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a control algorithm was developed to suppress the free vibration amplitude of a cantilever beam with time-varying dynamic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since it is assumed that the natural frequency and mode shape of the vibrating structure are not fixed, the system model of the vibrating structure was not used in the control algorithm. A single electromagnet was chosen as the actuator, so the attractive force was applied to only one fixed location in the structure. Through experiments, the proposed control algorithm is proven to effectively suppress the amplitude of vibration even whe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ntilever beam change. Contrary to the usual active vibration control method, the proposed algorithm is just simple and intuitive without complicated mathematics in the modeling and control process. However, the proposed control method is very effective to suppress the vibration even whe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tructure is not exactly known, as is often the case in industries or laboratories.
국립수목원 전시원의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하 여 유기물 멀칭재 처리에 대한 잡초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표적 잡초인 쑥군락과 바랭이군락을 대상으로 고정방형구 (1×1㎡)를 3반복 설치하였다. 처리구의 유기물 멀칭재는 5가지 재료로 활엽수 우드칩, 침엽수 바크, 갈참나무 낙엽, 메타세쿼이 아 낙엽, 칠엽수 과피를 사용하였다. 멀칭재 중에서 갈참나무 낙엽, 활엽수 우드칩, 칠엽수 과피가 비교적 잡초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참나무 낙엽은 지중 온도를 낮게 유지 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았기 때문에 토양의 보습 효과가 뛰 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멀칭재 처리는 일년생식물의 발 생은 억제하고, 지중식물 및 반지중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었다. 멀칭재의 무게보다 재료에 의한 빛 차단 면적이 잡초를 억제하는 주된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립수목원 전시원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관리 방안 수립 에 활용될 것이며, 향후 잡초의 발생 시기에 따른 멀칭 시기 및 유기물 멀칭재의 유지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defines structural and dynamic analysis of a crane used for electric passenger vehicle fire scenarios. The crane model used in the study has a working radius of 9 meters, and under extreme conditions measured with real-world usage in mind, the load at the boom tip is 24.5kN. The boom is assumed to be made of ATOS80, and the pads are assumed to be made of Monomer Casting Nylon.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rane's materials and configuration, and dynamic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grab method into gripper and hinge types. In the structural analysis, the maximum stress increased as the telescopic boom faced upwards. In the dynamic analysis, the gripper type facing downward showed more stable stress. For the model with an added badge, the structural analysis showed an increase in maximum stress, but the value was negligible, and the maximum stress of the telescopic boom decreased in the dynamic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uitable materials for the crane are ATOS80 for the lower articulated boom and the telescopic boom, and DOMEX1300 for the upper articulated boom. The gripper type grab method is more stable than the hinge type.
쌍별귀뚜라미는 국내에서 식용 및 파충류의 먹이로 사용되는 중요한 산업곤충으로 알려져있다. 2023년 국내 쌍별귀뚜라미 농가에서 쌍별귀뚜라미 덴소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바이러스 억제제가 요구되는 실정 이다. RNA 간섭(RNAi)은 dsRNA를 이용해 목적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작용기작을 가지며, 바이러스 특이적 시퀀스를 이용한다면 효과적으로 타겟 바이러스의 증식을 저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덴소바이러스 에 감염된 귀뚜라미에 덴소바이러스 특이적 dsRNA를 제작하여 주입(injection)하고, 바이러스 발현 저해 효과를 관찰했다. 바이러스 감염 수준은 qPCR로 평가하였으며 dsRNA를 접종한 결과 체내 바이러스양이 감소함을 확인 했다. 이 연구는 향후 RNAi를 이용한 쌍별귀뚜라미 덴소바이러스 억제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zinc metal and iron in contact with water prevents oxidation of iron until all zinc is dissolved, which is called a zinc sacrificial anode phenomenon. In the case of water pipes, zinc is often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but examples of mounting zinc inside the pipe to prevent iron corrosion are not well known. Zinc devices sold for water pipes vary in the amount of zinc installed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pipe and the conditions of use, but the life of the product is generally expected to be 10-20 years until all zinc dissolves and disappears. Zinc ions dissolved from zinc to water in the pipe react with the calcium carbonate scale generated inside the pipe to consume zinc ion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needle-shaped aragonite was converted into highly crystalline calcium after observing the scale crystal through an electron microscope.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calcium ions of scale are replaced by zinc ions, gradually losing crystallinity, being deintercalated into the pipe, and oxygen in the water is consumed during the dissolution of zinc ions from zinc metals, turning red rust hematite (Fe2O3) into magnetite (Fe3O4). In addition, zinc ions were expected to move hundreds to thousands of meters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pipe in the new pipe,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vel distance was shortened in the case of pipes with many corrosion products.
Forest fires in Korea usually start in the fall and occur every year until spring. Most wildfires are human resources that combin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arelessness, and failure to respond in the initial stage and lack of cleanup are spreading to large-scale wildfires. In order to prevent these wildfires, active cooperation from the public is essential. As can be seen from recent wildfires, the attention of the public is needed above all else because large-scale wildfires in Korea are occurring due to the people's negligence. If a wildfire spreads and becomes large, it causes damage to life and property, and the damage is irreversible. In this study, various methods were used to prevent forest fires and improve initial suppression ability. In order to minimize damage, the model analyzed by the 119 Special Rescue Team in Gangwon, Chungcheong and nearby forest fires was analyzed on the combustion progress and wind direction by time period. The propagation speed by the wind direction was simulated. Until now, most of the wildfires have been extinguished by firefighting, but I hope that the Forest Service will take the lead and maintain coordin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In general, fire accidents in tunnels are sufficiently preventable, but the damage is very large. Therefore, the number of highway traffic accidents is high in spring when spring fatigue occurs and the traffic volume for maple travel increases. In particular, when analyzing the cause of death of people killed in fire accidents in tunnels, it is analyzed that most of them are suffocated by smoke. Therefore, i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to make a social contribution to reduce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deaths by establishing an efficient fire suppression system for fire accidents in tunnels.
Recently, in Korea, if a very large forest fire occurs due to the people’s carelessness, it is of great interest because it spreads into a large forest fire. If a wildfire spreads and becomes large, it will inflict great damage (appointment and property), and the damage is irreversible. The best way to extinguish a wildfire is to prevent it before it occurs. If a forest fire occurs due to a failure in prevention, the early firefighting activities to prevent the progress of the forest fire by promptly dispatching it by reporting it and approaching the site as soon as possible should now be managed with a systematic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do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eventive system, such as issuing warnings for each weather condition by the Korea Forest Service, consisting of cooperation (support) activities for forest fire prevention by related organizations, etc.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precious lives and forests, measures have been taken to establish a system, to establish a prompt and accurate situation reporting system, and to establish an integrated command system (ICS) for on-site commanders.
Although personality and culture have been employed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emotion regulation, less is known about the interplay between them. Thus, the present study tests their interaction by focusing on the match between personality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culture (valuing independence vs. interdependence) in modulating a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namely, emotion suppression, on Facebook. Furthermore, relationship concern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n Facebook is explored as a potential underlying mechanism. An online survey on Facebook users in the United States (n = 320) and South Korea (n = 336) was conducted through two professional survey compan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emotion suppression was stronger among respondents who value interdependence (vs. independence), which led to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two predictors. Furthermore,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associated with emotion suppression through relationship concern for the expression of positive, but not negative, emotions. Furthermore, this mediated relationship was stronger among respondents who value interdependence (vs. independence). Lastly, the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exploring the interplay between personality and culture and the implication of dialectic emotions.
본 연구는 종방향과 횡방향에서 규칙파가 외란으로 입사하는 선박의 종동요 및 횡동요를 억제하는 문제를 다룬다.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해서 파랑 중 선박의 종동요 및 횡동요를 안정화시키는 것은 필수적인 과제로 여겨진다. 종동요 및 횡동요 거동에서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는 공진인데, 이 현상은 특정한 조건에서 예상치 못한 큰 응답을 초래한다. 종동요와 횡동요는 두 운동이 상호 결합되어 있고 복원항이 강한 비선형을 갖고 있음으로 계의 파라미터에 따라 다양한 동적 거동을 보이는 것이 중요한 특징인데, 특히 종동요에서 이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무엇보다, 선박의 조종성능 및 안전을 위해 선박의 종동요 가속도 응답을 완전히 억제하는 것은 상당히 도전적인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준 슬라이딩 모드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종동요와 횡동요를 줄임으로 파랑 중의 선박을 안정적인 직립 상태로 유지시키고, 아울러 채터링을 감소시키는 목적을 달성하였다. 리아프노프 이론으로 준 슬라이딩 모드 제어의 안정성을 판명하였고, 수치 시뮬레이션으로 제어 방식의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제시한 기법으로 종동요 및 횡동요 응답의 수렴 및 채터링 감소라는 두 가지 목표가 효과적으로 달성되었다.
본 연구는 생각/생각회피 과제를 이용하여 의도적 생각회피, 즉 생각억제와 생각대체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관성이 높지 않은 2음절 단어자극을 선정하고,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회상조건(단서회상, 표적회상)과 훈련조건(생각, 생각억제, 생각대체, 기저선)의 정확회상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훈련조건과 관계없이 표적 회상에 비해 단서회상의 정확기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상조건과 관계없이 다른 조건에 비해 생각조건의 정확회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상조건과 훈련조건의 상호작용 효과의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세부적 검증 결과. 생각억제의 경우, 회상조건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생각대체의 경우에는 표적회상에 비해 단서회상의 정확기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각억제와 생각대체전략이 모두 의도적으로 생각을 회피 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과 더불어 생각억제와 생각대체전략이 서로 다른 원리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토마토 공정묘 생산 시 생장 억제를 위한 적정 brushing 소재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마토 종자를 상업적 공정육묘용 상토가 충진된 40구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였으며, 파종 후 18일째부터 brushing 자극을 처리하였다. Brushing 소재는 연질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직조필름 소재를 이용하여 brushing 처리를 하였으며, 대조구로 무처리구와 diniconazole을 엽면살포 처리하였다. 연질 아크릴 처리에서 초장이 유의적으로 가장 짧았고, 경경은 가장 두꺼웠다. 잎의 크기는 diniconazole 처리에서 가장 낮았으나, SPAD값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질 아크릴 처리에서 T/R율이 가장 낮고, 왜화율과 충실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brushing 자극 처리를 위해 연질 아크릴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diniconazole 처리 보다 왜화율이 높아 도장 억제에 유리하며 묘 소질이 우수한 묘를 생산하는데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hort review focuses on fouling by proteins and macromolecules in microfiltration/ultrafiltration. First, an experimental system that enables investigation of how the extent of the adsorption of proteins and macromolecules on membrane surfaces contributes to a decrease in filtrate flux in microfiltration/ultrafiltration is described. Using this system, a causal relationship - not a correlation - indicating that adsorption results in a decrease in filtrate flux could be clearly demonstrated in some cases. Second, a hydration structure at the membrane surface that can suppress adsorption is discussed, inspired by biomaterial research. In their hydrated states, polymers with low-fouling properties have water molecules with a particular structure. Finally, some successful examples of the development of low-fouling membranes via surface modification using low-fouling polymer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서조절 설문지와 정서조절 과제를 사용하여, 정서조절 전략인 재해석과 억제에 대한 경향성과 사용이 일치하는지 탐구하였다. 또한, 성격특성,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정서조절의 효과성과 관련이 있는 개인 내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60명의 여자 대학생으로, 연구 1에서는 40명을 집단 간 설계로 재해석과 억제 집단에 각각 20명씩 무작위로 할당하였고, 연구 2에서는 실험 1에 참가하지 않은 여자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집단 내 설계로 재해석과 억제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조절 과제를 통한 재해석 전략과 억제 전략의 사용은 부정적인 정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제를 통해 측정된 정서조절의 사용과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해 측정된 정서조절 경향성은 일치하지 않았다. 셋째, 억제 전략의 사용은 성격 특성의 외향성과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사용하는 전략과 정서조절 전략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억제에 비해 재해석이 기능적이라고 주장하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본 연구는 시설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의 생육과 런너 생산을 위한 옥신계 식물 생장조절제인, IBA의 처리방법 및 농도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묘는 2019년 4월 12일에 코이어 배지가 충진된 화분(150×135×90mm)에 정식 하였다. IBA는 0, 50, 100, 150, 200mg·L-1농도로 각각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로 식물체당 50mL씩 처리하였다. IBA 처리는 2019년 4월 29일에 시작하였다. IBA의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는 처리 시작일로부터 2주 간격으로 9주간 처리하였다. 처리 9주 후, 모주의 엽병장은 대조구에서 가장 짧았다. 자묘의 수는 엽면살포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측아의 수는 IBA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엽면살포 100mg·L-1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1차 묘와 2차 묘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3차 묘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은 배지관주 100mg·L-1처리에서 가장 무거웠다. 그러므로, 3차 묘의 생육과 측아 발생 억제를 고려하였을 때, 배지관주 100mg·L-1처리가 IBA를 딸기에 처리함에 있어, 3차 묘의 생육과 자묘 생산에 적절한 처리방법 및 농도인 것으로 보이며 위 결과는 딸기 육묘기에 노동력 절감 및 묘소질 향상을 위한 식물생장조절제 활용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