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9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위벌과에 속하는 Coelioxys의미기록 2종 Coelioxys conoidea Illiger, 1806 와 Coelioxys formosicola Strand, 1913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 고한다. 본 종의 기재, 분포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4,000원
        6.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미기록속인 고수씨살이좀벌속(신칭) 및 미기록종인 고수씨살이좀벌(신칭)과 긴고수씨살이좀벌(신칭)을 처음으로 보 고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산 고수씨살이좀벌속(신칭)의 검색표와 두 미기록종의 재기재문 및 사진을 제공한다.
        4,000원
        7.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龍崗秦簡은 진(秦)의 사회와 법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출토 문헌으로 본고에서 는 제23간부터 제34간까지의 내용을 해독하고 주석을 붙였다. 이 12매의 죽간에는 금원(禁苑) 안에 들어온 짐승에 관한 규정, 불법적으로 얻은 재화에 관한 처리, 금원 및 금원을 둘러싼 공터(격리지대)에서의 사냥 및 어로(漁撈) 행위에 대한 허용 범위 와 금지 사항에 대한 기록이 담겨 있다. 본고는 龍崗秦簡 제23간부터 제34간에 대 한 기존의 연구 성과 및 적외선 카메라로 재촬영한 죽간 사진을 토대로 더욱 정확한 고석(考釋)을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敺’와 ‘驅’·‘每’와 ‘毒’·‘灋’와 ‘法’ 등의 한자에 대해 서 고대한자 자료에 보이는 관련 자형을 수집해 보다 상세하고 명확한 주석을 작성 하고자 하였다.
        5,800원
        8.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완도 신흥사 목조약사여래좌상의 복장 기록인 중수 원문(1865년)의 해석과 불 상 양식의 비교분석을 통해 불상의 제작 시기가 1628년임을 밝힌 것이다. 중수 원문의 기록 에 의하면, 완도 신흥사 목조약사여래좌상은 1628년에 조성되었고, 1802년ㆍ1845년ㆍ 1865년에 걸쳐 중수되었으며, 원 봉안처는 해남 대흥사 대광명전이었고, 1845년과 1865 년에 불상의 중수를 주도한 승려는 초의 의순이었음이 확인된다. 초의 의순은 19세기 전라 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화승 원담 내원(1845년)과 용완(원) 기연(1865년)과 함께 신 흥사 목조약사여래좌상을 개금ㆍ중수했다. 특히 초의 의순은 선교(禪敎)와 학예(學藝)에 뛰 어난 자질을 가졌으며 19세기의 대흥사 불사를 이끈 승려이다. 두 화승(내원과 기연)은 초의 의순이 주도한 대흥사 불화 제작에도 참여했다. 완도 신흥사 목조약사여래좌상이 1628년에 조성된 사실은 중수 원문의 기록과 17세기 전반에 조성된 불상들과의 양식 비교를 통해 파악했다. 초의 의순이 쓴 「대둔사신건광명전상 량문(大芚寺新建光明殿上樑文)」, 「대둔사비로전신건화연소(大芚寺毘盧殿新建化緣疏)」, 「불상개금모연문(佛像改金募緣文)」에 의하면 신흥사 목조약사여래좌상은 1628년에 조성 된 후 대흥사 대광명전 비로자나삼불상 가운데 좌존으로 봉안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흥 사 대광명전은 화재로 소실되어 1841년에 새로 건립되었다. 신흥사 목조약사여래좌상의 양식 특징은 조각승 태전이 조성한 대흥사 목조약사ㆍ아미타불상(1612년)을 계승했고, 현진이 1610년에서 1630년 사이에 제작한 불상과 친연성이 강 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응원ㆍ인균파 및 수연파 불상의 특징도 일부 반영되어 있다. 신흥사 목조약사여래좌상은 17세기 전반에 조성되어 19세기 대흥사 현창 운동 과정에서 새로 건립된 대광명전에 봉안되어 개금ㆍ중수된 불상으로, 교학과 학예면에서 뛰어난 자질을 가진 초의 의순이 불상의 개금ㆍ중수 불사를 주도한 사실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불교사 및 불교미술사를 연구하는데 자료의 가치가 매우 크다.
        8,400원
        9.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uangxi is located in the southwest, with multi-ethnic settlements and complex language components. Chinese is mainly spoken in Southwest Mandarin and Cantonese, while also including small dialects of Min, Xiang, and Hakka. The Zhuang language is the most widely used minority language. This language pattern is also widely reflected in various volumes of Guangxi local chronicles, where dialects and language contact can be seen in many places. The article selects five sets of famous objects and words from the volume of “Products” in Guangxi Old Gazetteer, and comprehensively uses methods such as character recognition, comparative analysis, and contextual interpretation to conduct research. The conclusion is helpful for reading local chronicles, studying Chinese history, and revising Chinese dictionaries.
        5,200원
        10.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Pemphigus populitransversus 미루나무면충(신칭)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의 형태학적 정보, 분포지역, 기주식물, 한국에 분포하는 Pemphigus 속 종들에 대한 분류키를 제공한다.
        4,000원
        1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Korean records of the genus Acerocnema Becker, 1894, with one new species, Acerocnema saurischia sp. nov., and one newly recorded species, A. flavifrons. A key to the Korean Scathophagidae is provided with morphological diagnosis and images of habitus and male genitalia structures. To assist in species identification,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gene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all specimens to conduct DNA barcoding.
        1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haphidophoridae (Orthoptera: Ensifera), commonly known as cave crickets, are a wingless family and considered the most ancient lineage within Tettigoniidea. However, previous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and morphological hypotheses have shown inconsistencies. Although their fossils have been found in Baltic amber, their systematic placement remains unrevealed. This study reconstructed a comprehensive phylogeny integrating both extant and fossil lineages. Initially, we revealed relationships within extant lineages through molecular phylogenetics including all extant subfamilies for the first time. Subsequently, using a cladistic approach based on morphology, we confirmed the systematic position of fossil taxa †Protroglophilinae with a report of a new species. Integrating molecular and morphological phylogeney by total evidence tip-dating, we present the comprehensive phylogeny of Rhaphidophoridae considering both extant and fossil groups.
        1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records of four coleophorids, namely Coleophora kamchatica (Anikin, 1999), C. lativittella Erschoff, 1877, C. levantis Baldizzone & Oku, 1988, and C. citrarga Meyrick, 1934, in Korea.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two species, C. montaniella Oku & Kusunoki, 2018, and C. artemisicolella Bruand, 1855, in Korea has been overlooked in the previous checklist of the family Coleophoridae in Korea, despite there being evidence of their existence. Consequently, with these additions, the total number of known species in Korea has been confirmed to be 42, expanding from the previously identified 36 species.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photographs of adults and genitalia for the four newly recorded species are provided, along with evidence supporting the presence of the two overlooked species in Korea.
        1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halcididae belong to a medium-sized family of parasitoids in the superfamily Chalcidoidea (Hymenoptera). Chalcidids can be recognized by the swollen hind femur, the indistinct prepectus, the sharp occipital carina bordering the gena posteriorly, and the strong punctation of the mesosoma. They have been recorded parasitizing six insect orders, and several species are facultative or obligate hyperparasitoids. More than 1,500 species in 90 genera have been recorded worldwide, of which 12 species in six genera have been recorded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taxonomic and faunal studies on Korean Chalcididae, we have found two newly recorded species, Haltichella nipponensis Habu and Dirhinus anthracia Walker, in Korea. These species were discovered using Malaise traps, Lindgren funnel traps, and observation with the naked eye in Jeonbuk, Gangwon province, and Sejong city in 2023. The genus Haltichella Spinola, 1811, is record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n this presentation, we provide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information on these species.
        19.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 분포하는 중기문응애류 중 파리응애과의 Holostaspella crenulata Krantz, 1967 (톱니무늬파리응애, 신칭) 와 화살응애 과의 Lasioseius floridensis Berlese, 1916 (가슴선화살응애, 신칭) 를 처음으로 확인하고, 각 종에 대한 분류학적 진단과 분포정보, 성충의 현미경사 진과 도판을 제시하였다.
        4,000원
        20.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청일전쟁기 『국민신문(国民新聞)』의 특파원으로 종군한 마 쓰바라 이와고로(松原岩五郎)의 『정진여록(征塵餘録)』(1896)에 대해 분 석하고 작품 속에 나타난 19세기 후반 조선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살 펴본다. 식민지 조선의 여행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여행의 기록 물들은 제국주의의 산물이자 식민주의의 프로파간다 전략으로 읽혀왔 다. 본 논문은 청일전쟁 종군기를 분석함에 있어 종군기자의 문학가로 서의 양심이나 개인의 신념에 따른 독자적인 인식이 담겨있을 것이라 는 점과 청일전쟁 시기 조선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대중화되지 않았던 까닭에 조선의 이질적인 문화를 접하는 데 가치중립적인 시선이 있었 을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하여 텍스트를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 마쓰바 라는 하층민의 생활상에 대한 개인적인 관심과 식민지 탐험에 대한 사 명감 등으로 조선과 조선인을 바라보는 시선에 있어서도 일종의 연민 의 인식이 있었다는 점과 그가 사실적인 내용을 기록하되 미개나 야만 성, 낙후성과 연관 지어 문화 지체의 척도로 삼지 않았고 우열이나 멸 시와 같은 시선을 배제하였다는 점에 대해 알 수 있었다.
        5,8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