sweet corns to sell fresh ears in the autumn linked to cropping system with winter crops, investigating yield and properties of marketable fresh ears and growth traits of sweet corns (cv. 'Godangok' and cv. 'Guseulok') depending on planting dates such as 10 July, 20 July, and 30 July in Suwon 2012 and 2013, respectively. The 20 July-planted sweet corns showed the most fresh ear yield. However, the 10 July-planted and the 30 July-planted had 32% less yield caused by consecutive rainfall from 10 July through 20 July, and 15% less yield due to low air temperature during ripening than the 20 July-planted, respectively. The 10 and 20 July-planted sweet corns had average 140g of a fresh ear weight and 15% heavier ear than the 30 July-planted. For the July-planted sweet corns, silking days after planting (r=-0.80**), and harvesting days after silking (r=-0.97**) and planting (r=-0.91**) were high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daily mean air temperature during the period, resulting in it takes 1,100 growing degree days (GDD) to harvest fresh ears from the July-planted sweet corns. The fresh ears of the 20 July-planted sweet corns are able to be harvested by early October. Therefore it will be a good choice for the cropping system based on winter vegetable cash crops such as temperate garlic and onion with medium or late maturity. Among three planting dates 20 July-planted sweet corns had the best field performance in every year considering fresh ear yield, ear size, and stability to grow.
        15.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콩에 함유된 아이소플라본 합성에 관여하는 요인 중 평균기온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생태형이 다른 일품검정콩, 청자콩, 흑청콩 3품종을 사용하였다. 파종은 5월 15일, 5월 30일 6월 15일 3시기에 재식밀도 60×15cm 로 하였다. 재배관리는 경기도 콩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하였다. 아이소플라본 함량 분석은 개화기후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수확기까지 채취하여 얻은 시료를 UPLC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시험품종 모두 파종기가 늦을수록 높았다. 2.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품종과 파종기에 관계없이 genistein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daidzein, glycitein 순이었는데, glycitein은 개화기 후 45~55일경 이후에는 뚜렷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고, 등숙기간중 기온변화에 안정적이었다. 3. 아이소플라본 중 genistein 함량이 daidzein 함량보다 높아진 시기는 일품검정콩은 개화기 후 50~55일, 청자콩은 개화기 후 40~55일, 흑청콩은 개화기 후 60~65일이었다. 4. 등숙기간중 개화기 후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평균기온과 아이소플라본 함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품검정콩에서 genistein은 y=-15.28x+407.9 (R2=0.505* ), 청자콩에서 diadzein은 y=-6.188x-164.5(R2=0.454* )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genistein은 y=-11.59x+297.6(R2=0.545**)으로 고도의 유의한 상과관계를 보였다. 5.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검정콩 생산이 적합한 지역은 등숙기간중 립비대기(R5 )~생리적 성숙기(R7 )의 평균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기북부지역과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의 내륙지역과 고지대일 것으로 고찰되었다.
        1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owth, yield and chemical properties of waxy corn Sonjajang~timesKNU-7 and Asan~timesKNU-7 planted in different dates and mulch types in a converted paddy field was investigated.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in a split split-plot arrangement with four replications. Planting dates (D) [May 16 (D1, early), June 1 (D2, middle), June 6 (D3, late)] represented main plots, plastic mulch (M) [(BM, black mulch; TM, transparent mulch)] for subplots while waxy corn crosses [Sonjajang~timesKNU-7 (‘Sonja’) and Asan~timesKNU-7 (‘Asan’)] for sub-subplots. Results showed that 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characters except emergence, ear quality except ear diameter, and yield whereas M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characters only. Superior growth and ear quality performance were recorded in D1 and BM. In terms of crosses, ‘Sonja’ had better growth performance than ‘Asan’ regardless of D and M, but performed better at D1 and BM. Highest yield was obtained in D1 for BM (2,131 kg 10a-1 ) and TM (1,655 kg 10a-1 )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yield across V was recorded. In terms of starch and sugar contents, a decreasing trend was observed from D1 to D3 regardless of M and V.
        17.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당옥수수의 수확기 분산을 위한 파종기에 따른 적정재식밀도를 규정하기 위하여 경북 경산에서 "Cambella 90"을 흑색 P E. film 피복하여 파종기 4월 1일, 5월 1일, 6월 1일, 재식밀도를 3,500, 4,500, 5,500, 6,500, 7,500주/10a 조건에서 파종하여 생육과 이삭특성 및 상품성 있는 이삭수를 조사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율과 입묘율은 4월 1일 파종기에서 낮았고, 재식밀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간장과 착수고는 5월 1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으며,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 분얼수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출사기는 파종기가 한 달씩 늦어질수록 각각 15 및 22일 지연되었고, 재식밀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Brix 당도는 5월 1일 파종기에서 가장 높았고,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당도가 높았다. 4. 파종기가 늦을수록, 재식 밀도가 증가할수록 이삭장, 착립장, 이삭경, 이삭중이 모두 감소하였다. 착립장과 이삭중과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파종기가 다를 때는 같은 착립장에서도 이삭중의 변이가 커서 이삭의 품질은 이삭중으로 나타내는 것이 타당하였다. 5. 초당옥수수의 적정 재식밀도는 중품(200~300g) 과 상품 (300 g)의 상품성 있는 이삭수를 4,000개/10a를 목표로 하여 4월 1일 파종에서는 낮은 출아율을 고려한 6,500~7,500주/10a , 5월 1일 파종에서는 5,500~6,500 주, 6월 1일 이후의 파종에서는 6,500주이었다.
        18.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실험은 조생종인 하대두형 및 중국수집종 콩과 중숙~만숙종의 국내 육성 종과의 isoflavone 함량변이를 비교하며, 파종기 이동 및 콩의 생육단계별 생육기간에 따른 isoflavone함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isoflavone함량은 파종기 이동에 관련 없이 국내 수집종이 하대두형 및 중국수집 종에 비하여 놓았으며, 하대 두형콩과 중국수집 종과 비슷한 함량 분포를 나타냈다. 2. 파종기이동에 따른 총 isoflavone 함량은 파종기를 늦게 할수록 하대두형, 중국수집종 및 국내육성종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 이었다. 3. 콩의 개화기~성숙기의 기간 및 생육일수가 길어질수록 isoflavone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도 부합되었다. 4. 콩의 isoflavone 함량은 입중이 무거울수록 함량이 낮아 졌으며, 상관계수는 4월~5월 파종구에서 각각 -0.57, -0.51 및 -0.38로 분석되었다.
        19.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dequate planting date, to compare the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early and late maturing cultivars, and to provide the data for the cultivation technique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n double cropping system with winter crops on paddy field in Korea. Cultivars were planted on 26 May, 16 June, and 7 July with a planting density of 70cm(row~;widtb)~;~times~;10cm (planting spacing). Seed yield of soybean planted on June 16 and July 7 was approximately 37~%~;and~;53~% , respectively, less than that of conventional planting date of May 26 in Pungsan-namulkong, and planted on June 16 and July 7 was about 30~%~;and~;37~% , respectively, less then that of conventional planting date of May 26 in Hanamkong. The number of pods and seeds per plant decreased as planting date delayed. Seed weight increased in Pungsan-namulkong but decreased in Hannamkong as planting date delayed. The flowering date was late in delayed planting plots, but it was shorted for days from emergence to flowering and from emergence to maturity. The plant height of Hannamkong was greater than Pungsan-namulkong from the emergence to flowering stages, but in contrast, it was greater in Pungsan-namulkong than Hannamkong after flowering stage (50d after emergence) when it planted on May 2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soybean cultivars at planting dates of June 16 and July 7. Leaf number, leaf area, and dry matter were also reduced by late planting, and Both of them were shown in high reduction at the later planting. There was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flowering (r~;=~;0.87**) and pod formation (r~;=~;0.91**) stages between leaf dry matter and seed yield. Crop growth rate (CGR) was greater at R2~~R3 growth stages compared to R3~~R4~;or~;R4~~R5 growth stages in two soybean cultivars and the greatest CGR was obtained at planting date of May 26 in two soybean cultivars except for R4-R5 growth stage in Pungsan-namulkong.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the seed yield and the leaf area index (LAI) across R3 to R4 and R2 to R3 stages. The photosynthetic rate (PN) of the uppermost leaf posi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lanting dates and between two soybean cultivars. However, PN of the 7th leaf position increased as the planting date delayed.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