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2.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감염병 매개 모기인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s.l.), 빨간집모기(Culex pipens), 작은빨간집 모기(Cx. tritaeniorhynchus)를 대상으로 살충제 deltamethrin, etofenprox, bifenthrin를 석유, 등유, 그리고 물로 희석하여 휴대용 가열연막과 차량용 가열연막의 방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야외에서 일정한 거리에 암컷모기가 들어있는 노출장을 매단 스탠드를 세우고 실시하였다. 세 종류의 살충제를 각각 경유에 희석하여 살포한 휴대용 가열연막은 10 m 이내의 모기에 대해 평균 52.0%의 치사율을 보였고, 살충제를 물로 희석하여 사용한 휴대용 가열연막의 모기 치사율은 평균 64.0%였다. 살충제를 경유로 희석한 차량용 가열연막은 모기에 대해 살포 거리 50 m 이 내에서 평균 34.8%의 치사율을 보였다. 가열연막용 살충제의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유와 등유의 모기 치사효과는 등유가 경유에 비해 1.9배 높게 나타났다.
        4,000원
        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산업분야에서는 극심한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전기추진선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선내 전력품질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 DFE 정류기의 입력전류 고조파 함유량을 완화시키기 위해 수동형필터, 노치필터, 능동형필터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이 등장하였다. 그 중에서도 능동필터의 일종인 AFE(Active Front End) 정류장치가 우수한 기술로써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벡터변조에 의한 AFE정류장치의 전류제어방식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히스테리시스 방식, 삼각파 변조 방식 및 공간벡터변조방식을 PSIM을 사용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 공간벡터변조방식이 구조가 간단하고 성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world become closer and many people travel around the world, infectious diseases are likely to be prevalent, Dengue, chikungunya, Zika virus would become endemic diseases in many places in the world as climate is more likely to be fit to mosquito vectors than before. As a matter of fact, Aedes albopictus mediating these diseases became endemic species in Japan and France recently. One of the things that we employ is that we need to apply the Internet of Things concept in disease vector control soon to increase the accuracy of vector species in time as they are present unexpectedly. Here in this presentation, many lines of current state-of-the-art technologies to control the disease vectors using big data informatics application and machine learning strategies. With this trend, this presentation will add future directions of integrated vector management with new research endeavors to monitor the population of disease vectors concisely and precisely,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in disease vector management will be addressed in this presentation. This will change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pparatus to monitor and control disease vectors.
        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laria is notorious disease to transmitted by Anopheline mosquitoes. In Korea, Plasmodium vivax malaria was re-introduce in 1993 and exceed to more than 4,000 cases in early 2000s. Based upon our control efforts, it was sharply decreased and diagnosis 576 cases in last year. We made Action Plan in this year for certification of malaria elimination by WHO until year 2024. In this plan, we need to strengthen our capacity of vector surveillance and control. For vector surveillance, we will introduce daily mosquito population monitoring system. In 2020, every malaria high risk area install two mosquito counters and send information to main server. For vector control, we will try building capacity of malaria mosquito control people in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military section. To decrease no. of mosquitoes, we will concentrate our resource to cattle shed, which is main blood source of Anopheline mosquitoes.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Anopheline, we will adopt Integrate Vector management (IVM) including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 Based on the reconciliation with North Korea, we will support technical and material support for malaria elimination.
        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의 예방을 위하여 실시하는 예방나무주사는 소나무재선충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제방법이지만 매개충에 대해서는 효과가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는 살선충제와 살충제가 혼합된 약제를 나무주사하여 소나무재선충병의 예방효과 뿐만 아니라 신초를 후식하는 하늘소류에 대해 소화중독에 의해 매개충살충까지 동시에 가능한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bamectin+Sulfoxaflor DC을 비롯한 3개 약종 2018년 3월 6일에 소나무에 나무주사 후 90여일 이 경과한 6월 5일에 소나무 가지에 망대를 설치하고 각 망대에 솔수염하늘소 1마리씩을 접종하여 7, 14, 21일의 살충율을 조사하였다. 나무주사된 3약종 모두 솔수염하늘소에 대하여 살충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도 남양주시 잣나무림에 Abamectin+Sulfoxaflor DC를 나무주사 후 산란유인목을 설치하여 현장 실험을 실시한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충에 의해 발생된 목설흔이 매우 적게 나타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를 위한 나무주사는 살선충제를 사용하여 예방적인 측면에서 이루어 졌다. 본 연구는 소나무에 살충제를 나무주사하여 약제를 소나무 전체에 침투 이행시킨 후 우화한 매개충이 후식하는 과정에서 약제가 포함된 신초를 섭식하게 되면 소화중독으로 교미 및 산란 전에 살충시킴으로서 매개충을 방제하고자 실시하였 다. 이러한 살충제 나무주사 방법은 신초를 후식하는 하늘소류만을 소화중독에 의해 살충시키는 방법으로 기존의 항공방제에 비해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살충제 나무주사에 가장 적합한 약제 선발을 위해 실내에서 Neonicotinoid계 살충제 7종을 각 2,000배로 희석한 후 솔수염하늘소에 2㎕를 경구투입하여 살충효과를 평가한 결과 Clotianidin SL, Thiamethoxam DC이 소화중독에 의한 살충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들 살충제를 야외에서 소나무에 나무주사 후 가지에 망대를 설치하고 솔수염하늘소를 접종하여 살충력을 검정한 결과 Thiamethoxam DC가 살충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현장적용을 위해 잣나무림에 나무주사후 산란유인목을 설치하여 무처리구와 비교한 결과 살충제 나무주사 시험지의 산란유인목에서는 산란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장방제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climate change has been reported as the most important issue related with vector borne diseases eg. Zika and Denguemainly transmitted by Aedes mosquitoes. In 2016, 24 imported Zika virus disease cases and > 300 cases of Dengue feverwere reported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In the ROK, the control of disease vectors has been mainly carried outusing chemicals, which resulted in high insecticide resistance. Many studies and projects in Korea Center for DiseaseControl & Preventionfor overcoming the insecticide resistance of disease vectors have been carried out and some nationaldisease vector management systems for effective vector control are established throughout the ROK. In this presentation,the national vector management systems and studies will be addressed.Key words : Disease vectors, National management, the Republic of Korea, climate change
        1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ine wilt disease (PW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est tree diseases, especially in the East Asian countries of Japan, China, and Korea. The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Hope, is the PWN vector for Japanese red pine and Japanese black pine while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is the vector for Korean white pine. Various control methods, such as aerial pesticide applications, biological control using parasitoids and fumigant such as methyl bromide are used. But the PWD still has spread. Therefore, we were selected effective aerial insecticides. Susceptibility of M. saltuarius and M. alternatus adults were investigated using 9 insecticides which are available in the market in Korea. And then, we tested them to the Apis mellifera to vertify the environmental impact.
        1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ernative control agents, hopefully overcoming the present issues and problems in agrochemicals, should be considered and finally applied to the vector controls. Entomopathogenic fungi can used as one of the possible novel control agents and great considerations are given to the control of soil- or water-dwelling stages of vectors, such as mosquitoes and ticks. In our research group, the entomopathogenic fungal library has been constructed using the mealworm-based isolation system, which showed a variety of opportunities of their use in vector control. Important key production technologies including granular formulation have been developed to increase their industrialization. Some entomopathogenic fungal isolates showed high biological performance in the control of mosquitoes and ticks in field stands. R&D of down-stream proces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as the key step.
        1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sian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is considered as potential vector of Zika virus in Republic of Korea (ROK). Vector control during mosquito season is one of critical factors for decline of viral transmission. Total 14 oversea travel-associated Zika cases by mosquito bite were reported throughout ROK from January to September 2016 and vector control and monitoring at surroundings of patient’s residences was carried out during three weeks after confirmation of the virus. Although population density rates of Ae. albopictus were remarkably various according to ecological surroundings, population density of Ae. albopictus near forest was higher than urban. All captured Aedes mosquitoes were used for detection of three flavivirus, Zika, Dengue and Chikunguya, using RT-PCR and any virus was not detected. Population density of Ae. albopictus decreased > 65% on average after vector control and in one area > 95% of population density decreased. Our data might reveal that vector monitoring and control at surroundings near residences of oversea travel-associated Zika patients might effectively prevent viral transmission by mosquito bite and naturalization of the virus in ROK.
        13.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ine wilt disease, caused by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et Buhrer) Nickle, has become the most serious threat to pine trees in Korea since first reported in 1988. Pine wood nematode is transferred to uninfested trees by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vector). A typical controlling method against vectors in Korea is fumigation of the dead trees infested by vector M.alternatus and B.xylophilus using metam-sodium SL(25%). However, this method is harmful to the environment because of the chemical contamination and vinyl waste in the mountain afterward. Portable Bark Remover (PBR) was contrived to reduce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The vectors oviposite under the bark of the freshly dead trees only. Debark infested trees prohibited the vectors from oviposite and finally, vectors can not complete their life cycle. The PBR is a newly designed as a debarking device that is equipped on top of the chain saw engine allowing ease and rapid debarking of the infested trees at the controlling field. Debarking of freshly-dead trees can eliminate egg-laying and hatch places where between the wood and bark from vectors. The new method for vector controlling using the debarking device is expected to lower-price and high-efficiency comparing with other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crushing”, “burning” and “fumigation”.
        14.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hG-CSF의 발현을 유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FIV-Tet-On lentivirus vector system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hG-CSF는 호중성구 계열 세포의 증식과 분화,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서, 이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FIV-Tet-On vector 상의 hG-CSF나 rtTA2SM2 서열의 3' 위치에 WPRE 서열을 도입하였다. 구축된 각각의 vector는 293FT 세포에 일시적으로 transfection하여 virus를 생산하였으며, 이 virus를 일차 배양 세포인 CEF와 PFF에 감염시켰다. 각 세포에 전이된 hG-CSF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doxycycline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후 quantitative real-time PCR, Western blot과 ELISA를 이용하여 hG-CSF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 측정한 결과, CEF에서는 WPRE가 hG-CSF의 3' 위치에 도입된 경우에 발현량과 유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FF에서는 rtTA 서열의 3'위치에 도입된 경우에 발현량과 유도율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FIV-Tet-On vector system은 형질 전환 동물의 생산이나 유전자 치료에서 문제시되는 외래 유전자의 지속적인 과다 발현에 의한 개체의 생리적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해결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8.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전압형제어에 의한 유도전동기의 토크 속응제어법의 메카니즘이 기술되어 졌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펄스전압 인가에 의한 과도토크 소거원리를 전류레벨에서 해석함과 동시에 직관적 이해를 돕기 위해 벡터표현을 이용하여 제안 방식의 이론적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이상의 검토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압형제어에 있어서는 임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스텝응답을 실현할 수 있다. (2) 유한 미소정정시간 δ를 매개로 정식화를 행함으로써, 토크의 스텝응답을 실현할 수 있는 이론적인 전압해 및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전압해를 동시에 구할 수 있다. (3) 토크 속응제어를 δ이후의 과도전류가 0으로 되는 전압지령에 의해 실현하므로 펄스전압인가에 의한 스파이크 전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4) 전동기 정수가 불변 또는 실시간으로 동정된다면, 제안방식은 제어지령을 결정함에 있어서 전류정보에 직접 의존하지 않고도 피드포워드적으로 전압지령의 연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 구성의 간략화와 동시에 제어정도가 전류정보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제어계의 구축이 가능하다
        4,000원
        19.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8년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수초자생 논에서 서식하는 말라리아 매개모기(Anopheles sinensis)를 대상으로 포식천적 송사리(Aplocheilus latipes)와 식식성 어류(Tilapia mossambicus niloticus)의 병합적 처리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효과를 경기도 수원소재 대학 부속농장 실험포장에서 야외 조사하였다. 포식천적어 송사리는 논 수면에 방사율로, 식식성 어류 Ti-lapia는 비율로 병합적 처리한 결과, 처리 일주일후에 말라리아 매개모기는 대조군에 비해 70.8%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4주와 5주후에 방제율은 점차 증가하여 각각 73.5%와 80.2%에 달하였으며, 5주후에는 말라리아 매개모기와 집모기(Culex pipiens)를 합하여 80~82%의 모기개체군 밀도의 억제효과를 계속 유지하였다. 송사리만의 비율로 단일처리한 논에서는, 4주후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방제효과는 평균 51.4~56.5%로 비교적 저조하게 나타났으며, 모기 유충의 개체군 밀도를 억제하기 위한 미생물제제 B.t.i.(R153.78)을 1 kg/ha의 농도로 병합처리하여 그 방제효과를 비교 고찰하였다.
        4,000원
        20.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8년 7월부터 10월까지 약 4개월간 질병매개모기 및 뇌염다발지역인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소재 약 30,000M2의 자연수답을 선정, 이에 서식하는 질병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와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를 대상으로 포식천적어송사리(Aplocheilus latipes) 및 왜몰개(Aphyocypris chinensis)방사와 미생물제제(Bacillus thuringensis H-14)를 병합처리하여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포식천적어송사리가 0.6fish/TEXM2/TEX가 존재하는 논에서는 7월부터 8월까지 55.0~57.6%의 자연 방제가 이루어졌으며, 한 표본당 평균 10마리 이상으로 증가될 때 미생물제제(B.t. H-14)를 1Kg/ha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24시간후 100%의 방제를 보였으며, 10월 11일 본 실험이 끝날 때까지 98%의 방제율을 유지하였다. 천적어가 존재하지 않는 논에서는 수면 1TEXM2/TEX 당 1.5마리의 비율로 포식어(Aphyocypris)를 방사한 결과 9월 21일(방사후 2주)까지 88.2~96.7%의 만족할 만한 방제율을 유지하였다. 천적어가 존재하지 않는 또 다른 논에서 미생물제제(B.t. H-14)를 1Kg/ha의 농도로 단독 처리한 결과, 24시간 후 100%의 방제율을 보였으나, 7일 후에는 개체군밀도의 회복현상을 나타내었으며 B.t.(H-14) 2차 처리후 모기유충의 개체군밀도를 억제할 수 있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