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괴팅겐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 한학과 학생들은 첫 해에 번체자를 배우고, 다음 학년 학기에는 번체자를 계속 쓰거나 간체자로 전환하는 것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간체자를 선택한 학생은 이 때 쓰기에서 번체를 간체자로 전환하는 것을 학습하였는데, 이 때 이들만의 독특한 한자 오류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에 배운 번체자의 영향을 받아 여행을 뜻하는 간체자 旅游를 번체자인 旅遊로 쓰거나, 亲眼을 親見眼 으로 쓰는 것과 같은 예이다. 필자는 이 전환 시기에 출현한 한자 쓰기 오류가 외국 국적의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와 상이함을 발견하였고, 이것이 필자의 연구 동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어를 학습한 독일 국적 학습자들이 번체자에서 간체자로 한자 사용이 전환되는 시기에 발생하는 다양한 한자 오류 현상을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은 독일 괴팅겐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의 한학과 학생이었으며, 연구 자료는 대상 학습자가 매주 한 편씩 지은 글 총 42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러한 과도기에 생긴 한자 오류 현상은 무엇?'이며, '먼저 번체자 학습을 완료한 학습자가 다시 간체자를 학습할 경우, 건의할 학습 방법이 어떤 것이 있는가?'이다. 연구 절차는 대상 학생이 간체자를 이용하여 한 달 내에 쓴 글을 수집하고 쓰기에서 나타난 한자 오류들을 분석하여 귀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교학 건의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자 오류 유형은 필기오류, 부건 오류, 同音字와 音近字의 잘못된 대체 오류, 번체자의 잘못된 대체 오류, 그 외 다양한 종류의 기타 오류들이다.
The debate and struggle on traditional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cannot be ignored in the context of Chinese international education. Standing on which Chinese Character teaching position should be considered on the features of this two characters systems and learner’s personal experience. Different positions will have different effects on Chinese teaching difficulties, the difficulty of Chinese teaching is the Chinese character, on this premise, the effects of traditional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 to Chinese learning cannot be ignored especially. Based on the analysis of 3000 traditional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we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significantly decrease of simplified characters’ strokes is far priors the negative effects on characters’ motivation. Furthermore, we suggest that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chosen at the primary stage of TCSL globally.
Since China announced the “Chinese Character Simplification Scheme” in 1956, two sides of the straits have had different usage of Chinese characters, which is Traditional or Simplified. This situation has been there for 60 years and we have noticed that, although simplified characters make it easy to remember and write, some original concepts of the characters, such as Chinese culture or how the character was created, have been lost. As Chinese characters consist of “format”, “sound”, and “meaning”, which are close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simplified Chinese have made it inconsistent with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as they have become simple lines and symbols. When people are learning Chinese, they are not able to underst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 and the meaning or the rich Chinese culture carried by the character. The research motive is from the trend in the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ir concepts of the usage of traditional and simplified characters. The research will further explain how the format and the meaning of ancient Chinese characters were closely connected.
최근 몇 년 사이에 점점 더 많은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이 홍콩의 대학으로 진학을 하고 있다.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은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학습에서의 어려움, 특히 번체자의 인식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문은 홍콩 뱁피스트 대학(香港浸會大學)의 다른 소속 단과대학의 1학년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또 3년제와 4년제 등으로 구분하였다.그들은 보통화 수업을 수강하고 있으나 수업의 강의는 번체자로 구성되었고 시험 또한 가능한 많은 번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은 그들의 답안지를 검토하고, 학생들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성적을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국 본토 학생들의 번체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그 학습 능력, 교육과정, 교재, 교육방법 등의 일련의 교육 구상에 관련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하였다.실험 결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간체와 번체의 유형별 원칙, 신구 자형, 이체자, 하나의 간체자에 다수의 번체자 대응 관계 현상과 규칙을 이해하였고,『簡化字總表第一表』·『第二表』와『第三表』의 간화 귀납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간화자 총표를 이용하여 대응 번체자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수업 후의 실험을 통해 그들의 성적이 수업 전에 비해 월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자가 수업 중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수업 과정 속의 수업 내용을 변화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홍콩, 대만 등지에서 출판한 많은 번체자 서적을 더 많이 보았고, 간화자의 문장을 번체자로 바꾸어 써 봄으로써 어감을 높이기도 하고, “繁簡通”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간화자를 번체자로 변환하기도 함으로써 번체자의 학습과 쓰기의 여러움을 극복하였다. 이러한 교육활동은 중국 본토 학생들로 하여금 빠른 시간 안에 번체자를 학습하게 하여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홍콩 사회에 융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사실에서 그 가치를 지닌다.
The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and the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are one of special writings in the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both of two characters owe the meaning and value in Chinese history. The essay criticize 13 points of characters principles between the traditional and the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we discover that there have several writings lost function of the original phonetic component or pictograph in this vertical line relationship, and it make burden easily to people who learn and realize the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nowadays. Therefore, the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have important condition that cannot be displaced and the work of revolu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future need to consider the special relation betweentwo characters.
The lexical decision (LD) task requires participants to response with speeded and accurate actions, which makes the process of identifying a word automatic without labor and therefore probably reflects the similar word identification process in natural reading. With manipulating the presentation duration of target words, the LD task allows the early visual orthographic processing to be involved. In the current study, we recruited the lexical decision (LD) task to probe the possible pattern difference in perceiving Chinese characters by the young adult skilled Hong Kong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HKC) readers and the Mainland China simplified Chinese character (MLC) readers. The first part of stimuli consisted of 20 real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and 20 real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which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ir stroke numbers and covered both the left‐right (LF) and top‐bottom (TB) structure. The second part of stimuli were pseudo characters, constructed based on the 40 real Chinese characters by rearranging the left and right parts or the top and bottom parts of them. These stimuli were presented on the computer screen with manipulating its presentation duration and adding a mask behind each target stimulus. Results revealed an intriguing trend in the correct RTs (reaction times) for both real characters and pseudo characters that the MLC simplified character readers’ RTs tended to be longer with the increase of stroke numbers in characters, while the HKC traditional character readers showed an opposite pattern, that is, their RTs tending to be shorter with the increase of stroke numbers in characters. These results firstly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strokes probably plays opposite roles in the MLC and HKC participants’ perception of characters. The results further implied that the MLC and HKC participants probably use stroke numbers, even component numbers (constructed by strokes) or some other information which reflects the structure and visual spatial features of characters in different ways in their perception or recognition of charac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