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식물상 정보를 이용한 지역환경을 평가하는 주요 수단이며, 종의 선정과 평가는 식물구계 정보에 의거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식물구계에 대해 학술적 진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식물구계 관련 핵심문헌 7편을 검토하였으며, 식물구계 적용 근거를 비교 검증하였다. 1919년의 Nakai 울릉도 식물상 조사보고서는 식물구계에 관련한 일반적인 지리구분(지방)을 처음으로 기재했다. Oh는 1977년에 한국의 유관속식물에 대한 식물지리구계도를 처음으로 제시하였 다. 1978년에는 Lee & Yim이 중부와 남부를 가르는 구계도를 제시했고, 그 밖에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식물구계 경계는 조정되고 개정되었다. 마침내 2018년에는 Lee & Yim (1978)에서 변형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식물구계도가 채택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식물구계들은 연구자 간에 차이가 있었고, 구계 지표 식물의 불일치성도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그런 상이성에 대한 근거는 찾을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도식화된 모든 식물구계도는 선험적으로 그은 임의 선에 의존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이 환경영향평가 및 국가 식물상 평가를 위한 과학적 수단으로서 그 실효성과 실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생태학적 전략을 제안했다 : 종분포 고유성(nativeness)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식물상 및 식물구계의 성취와 서식처 기반(habitat-based) 식물상 장기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4,0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arget fish species as baseline research for accumulation analysis of major hazardous chemicals entering the aquatic ecosystem in Korea and to analyze the impact on fish community. The test bed was selected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which could directly confirm the impact of the inflow of harmful chemicals, and the Geum River estuary where harmful chemicals introduced into the water system were concentrated. A multivariable metric model was developed to select target candidate fish species for hazardous chemical analysis. Details consisted of seven metrics: (1) commercially useful metric, (2) top-carnivorous species metric, (3) pollution fish indicator metric, (4) tolerance fish metric, (5) common abundant metric, (6) sampling availability (collectability) metric, and (7) widely distributed fish metric. Based on seven metric models for candidate fish species, eight species were selected as target candidates. The co-occurring dominant fish with target candidates was tolerant (50%), indicating that the highest abundance of tolerant species could be used as a water pollution indicator. A multi-metric fish-based model analysis for aquatic ecosystem health evaluation showed that the ecosystem health was diagnosed as “bad conditions”.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variables also influenced fish feeding and tolerance guild in the testbed. Eight water quality parameters appeared high at the T1 site, indicating a large impact of discharging water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T2 site showed massive algal bloom, with chlorophyll concentration about 15 times higher compared to the reference site.
        5,100원
        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양도성은 한국의 전통 풍수 개념에 입각하여 주변 지형 과 지세를 이용하여 축조되었다. 또한 600년이 넘는 오랜 세월 동안 도시 안의 자연경관과 한국 전통 정신이 보존된 인류 문화유산이다. 본 연구는 한양도성 주변 지역에 대한 역사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한양도성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한양도성 주변의 보전대상 수목을 선정하고 이를 보호,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한양도성에 심겨진 전통 수종을 문헌을 통해 조사한 후, 현장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보전대상 수 종 선정은 서울시 한양도성 수목보호관리지침에서 보존림, 상징수, 경관수로 구분한 것을 참고하여 문헌조사를 통한 수종 목록과 현장조사를 통한 수종 목록을 비교하였다. 보 전대상 수종의 보호관리방안은 한양도성 수목보호관리지 침을 참고하여 현장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수목 보전을 위한 보전구역 설정과 수목 보전을 위한 관리 지침을 수립하였 다. 관리 대상 수목은 한양도성 수목보호관리지침에서 도성 에 피해를 주는 수목, 조망경관 개선을 위한 관리 수목, 도성 주변 외래수종 및 귀화식물, 환경부 지정 생태계 교란 식물 목록을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문헌은 한양도성이 축조되기 시작한 1395 년부터 최근 2015년까지의 연구와 전통 조경공간의 수종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였고, 한양도성 주변 지역에 기록된 수 종을 살펴보았다. 현장조사는 2015년 4월 중에 이루어졌다. 현장조사 조사대상은 한양도성 전체 약 18km로 6개(백악, 인왕, 숭례문, 남산, 흥인지문, 낙산)의 지역으로 나누어 성 곽 잔존구역 5m 내외를 주요 식생조사의 범위로 삼았다. 연구 결과 문헌에서 조사한 한양도성 수목은 국립문화재 연구소의 보고서(2013)를 참고하여 총 78종을 목록화하였 다. 한양도성 주변에 관한 문헌에 기록된 수종은 7과 9속 11종으로 이중 소나무, 잣나무, 복사나무 등은 관상을 위해 심겨졌고, 뽕나무와 사과나무 등은 경제적인 목적으로 심겨 졌다고 구분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한양도성 주변 수종 식 물상은 50과 84속 91종 10변종 4품종으로 총 10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분류된 수종은 나자식물(11.4%), 피자식물 (88.5%)로 이중 장미과 15종(14.2%), 소나무과 7종(6.6%), 콩과, 노박덩굴과, 물푸레나무과 5종(4.7%) 순으로 조사되 었다. 문헌조사와 현장조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문헌에서 발굴된 종 중 현장에서 출현하지 않은 종은 총 31과 69속 77종으로 나타났다. 문헌 비교 결과 현장조사에서만 출현한 종은 44과 72속 81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헌조사 결과 와 현장조사 결과를 종합한 한양도성 보전대상 수종은 뽕나 무와 소나무를 포함한 총 19과 20속 25종으로 선정하였다. 구간별 보전대상 수종은 백악지역의 역사적인 상징물로 서 1․21사태 소나무를 상징수로 선정하였다. 또한 군사시설 내부의 소나무림은 한양도성의 상징수뿐만 아니라 경관수 로서도 가치가 있어 소나무 군락 전체를 보존림으로 지정하 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인왕지역 중 사직터널 인접한 부근 에 심어진 뽕나무는 한양도성 밖에 거주하는 백성들의 생활 사를 엿볼 수 있으므로 상징수로서 가치가 있다. 숭례문 지 역은 도심 발달로 내사산과 접해 있는 다른 지역에 비해 성곽이 많이 소실되어 경관수나 상징수로 선정할 만한 수목 이 존재하지 않았다. 남산 지역은 내사산의 상징 수종인 소 나무와 참나무류의 비율이 높아 특히 남산 팔각정 근처 성 곽 주변의 느티나무가 경관수로 자리할 수 있다. 흥인지문 지역은 광희문 주변으로 소나무림이 경관수로 식재되어 있 다. 낙산 지역은 높은 구릉지를 따라 성곽이 이어져 성곽 안쪽 이화마을, 장수마을의 상징수로서 뽕나무가 있다. 보전 및 관리대상 수종의 관리 방안으로 첫째, 한양 도성 의 내부 5m, 외부 5m를 수목 보호구역으로 설정해야 한다. 둘째, 한양도성 주변 수목 보전 관리를 위하여 도성의 훼손 을 막기 위해 보전을 필요로 하는 수종은 목본류와 덩굴식물류로 나누어 관리해야 한다. 셋째, 한양도성 주변 관리대 상 수종의 관리방안은 한양도성이 전통 문화유산이므로 도 성과 인접한 5m이내 식재된 외래식물의 관리가 중요하다. 가이즈까향나무, 스트로브잣나무, 중국굴피나무, 칠엽수, ‘쇼조노무라’단풍나무, 일본잎갈나무 등 외래종은 이식이 필요하다.
        6.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der field conditions, we investigated how transgenic Bt cabbage expressing the insecticidal Cry1Ac1 protein affects two target Lepidoptera species — Plutella xylostella (Plutellidae) and Pieris rapae (Pieridae) — as well as the structure of the local non-target arthropod community. When exposed to Bt cabbage line C30, Plutella xylostella and Pieris rapae were significantly less abundant than when in the presence of the non-transgenic control. Multivariate analyses (PerMANOVA and NMDS) showed that composition of the non-target arthropod community was affected by sampling date but not by cabbage geno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nsgenic cabbage expressing Cry1Ac1 protein can be effective in controlling Plutella xylostella and Pieris rapae in the field and that cultivation of this cabbage may not adversely affect such non-target arthropod communities.
        7.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lecting surrogated species is the first step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M crop on non-target arthropods. To select surrogated species considering the domestic environment, we surveyed the arthropod fauna in five main localities (Changnyeong-gun in Gyeongsangnam-do, Goesan-gun in Chungcheongbuk-do, Gokseong-gun in Jeollanam-do, Hongcheon-gun in Gangwon-do and Hwaseong-si in Gyeonggi-do) in which maize was cultivated with large scale. Maize is one of the main imported GM crop in Korea. Arthropods were surveyed with yellow sticky traps and pitfall traps from May to August with a week interval considering the crop growing season in 2012 and 2013. A total of 135 species of 51 families in 13 orders were identified from the 17,470 arthropods. Six orders (Coleoptera, Araneae, Hemiptera, Diptera, Hymenoptera and Lepidoptera) were dominant in species richness and three orders (Collembola, Thysanoptera and Diptera) in abundance, representing 84% and 86% of the total, respectively. In the composition of fuctional guilds, herbivore group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predator group occupying 40% and 37% of the total abundance.
        8.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onducted experiments to compare the catch rate of bigeye tuna and yellowfin tuna between circle hooks and straight shank hook in the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at the ea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from 2005 to 2007. We analyzed difference of fork length, survival and hooking location between a circle hook and a straight shank hook for both tunas,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fork length size of yellowfin tuna caught on the two type of hook but bigeye tuna was significant. In case of survival,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hook type, but the difference of hooking location was significant for both species. We also analyzed to find determinants of both tunas catch rate using generalized linear models (GLMs) which were used latitude, longitude, year, month, depth, hook type, bait type and so on as independent variables. Spatial factors, latitude and longitude, and temporal factors, year and month, affected catch rate of bigeye tuna and yellowfin tuna. And also, depth such as a marine environment factor was influenced on catch rate.
        4,300원
        9.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direct target strength (TS) estimation method which uses the Kirchhoff ray mode model (KRM model) was discussed to apply for a biomass estimation in the water of mixed species. TS of 25 live scorpion fishes for 120kHz were measured by a tethered method and of others dominant 5 species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Jeju coastal water including a scorpion fish were also estimated by KRM model. The measurement TS of scorpion fish well agreed with the theoretical values and the standard formula of scorpion fish was estimated as TS120kHz=20Log (L)-72.9 (r2=0.67). TScm values estimated on trial to each sample of dominant 5 species were from -69.3dB to -75.1dB at 120kHz and they were in the general range of swimbladdered fish. It was clarified that TS by KRM model can be used to estimate fish biomass estimation by increasing a sample number and is more effectiv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 rare TS information for inhabiting species in mixed-species area.
        4,000원
        10.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ircle hook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catch rates of target and bycatch species between J hook and circle hooks in the tuna longline fishery of the eastern Pacific Ocean between 1˚48'S-7˚00'S and 142˚00'-149˚13'W from July 15 to August 12, 2005. In the target species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types hook, between size 4.0 traditional tuna hooks(J-4) and size 15 circle hooks(C15), and between C15 and size 18 circle hooks(C18) were revealed,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J-4 and C18. In the bycatch species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3 types hook, between J 4 and C15, and between J-4 and C18,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between C15 and C18. Large circle hook(C18) had the lowest catch rate for tunas and for other fishes, and the small circle hook(C15) had lowest rate for billfishes and sharks. The length distributions for bigeye tuna are very similar for the 3 hook types. There were very slight differences in length size between hook types in the bycatch species.
        4,000원
        11.
        200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oustic target strength (TS) of 12 commercially important fish species caught in the Korean waters had been investigated and their results were presented. Laboratory measurements of target strength on 12 dominant fish species were carried out at a frequencies of 75 kHz by single beam method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 of the water tank with the 241 samples of dead and live fishes. The target strength pattern on individual fish of each species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tilt angle, ranging from -45˚ (head down aspect) to 45˚ (head up aspect) in 0.2˚ intervals, and the averaged target strength was estimated by assuming the tilt angle distribution as N (-5.0˚, 15.0˚). The 75 to fish length relationship for each species was independently derived by a least - squares fitting procedure. Also,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all species was performed to reduce the data to a set of empirical equations showing the variation of target strength to fish length and fish species. An empirical model for fish target strength(TS, dB) averaged over the dorsal aspect of 158 fishes of 7 species and which spans the fish length(L, m) to wavelength(λ, m) ratio between 6.2 and 21.3 was derived: TS: 27.03 Log(L)-7.7Log(λ)-17.21, (r2=0.59).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