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0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over cyst nematode (Heterodera trifolii, CCN) is one of the important plantparasitic nematodes in the Republic of Korea, causing serious damage to Kimchi-cabbage in Gangwon province since 2017. Soil fumigants are the preferred choice for managing CCN. However, cabbage fields in Gangwon province have a slope, making it challenging to apply soil fumigants and use plastic mulch. Consequently, alternative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managing CCN. Nematicidal cover crops and resistant cultivars are among the alternatives. We conducted resistance screening of 82 white mustard (Sinapis alba) resources from a genebank at RDA against CCN for use as nematicidal cover crops or breeding materials. In the first assay (1st, 2nd, and 3rd pot experiments), 15 white mustard resources were selected, while others were susceptible to CCN. To confirm the reproducibility of resistance to CCN for 13 selected resources, the second assay was performed. As a result, five white mustard resource (IT297309, IT297312, IT302951, IT302953, IT302954) demonstrated resistance to CCN. These findings indicate the potential use of these five white mustard resources as nematicidal cover crops or for breeding cultivars of Kimchi-cabbage in Republic of Korea.
        4,000원
        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lfur is an essential element in plants, including amino acids, vitamin synthesis, and acting as an antioxidant.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endogenous sulfur and proline synthesis has not been yet fully documented.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L.) is known as a species highly sensitive to sulfate supp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role of sulfur in regulating proline metabolism in relation to ammonia detoxification and hydrogen peroxide (H2O2) accumulation in white clover. The detached leaves of white clover were immersed in solution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 of sulfate (0, 10, 100, and 1000 mM MgSO4). As MgSO4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H2O2 increased up to 2.5-fold compared to control, accompanied with H2O2 detection in leaves. Amino acid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at higher levels (100 and 1000 mM MgSO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rotein concentration. Proline and Δ1-pyrroline-5-carboxylate (P5C) concentrations slightly decreased at 10 and 100 mM MgSO4 treatments, whereas it rapidly increased over 1.9-fold at 1000 mM MgSO4 treatment. Ammonia concentrations gradually increased up to 8.6-fol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ogenous sulfur levels are closely related to H2O2 and ammonia synthesis but affect proline biosynthesis only at a higher level.
        4,000원
        3.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7년 이후 강원도 고랭지배추는 클로버씨스트선충에 의한 피해를 받아 왔다. 저항성 배추 품종 재배는 씨스트선충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방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클로버씨스트선충 저항성 배추 신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 소재 탐색을 위해 배추류 유전자원 총 57 자원을 대상으로 클로버씨스트선충에 대한 저항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배추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순무 (B. rapa), Brassica sp., 갓 (B. juncea), 겨자류 (B. carinata, B. tournefortii), 경수채 (B. rapa subsp. nipposinica), 다채 (B. rapa subsp. narinosa), 평지 (B. rapa var. perviridis), 루타바가 (B. napus var. napobrassica), 로켓샐러드 (Eruca sativa) 54자원은 뿌리에 클로버씨스트선충 암컷이 300개 이상 증식되어 매우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겨자류 2자원 (B. carinata, B. tournefortii)도 클로버씨스트선충 암컷이 각각 144개, 110 개 증식되어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겨자류 중 에서 African mustard (B. tournefortii, 씨앗은행 관리번호 IT218058)는 클로버씨스트선충 암컷이 평균 4±1.8로 증 식되어 저항성인 배추류 유전자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African mustard (IT218058)는 클로버씨 스트선충 저항성 배추 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랭지 배추재배지에서 근래에 문제되고 있는 Heterodera속의 사탕무씨스트선충(H. schachtii)과 클로버씨스트선충 (H. trifolii)에 대한 살선충 물질(Burkholderia rinojensis, fluazaindolizine, fluopyram, fosthiazate, hydrogen peroxide, imicyafos)들의 알과 유충에 대한 약제 반응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 물질에 따른 부화율 비교 결과 부화율은 처리 약제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fluopyram, fosthiazate, imicyafos 처리에서는 두 선충 모두 99%의 매우 높은 부화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선충간 약효차이는 hydrogen peroxide를 제외하고는 없었다. 부화유충에 대한 처리별 살선충 활성은 부화 억제효과 실험에서 높은 부화억제 효과를 보였던 fluazaindolizine 처리에서만 두 선충 모두에 대하여 30%미만의 낮은 살선충 효과를 보였고, 나머지 처리에서는 90%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 처리 24시간 후와 48시간 후 모든 실험물질에 대한 2령충들의 약제반응은 종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내 실험에서 동일한 기주를 가해하는 두 씨스트선충들의 살선충제들에 대한 약제 반응이 동일하게 나타나 두 선충 혼생지에서 동시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클로버씨스트선충(Heterodera trifolii)은 우리나라 고랭지에서 배추에 피해를 주는 주요 씨스트선충으로 최근에 분포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온도와 접종밀도에 따른 클로버씨스트선충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5~30℃ 온도조건에서 클로버씨스트선 충이 증식되었으며 20℃에서 암컷 성충 수, 알 수, 씨스트 수 모두 가장 많았다. 접종밀도에 따른 클로버씨스트선충의 증식은 접종밀도가 높아질 수록 암컷 씨스트선충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토양 1 g당 16개의 알 처리 시 증식량, 알 수, 씨스트 수 모두 가장 많았다. 암컷 씨스트 수와 알 수는 접종밀도에 상관없이 배추가 케일에 비하여 많이 형성되어 배추가 케일보다 클로버씨스트선충의 증식에 유리한 기주였다.
        4,000원
        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lover cyst nematode, Heterodera trifolii have recently been identified as a serious pest to Chinese cabbage in highland area of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ost specificity effect of H. trifolii by their inoculation density and temperature on Chinese cabbage and kale in pot in laboratory condition. H. trifolii inoculated with (1, 2, 4, 8, 16 eggs /g soil), where the number of female resulted higher in Chinese cabbage than in kal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number of cysts did not show any variation by their inoculation density in both plants. The results depicted the proliferation of H. trifolii by temperature (15, 20, 25, 30℃), where the number of females, cysts and eggs has their highest proliferation in 20℃ condition. The study thus demonstrated that, Chinese cabbage is considered a suitable host of the clover cyst nematode compared to the kale and the suitable temperature of the reproduction is estimated as 20°C.
        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natural sleep aids due to various side effects of long-term administration of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insomnia. Honey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numerous potential health benefits, and it is hypothesized that honey may favorably affect insomnia treat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hypnotic effect of clover honey (CH) and to determine its in vivo mechanism. The total flavonoid content (TFC) of CH and fractions extracted with ethylacetate (EtOAc) and H2O was measured. The pentobarbital-induced sleep test using GABAA-benzodiazepine (BZD) agonists and antagonist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tential mechanism of action behind the sedative-hypnotic activity of CH in mice. The results showed that administration of 500 and 1,000 mg/kg of CH significantly (p<0.01) reduced the sleep latency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diazepam (DZP, 2 mg/kg), and 1,000 mg/kg of CH significantly (p<0.01) prolonged the sleep duration, which was comparable to that of DZP (2 mg/kg). Administration of the EtOAc fraction with a higher TFC significantly reduced the sleep latency at 50 to 200 mg/kg and prolonged the sleep duration at 100 to 200 mg/kg, which were comparable to those after administration of DZP (2 mg/kg). However, co-administration of CH and EtOAc with flumazenil, a specific GABAA-BZD receptor antagonist, blocked the hypnotic effect.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hypnotic activity of CH may be attributed to allosteric modulation of GABAA-BZD receptors. The TFC of CH is expected to be a key factor that contributes to its hypnotic effect.
        4,000원
        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tion of chlorella (CA) on the change of nutritive values, organic acids and microbes on mixture of whole crop barley and crimson clover (WCB-CC) silage.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Cheonan, Korea and consisted of three groups, such as control without CA, with 0.25% CA and with 0.5% CA.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total digestible nutrient,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WCB-CC silage were increased by CA treatment (p<0.05). However, acid detergent fib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of WCB-CC silage were low compared to control (p<0.05). The pH of WCB-CC silage in CA treatm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content of lactic acid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 CA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to control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CA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WCB-CC silage
        4,000원
        1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당근-녹비 윤작지에서 헤어리베치 및 클림손클로버의 토양환원이 당근의 수량 및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당근재배지에서 전작물로 재배된 녹비작물의 질소(N), 인(P2O5), 칼륨(K2O), 칼슘(CaO) 및 마그네슘(MgO) 공급량은 헤어리베치의 경우 각각 23.8, 12.8, 6.1, 1.7, 및 2.8 kg 10a-1이었으며, 클림손클로버의 경우 각각 4.3, 6.0, 3.5, 1.3, 및 1.3 kg 10a-1이었다. 당근재배지에서 녹비작물의 토양환원 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가밀도는 녹비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고, 공극율은 증가하였다. EC는 녹비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약간 낮았으며, 유기물, T-N 및 avail. P2O5는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당근의 장해율은 녹비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장해된 당근의 수량을 제외한 상품수량은 헤어리베치 처리구 (3,733kg 10a-1)가 대조구(2,566kg 10a-1)에 비해 45.5%의 증수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당근재배지에서 녹비작물의 시용은 비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으며, 녹비작물 토양환원 후 토양의 물리성 및 화학성을 개선함으로써 당근의 상품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lybdenum (Mo) in rhizosphere influences sulfate assimilation as well as a number of other physiological aspects. In this study, the activity of key enzymes in sulfate assimilatory pathways, such as ATP sulfurylase (ATPs), adenosine 5'-phosphosulphate reductase (APR), as well as the response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analyzed to elucidate the metabolic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external Mo supply to detached leaves of Trifolium repens L. Mo supply with a range from 1 mM to 40 mM depressed the activity of ATPs throughout the entire time course. In the leaves exposed to 1 mM Mo, a continuous decrease in the activity of ATPs was confirmed by Native-PAGE. The APR activity was also declined by Mo treatment. The accumulation of H2O2 and O2 were not significant up to 10 mM Mo, whereas a remarked accumulation was detected under 40 mM Mo supply. The data suggest that an external supply of Mo has an inhibitory effect on sulfate assimilation, and induces oxidative stress only at an extremely high concentration.
        4,000원
        1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뭄 스트레스 조건에서 마이코라이자의 접종이 질소의 흡수와 동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마이코라이자를 접종한 처리구와 접종하지 않은 처리구에서 수분처리 7일간 총 , 흡수된 로부터 아미노산과 단백질로 합성된 15N 함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정상 관수구에서는 전 조사항목에서 마이코라이자 접종에 대한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 함량은 가뭄 스트레스에 의해 마이코라이자 접종구 및 비접종구에서 각각 13.8%, 28.5% 감소하였다. 함량은
        4,000원
        1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이트 클로버에서 마이코라이자 접종이 가뭄스트레스와 관련된 생리학적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마이코라이자 접종 (AM) 또는 비접종구에서 정상관수 (WW) 또는 가뭄 스트레스 처리 (DS)하여 7일동안 주기적으로 잎 수분포텐셜, 상대수분함량, 건물중, 광합성효율, 증산, 기공전도성, 프롤린 및 암모니아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모든 조사항목에서 정상적인 관수조건 (대조구)에서는 전 시험기간 중 변화가 매우 적었으며, 마이코라이자 접종에 의한 변화도 매
        4,000원
        14.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들어, 친환경 축산이 중요하게 대두대면서 Silvopastrol system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오고 있다. 초지가 나무와 공존하기 위해선 비음에 강한 목초육종과 혼파조합을 선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준 고랭지 지역에서 차광정도에 따른 목초 혼파조합의 식생변화를 살펴보고 생산량과 품질을 조사하여 비음조건에 가장 적합한 목초의 혼파조합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차광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모든 혼파조합의 목초수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
        4,000원
        15.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고는 크림손 클로버에 비하여 헤어리 베치가 높았으며, 희토 1회 처리시 크림손 클로버는 가장 낮았고, 헤어리 베치는 가장 좋아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크림손 클로버와 헤어리베치의 평균 건물율은 각각 20.3%와 18.1%로 크림손 클로버의 건물율이 높았으며 희토 처리에 의한 건물을 차이는 없었다. 생초 수량은 크림손 클로버에 비하여 헤어리 베치가 많았으나 건물 수량은 생초 수량과 반대로 크림손 클로버가 많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크림손 클로버와
        4,000원
        1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료작물 작부체계에 따른 액상분뇨 시용수준이 호밀과 호밀-레드 클로버의 생산성 및 지력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에서 2년간 수행 되었다. 작부체계(호밀단작, 호밀-레드 클로버 혼작)를 주구, 우분액비의 시용수준(0,150, 300 kg/N/ha)를 세 구로 하여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실험하였다. 파종량은 호밀-레드 클로버 혼작시 호밀 130 kg/ha, 레드 클로버 20 kg/ha을 매년 파종했으며,
        4,000원
        20.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도입된 crimson clover를 나주지역에서 재배시 월동성과 수량이 높은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0까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된 4 품종중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말랐으며 Linkarus 품종이 5월 5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 함량은 24.3%로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4.9%를 나타내었으며 Oregon com.이 18.3%로 높았고
        3,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