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콘은 재배지역 적응성이나 과다시비에 강한 편이나 시비 종류나 시비량에 따라서 반응은 다르게 나타나는 작물인데 수피퇴비와 유기질비료를 주구로하여 3요소 시용량을 다르게 하여 준고냉지에서 야콘을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전 토양의 이화학성은 비옥도가 낮은 보통밭이었다. 재배기간중 월별 평균기온은 평년에 비해 7월만 높았을 뿐 그 외는 같거나 낮았다. 무비구보다는 무퇴비구가 생육이 양호하고 수량이 74% 많았다. 야콘 생육은 수피퇴비, 유기질비료 처리시 3요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초장, 엽수, 경태 등 생육이 양호했으며 수량도 많았다. 수량은 수피퇴비구보다는 유기질비료 처리구가 많은 경향이었으나 수피퇴비 3요소 1.5 배구가 수량이 6,905kg/10a 으로 가장 많았다. 야콘잎의 일반성분은 퇴비종류나 3요소 시용량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무퇴비구의 함량도 3요소 비료 시용구의 성분과 큰 차이가 없었다.
야콘(Polynmia sonchilolia)의 식품가공에의 적용 확대를 위해 그것들의 신선한 잎, 줄기, 괴근과 건조 잎과 줄기 및 후숙 후의 괴근의 화학적 성분들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신선한 잎의 경우 83.38%에서 건조 후 18.08%이었고, 줄기의 경우 92.30%에서 건조 후 27.97%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괴근의 경우 신선한 것은 89.52%이었으나 후숙 후 86.99%로 수분감소가 적게 나타났다. 잎의 지방, 단백질, 가용분,
Tuberous root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ig & Endlicher) were stored in differen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after curing for 30 days. Non-decadent percentage, moisture contents, brix degree and sugars were investigated. Whethe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high or not, most of the tuberous root decayed during storage, and the decayed percentage was increased as long as the storage period. In final, only 13% of tuberous roots remain intact at 4~circC , 85% relative humidity condition to be appeared best storage condition in this experiment and all of the tuberous root decayed in other storage conditions after 6 months. Moisture contents decreased a little in the high relative humidity. Even though tuberous roots decayed when stored at 10~circC and 20~circC , most of brix degree reached about 17.0.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contents were 1.65, 1.15 and 0.35% at early storage period, and 1.6, 1.1 and 0.5% after 6 months at 4~circC , 85% relative humidity, respectively. In 3 temperature conditions, fructose and glucose increased for a month and then decreased successively afterwards, but sucrose increased gradually during 6 months. Also in 4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contents were changed with similar to that of in temperature. Changes of fructose and glucose were the same except on 4~circC , 85% relative humidity, that was lower level than moisture of tuberous root.
야콘재배에 있어서 무멀칭구와 PE 멀칭구 그리고 PE 멀칭의 종류별로 야콘의 생육 및 수량을 검토하고, 전생육기간 동안 비닐멀칭 여부를 조사함으로써 다수확을 위한 야콘재배의 지표를 설정하고자 실시 하였다. 1. 수확시기에 멀칭구의 초장이 134~139 cm로써 비멀청구의 112 cm에 비하여 10 cm이상 컸으며, 다른 형질들 역시 초장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2. 주당 수량 역시 멀칭구가 0.79~0.91 kg으로써 비밀칭구의 0.61kg에 비해 많아 멀칭에 의하여 증수되었다. 3. 멀칭재료는 배색비닐에서 초장이 139 cm로써 가장 양호하였고, 투명비닐, 녹색비닐 그리고 흑색비닐 순으로 짧아졌으나, 주당 수량은 배색비닐에서 0.91 kg으로써 가장 양호하였고 흑색비닐, 녹색비닐 그리고 투명비닐 순으로 적어졌다 4. 수확시기까지 멀칭비닐을 제거하지 않는 것이 재배중간에 멀칭비닐을 제거하는 것보다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였다. 5. 야콘재배에 있어서 멀칭은 지온상승과 토양수분을 보존함으로써 증수에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실험은 포장과 포트재배에서 토양시비수준(土壤施肥水準), 온도(溫度) 및 광조건(光條件下)에서 건물생산량과 광합성(光合成) 속도의 차이를 측정분석하여 야콘의 적정생장(滴定生長) 조건(條件)을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1. 포장에서의 시비수준별 건물생장율은 무처리구 보다 퇴비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구근의 건물중은 무처리구와 질소처리구와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최대 엽광합성 속도는 퇴비구(S-1)에서 17.3mg CO2gdm-2s-1로 다른 질소 처리구 보다 높았으au, 무처리구의 엽광합성 속도가 가장 낮았다. 3. 광환경(光環境) 조건(條件)에 따른 퇴비구와 무처리구의 엽광합성 속도차이는 뚜렷하게 차이가 났으며 광포화점은 1200±50μmolm-2s-1이었다. 4. 광합성속도는 34±3℃ 정도에서 높은 반면 28℃ 정도 이하에서는 기공저항에 의하여 엽광합성 속도가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