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민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 가로수의 업무가 산림청으로 이관된 시점부터 20년이 지난 현재까지 지방자치단체 17개 광역시·도의 가로수 조성·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가로수업무 담당공무원의 의식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가로수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가로수의 정의 및 역사, 기능 및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가로수업무의 소관부처, 해당 법령 및 정책 등을 알아보았다. 또한 가로수 선정, 기능, 현황 및 분석, 생육환경, 유지관리 등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가로수 조성·관리 현황 및 실태 조사를 위하여 임업통계연보 및 가로수 조성·관리 사업 실적보고서 등 산림청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가로수 신규 조성 현황(수종별, 시·도별), 가로수 누적 조성 현황(수종별, 시·도별), 가로수 관리 현황(내역별, 시·도별) 가로수 민원 현황, 시·도별 가로수 사업비 현황, 산림청 소관 가로수 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가로수업무 담당공무원의 의식조사는「설문대상자의 신상 및 업무·조직 관련 사항」과「가로수 조성 및 관리 관련 사항」으로 구성하여, 지방자치단체 17개 광역시·도 가로수업무 담당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4,000원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구시 동구 가로수 식재환경 및 생육상태를 조사하여 가로현황을 파악하고 시민들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보다 합리적이며 지속가능한 가로수 계획이 수립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현장조사를 통해 식재형식, 생육상태, 관리상태, 가로수 관련 민 원 등 가로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가로수의 선호하는 특성, 불 만사항, 정책선정 주요 기준, 심의위원회 필요성 등 가로수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에 대해 알 아보았다. 그 결과 2019년 9월 기준 대구시 동구 전역의 가로수는 대구 전체의 약 14%를 차지하 는 약 3만 1천701그루의 가로수가 식재되었고, 동구 가로수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서는 긍정적 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특성으로는 ‘공해 및 병해에 강한 수종’ 을 선호하였고, 불만사항으로 는 ‘나무 열매로 인한 악취’ 를 선택하였다. 가로수 정책선정의 주요 기준으로는 ‘전문성’, ‘일관 성’, ‘객관성’, ‘주관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로수 관련 심의위원회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필요하다’ 고 응답하였다. 기존의 정책과 계획 수립과정에서 가로수 조성이라는 양적인 계획은 충분히 반영되고 있으나 이후 식재된 가로수에 대한 사후관리는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였다. 또 한, 심의위원회의 부재와 기존 정책에서는 지역주민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함을 알 수 있 어 이 또한 추후 개선의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 여 가로수 조성계획에서부터 관리계획에 이르기까지 지속가능하며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함 과 동시에 향후 종합적인 가로수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4,000원
        3.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2015, Baekje Historical Site was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erefore, the interest in Baekje heritage has increased rapidly, but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how to utilize it. In addition, research on street composition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increasing, a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stablish and utilize local identity.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Second, we used cameras to photograph the current status and color conditions. Third,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photographs were analyzed through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KSCA)’ program and ‘Easyrgb’ Internet program. For image analysis, we analyzed the I.R.I color sensitivity scale.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image and color characteristics and image of royal tombs in Gongju Baekje Historical Remains District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mbining the results of Gongsan Fortress and Songsalli Ancient Tomb. The N and YR sequences were the most frequent in the Baekje Historical Remains. Wangneung-ro were N, Y, Y, B and R sequences.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N and YR series were found, but the colors which were not seen in Baekje Historical Remains District such as B series and R serie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Baekje Historical Remains District overlapped the ‘noble' image adjective area, and the adjectives such as ‘traditional’ and ‘calm’ were typical, but the ‘modern' adjective region overlapped with the royal tomb, Adjectives appeared as adjectives such as ‘urban' and ‘progressiv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lor characteristics and images of Baekje Historical Remains were opposite. It is considered that differentiated utilization method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 city and the identity of the princess. Baekje Historical Remains District is a place rich in potential to grow as a burial heritage representative of Korea.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strateg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region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through the above research.
        4,000원
        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의 대상지는 강원도 동해시 부곡동 태평북로로 발한동주민센터에서 발한삼거리를 지나 구 버스터미널까지 입지하고 있는 가로구간이다. 계획의 기본 방향은 첫째, 구 도심지의 재정비로 거리활력을 창조하고 둘째,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설계되어야하고, 마지막으로 환경친화적이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가로환경의 디자인 기본방향을 통합디자인 컨셉으로 설정하였고 과도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보다는 보행의 안전성과 연속성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본 계획은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가로를 조성하고 보행자 환경을 개선하여 낙후된 구 도심권의 상권을 회복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촉진하며 경관개선을 통한 주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 이다.
        4,000원
        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로수 식재환경 및 생육 상태를 조사하여 가로환경 생육공간의 합리적인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목적으로 서울시 관악구 가로수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환경 등을 조사하여 개선방안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토양 비옥도는 상업 및 업무가로와 일반생활 및 생태네트워크가로의 측정 결과 치환성 양이온 중 Mg의유의확률이 0.05보다 작은 0.01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고 그 외 나머지 pH, 유기질, K, Ca, Mg, Na,양분 보존능, 염기 포화도는 구시가지와 도심에 따른 유의확률이 0.05보다 커 차이가 없어 일반적으로 가로유형에따라 비옥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토양경도는 상업 및 업무가로의 평균토양 경도지수는 보호판이 설치된지역이 21.5, 미설치된 지역은 35.5이었으며 일반생활 및 생태네트워크가로는 보호판의 설치지역이 24.5, 미설치지역은29.2로 나타났다. 또한 경도지수는 상업 및 업무가로와 일반생활 및 생태네트워크가로에 따른 유의확률이 0.05보다큰 0.741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어 가로유형에 따른 차별성이 보이지 않고 있다.
        4,000원
        6.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의 가로경관은 도시민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색채는 가로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색채분석을 통하여 가로경관의 시각적인 문제점을 발견하는 동시에 그 개선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가로경관의 성격과 특징에알맞은 쾌적하고 미적인 거리를 조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홍대 걷고 싶은 거리로, 가로의색채 환경을 조사 분석 한 결과, 가로는 명도와 채도가 일정치 않고 색상 또한 지나치게 다양하게 사용되어 혼란스러운느낌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바탕으로, 개선시 요구되는 형용사이미지인 ‘경쾌한’을 기준으로 제안색채가이드라인을 제작하여 홍대 걷고 싶은 거리에 조화로운 색채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는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4,000원
        8.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의 가로수 식재유형은 1열, 2열, 3열 식재유형, 가로수 - 중앙분리대 유형, 가로수 - 관목식재유형, 자전거도로 설치유형의 6가지로 분리되었다. 가로시설물 설치 현황은 대부분 가로수와 상충되어있고 가로수 보호시설물은 규격이 작아 가로수 생육에 부적합하였으며, 그 구조상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의 가로수 생장률은 최근에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요인에서 토양 pH는 알칼리성 토양이었고, 토양경도는 보호판이 설치되어 있는 식재지가 보호판이 설치되어있지 않은 식재지보다 낮았으며 보호판 설치지역의 토양경도는 가로수생장에 적당하였고, 보호판 미설치지역의 토양경도는 매우 높았다. 가로수 생육환경 요소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서울도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가로수의 활력이 좋아졌다. 생육환경개선을 위해서는 가로시설물의 설치방법개선, 생육환경개선에 적합한 보호시설물 설치, 지속적.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되었으며 가로수 식재수량 증대방안으로는 가로수 식재방법 개선과 가로수 보식이 제안되었다.
        4,000원
        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 주민의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에 대한 다양한 욕구와 지역의 특성화와 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조례제정 등으로 공공환경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수 공공시설물 디자인 인증제 시행 10년째를 맞이하여 각 지자체별 공공시설물 디자인 인증제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공공시설물 디자인 인증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3년간 3개 지자체의 인증 결과를 중심으로 인증현황과, 디자인 경향을 분석하고 문제점 파악과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실무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3개 지방자치단체들 의 공공 가로시설물 디자인 인증제도 실태 분석을 통하여 개선 방안으로 공공 시설물 인증을 전담하는 기구 설치 운영과, 정성적 평가를 최소화하고 정량적 평가로 디자인과 품질을 갖추도록 전환 하고,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지역 특성화를 이루도록 조례와 가이드라인 등을 정비해야할 필요성과, 독립적 공공 디자인 전담부서 운영의 개선 방안을 제시 하였다.
        1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farming area,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year after year. And the gap between farming area and the city regarding quality of life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Besides, it has much poorer ground for living than the city. The current farming village maintenance project is adopting a different system now from the top-down project exclusively led by the government in the past to the bottom-up one reflecting how the residents think positively. Lack of the residents' understanding and education about the maintenance project, however, some of them are just focused on maintenance and development distorted from making a village where people want to live. Accordingly,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arming villages by their types based on field research and spatial analysis using Space Syntax in order to develop more premeditated and effective maintenance plans to perform maintenance in farming area. As a result, When you install streetlights street lights should be installed at places with a high of Connectivity and spatial depth is deep. Based on this method, the research is going to suggest the current status of street furniture improvement in the villages and the proper positions for their future installation.
        11.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s throughout public design improvement project on the urban street space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hermo-Render 3.0, 3D-CAD based thermal environment simulation program, had been used for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 evaluations.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clayey blocks which have low heat transfer rate and cool island effect by trees and roof gardens brought cooling effects for buildings and surface of streets. Seconds, MRT values showed low levels because of low radiant mulching materials. Thirds, roof gardens contributed to reduce heat island effect since HIP levels were affected by decreasing heat storage effect of buildings from roof gardens. As a result, reducing heat storage effect throughout selecting and arranging proper materials which would not increase heat island potentials should be performed to improve heat island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