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팬지의 고정 계통 중 흰색, 주황색, 검정색, 파란색, 자 주색과 흰색 혼합을나타내는 5개 계통(S003, S014, S017, S045, S065)을 이용하여 목표형질(초장, 초폭, 꽃 크기, 화경장, 경경, 화수)에 대한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 력을 분석하였다. 일반조합능력은 계통의 상가적작용에 의 한 효과이며, 특정조합능력은 F1조합에서 계통의 비상가 적작용에 의한 효과이다. 일반조합능력에 있어서 S014계 통은 꽃 종경, 횡경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S017계통은 초 장, 초폭, 꽃 횡경, 화경장, 경경에서 일반조합능력이 높 게 나타났다. 목표 형질에 따라 일반조합능력효과가 높 은 계통을 양친으로 사용했을 때에 특정조합능력효과가 증대하는지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꽃의 횡경 에서는 일반조합능력이 높은 계통인 S014, S017계통을 사 용하여 작성된 S003 × S014, S003 × S017, S014 × S045, S045 × S014, S017 × S045, S017 × S065조합에서 특정조 합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초장, 초폭, 꽃 종경, 화 수, 화경장, 경경의 형질에서는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 능력 간 상관이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각 형질 중 특 정조합능력이 비교적 높은 조합은 일반조합능력에서 정 의 값을 보이는 계통을 양친으로 사용했을 경우에 나타 났기 때문에, 목표형질에 맞는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 는 일반조합능력이 높은 계통으로 조합을 작성하면 잡종 강세 출현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통 간 조합들 의 화색 발현 실험결과, 주황색 계통을 이용한 조합에서 모두 노란색을 띠었다. 결국 팬지 F1에서는 양친의 중간 색을 띠는 불완전우성으로 표현되었다.
        4,000원
        5.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garding carotenoids content, the genetic basis, heritability and combining ability in six red pepper inbred lines were investigated using full diallel crosses. Both additive and non-additive gene actions govern inheritance of carotenoids content. The mean square of array through variance and covariance analysis (Wr-Vr) was insignificant, which suggest that inbred lines involved in diallel cross may have no epistatic effects. The Vr/Wr graph revealed the influence of partial dominant gene action towards low carotenoids content and the absence of non-allelic interaction. The H2 component was smaller than the H1 and the [H2/4H1] component was 0.187 less than 0.25, indicating unequal propor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alleles in the parents. The estimates of broad and narrow sense heritability for carotenoids content were 0.956 and 0.832, respectively. The variance of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specific combining ability (SCA), which implied that the additive gene effects were predominant as compared to both dominant and epistatic effects for the accumulation of carotenoids in this genetic population. The values of GCA of ‘62024L1’ and ‘62067L2’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parents. These 2 inbred lines, therefore, can be considered as useful breeding materials to enhance fruit carotenoids content in other red pepper varieties.
        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studied on the diallel cross analysi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corn(Zea mays L.); supersweet(ss), sticky waxy and normal field corn in Korea and China. Four inbred lines each of three different types were crossed in a full diallel. Testing of 66 F1 crosses were made at two locations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in 2009. The objectives of the experiment was first to study different levels of heterosis among three types. In Korea, average ear length of 16 F1 crosses was the longest in N x wx (197mm), followed by wx x ss (193mm) and N x ss (191mm). Average of ss, wx and N were 135mm, 171 mm and 155mm. The relatively high level of N might be location specific breeding results, where the testing was done at the center of waxy corn breeding. Trends of three F1 crosses in China were similar with normal and supersweet corn.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upported for breeding of high quality sticky-supersweet and high yield potential of normal -supersweet corn hybrids in the developing world to provide nutrition, sugar and other minerals such as Vitamin A and anthocyanin, simultaneously as a high quality food.
        7.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는 무한화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생육후기까지도 생식생장이 지속되어 한국의 기후상황에서는 필연적으로 미등숙 종실의 발생과 탈립으로 인한 수량 손실 등 재배상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내탈립성 참깨들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은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내탈립성 참깨와 기존의 탈립성 참깨들 간의 이면교잡을 통하여 내탈립성 및 기타 양적형질들의 유전분석을 실시하여 보다 개량된 내탈립성 참깨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전분석 결과 조사된 6개 양적형질 모두 비대립 유전자의 상호작용이 존재하지 않음이 인정되었다. 2. 경장, 착삭부위장, 주당수량 및 탈립율은 상가적 효과가 큰 부분우성으로, 분지수는 완전우성에 가깝게, 주당삭수는 초우성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탈립율의 우성방향은 탈립율이 큰쪽이었으며, 내탈립성 참깨 수원195호는 탈립을 적게 하는 열성유전자를 많이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4. 모든 형질에서 광의의 유전력은 0.8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분지수, 주당삭수, 주당수량 및 탈립율의 협의의 유전력은 0.447~0.628 로 낮았으며, 경장과 착삭부위장은 협의의 유전력도 0.8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9.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는 무한화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수확시 필연적으로 미등숙 종실의 발생과 탈립으로 인한 수량 손실이 발생하는 등 재배상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는데, 현재 개발되고 있는 내탈립성 참깨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내탈립성 참깨와 기존품종들 간의 이면교잡을 실시하여 탈립성을 포함한 주요양적형질에 대한 잡종강세 및 조합능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탈립율은 모든 조합에서 탈립율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잡종강세가 작용하였으며 PA형(수원195호)/ID형(SIG960320-5-1-1) 조합에서 가장 컸는데, 이는 탈립 저항성과 관련된 형질이 모두 열성으로 F1 세대에서는 그 특성이 발현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2. 잡종강세 발현은 주당삭수, 주당수량 및 분지수 등에서 컸으며, 경장과 착삭부위장에서는 적게 나타났다. 3. 일반조합능력(GCA)은 6개 형질 모두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특정조합능력(SCA)에서는 탈립율, 주당삭수 및 주당수량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4. 모든 형질에서 GCA분산이 SCA 분산보다 커서 상가적 유전자 작용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5. 교배친의 GCA 검정에서 수원195호는 탈립율과 경장의 감소효과가 크고 주당삭수와 주당수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SIG96320-5-1-1은 주당수량 감소와 경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교배조합별 SCA는 양백깨/수원195호 조합은 주당삭수 증대면에서, 안산깨/SIG96320-5-1-1 조합은 주당수량 증대면에서, 안산깨/수원177호 조합은 탈립율 감소면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α-amylase 활성을 고려한 적정 종자수분 함량은 단옥수수는 15%, 초당옥수수는 12%이었다.미관련(食味關聯) 미질특성(米質特性)을 이용한 토요식미치 추정(推定) 중회귀식(重回歸式)에 채택(採擇)된 주요 특성은 단백질함량, 알칼리붕괴도 및 최저점도(最低粘度)였으며 결정계수(決定係數)로 보아 약 49%의 적중율(的中率)을 나타내었다. 생물학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V는 앞으로 바이러스와 기주의 다양한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병원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300℃ 이하, 공정압력 1 Torr, 그리고 bias전압과 기체 혼합비를 변화시키면서 증착하였다. 증착시 in-situ OES 분석결과 플라즈마 내의 질소종의 함유량 변화에 따라 증착속도가 크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고, 많은 질소기체를 인입하면 질소종이 많아지지만 증착률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박막내 탄소의 함량이 커지면서 막질이 비정질로 바뀌고 미세경도 또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in-situ 플라즈마 진단분석이 전체 PEMOCVD 공정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고, Ti(C,N)과 Hf(C,N) 코팅막의 탄소함량과 미세경도는 플라즈마내의 CH과 CN radical종의 세기에 크게 의존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Hf(C,N) 박막의 경우도 Ti(C,N) 박막의 경우와 유사하게 최대 미세경도값(2460Hk0.025) 이 -600 V bias 전압과 10% 질소기체 혼합비를 사용한 경우에 얻어졌고, 이는 박막이 주로(111) 방향으로 성장됨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통해 평가한 염증세포 분
        12.
        198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9개 품종을 이용하여 이면교잡에 의한 36개 조합의 F1 및 F2 세대에서 간장, 수장, 수수에 관여하는 잡종강세 정도와 유전자분포상태를 검정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의 잡종강세 정도는 F2 세대보다는 F1 세대에서 크고, SR7796-9, SR7796-44품종이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조합에서는 간장이 긴 쪽으로 현저한 Heterobeltiosis를 나타낸 조합이 많았다. 2. 수장에 있어서도 Heterosis와 Heterobeltiosis의 정도는 F1 세대에서 F2 세대보다 크고, ZLAYN, Arborio 품종이 교친으로 되어 있는 조합에서 수장이 긴 쪽으로 Heterobeltiosis를 나타낸 조합이 많았다. 3. 수수에 있어서도 F1 세대의 Heterosis 정도가 F2 세대보다 현저히 높았고, IR 747B2 -6, SR8234-17, SR8772-29품종이 교배친으로 되어있는 조합에서 Heterobeltiosis가 나타난 조합이 많았다. 4. 간장은 F1 , F2 세대 모두 불완전우성을 나타내었으며, 장간은 단간에 비하여 우성을 나타내었으나IR747B2 -6는 단간이 우성을 나타내었다. 5. 수장은 세대에서 불완전우성을 나타내었으며 품종에 따라 우열의 정도가 달랐다. 6. 수수에 있어서도 F1 , F2 세대 모두 불완전우성을 나타내었고, 대체적으로 수수가 적은 것이 많은 것에 비하여 우성이었다.
        14.
        198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 두과작물 증산의 중요성에 비추어 동부의 육종상 기초자료를 얻고자, 품종중 특성이 뚜렷한 6개품종을 2면교잡하여 교배친 6개품종과 F2 세대 15개 조합을 재료로 각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포상태 및 우성정도 그리고 조합능력 등을 추정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Vr-Wr Graph에서 개화일수, 분지수, 협장, 주당협장, 주당립수, 백립중 및 구당립중의 7개형질은 불완전우성이었고, 성숙일수, 생육일수, 절간장 및 협당립수는 초우성으로 각각 나타났으나 경직경은 완전우성에 가까운 불완전우성이었다. 2. 각 형질의 우성정도를 본바,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절간장, 주당협수, 협당립수, 주당립수, 구당립중의 8개형질은 그 값이 1이상이었고, 그 중 개화일수, 생육일수, 주당협수, 주당립수, 구당립중의 5개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에서는 D < H로서 우성효과가 더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평균우성정도는 성숙일수, 분기수, 주당립수의 형질들이 부의 값을 보여 타 형질과는 다른 경향이었으며, 우성열성유전자평균빈도는 성숙일수, 절간장, 분기수, 협당립수에서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3. 일반조합능력(GCA)과 특정조합능력(SCA)을 검정한 바, 전 형질에서 일반조합능력의 값이 특정조합능력 보다 컸으며, 그중 구당립중이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에서 가장 높았다. 4. 조합능력의 효과에서, 일반조합능력의 효과는 J78이 개화일수, 생육일수, 주당협수, 주당립수, 구당립중의 5개형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정조합능력의 효과는 대체로 조합과 형질에 따라서 상이하였으나 TVu 1857 TVu 2885, TVu 2702 J78의 조합에서 그 효과가 크게 평가되었다.dica×Japonica 품종들은 17/9℃ 에서만 고사되고 20/12℃ 에서는 초기등숙이 정체되었다가 2주일후부터 등숙이 서서히 시작되었다. 7. 온도조건에 따른 복백미의 형성은 최적온도(26/18℃) 로부터 최저나 최고조건에서 많았고 사미 및 적미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8. 현미립의 길이 및 두께 폭에 대한 영향을 보면 저온조건(17/9℃20/12℃) 에서 짧거나, 얇고, 좁은 편이었다. 9. 온도별 립중분포의 빈도를 보면 IR36은 최고온도조건이나 (32/24℃) 최저온도(23/13℃) 에서 동일한 립중분포를 보였고 최적온도조건에서는 (26/18℃ 높은 립중분포를 보였고 진흥은 최고, 최저, 최적온도 순으로 립중증가의 빈도를 보였으며 Indica×Japonica 품종들은 진흥과 IR36품종의 중간 영역에 머물고 있었다.mite처리구가 8.6%, 유황첨가구가 5.7~7.4% 증수되었음을 보이었다. 7. 식물체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5%, 10% 유황첨가구가 3.31~3.50%로서 비슷하였고 15% 유황첨가구는 3.94%, Dolomite첨가구는 5.38%였다. 아미노산도 15%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현미중 조단백질은 15%유황첨가구가 10.14%로서 최고이었으며 10%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는 9.85%로서 다음이었다. 아미노산도 대조구의 현미에는 유황처리구보다 작았으며 유황처리구에서는
        16.
        198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의 엽형에 관한 유전연구의 일환으로 엽장이 친 품종, 엽폭이 긴 품종, 엽장과 엽폭이 짧은 7품종들을 문배친으로 하여 이들 품종간의 이면문잡에 의한 21개잡종 F2 세대와 교배친을 재료로 엽병장, 주소엽병장, 주소엽장, 주소업폭, 측소엽장, 측소엽폭 등의 엽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포상태를 본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병장은 주소엽병장보다 길고 전체적으로 평균 5배정도였고, 주소엽장은 측소엽장보다 길며, 엽장은 엽폭보다 길었으나, 주소엽폭보다 측소엽폭이 도리어 긴 경향이었다. 2. 조사 측정된 6개형질 모두 부분우성으로 유전되고 회귀계수가 낮은 것으로 보아 비대립 유전자의 관여가 큰 것을 알 수 있였다. 3. 엽병장에는 A품종(선비잡이콩)과 B품종(동산6002)에, 엽장에는 A품종과 C품종(경남002), 엽폭에도 A품종과 B정종에 우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고, G품종(D69-7816)과 F품종(D62-7816)에는 각 형질에 열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7.
        197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맥품종들의 일장에 따른 출수반응과 출수기에 대한 유전을 구명코져 1974연부터 1975연까지 조숙품종으로 올보리, Haganemugi, CI 6332, 중숙품종으로 수원 18호, 부여, 만숙품종으로 수원004, 수원 16005, Samheung을 상호교배하여 만든 Diallelcross F을 호남작물시험장온실에 파종, 24시간, 16시간 12시간 및 8시간 일장을 각각 처리실험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Haganemugi, CI 6332는 출수기에 관여하는 순수조만성이 짧은 품종이었고 수원004는 순수조만성이 긴 품종이었다. 2. 품종의 출수기 변이폭은 12시간 일장에서 가장 컸으며 Haganemugi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일장반응이 둔감하였다. 3. 대맥의 순수조만성은 부분우성인 대립유전자에 지배되고 조숙이 우성(CI6332), 또는 열성(Haganemugi)으로 작용하였다. 4. 일장반응에 대한 db전은 비감광성이 감광성에 대하여 단순열성으로 나타났고, Haganemugi가 비감광성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유전자는 12시간 일장근처에서 다른 품종의 일장감응성과 구별되었다. 5. 대맥품종에 있어서 일장감응성은 각 품종별로 특별한 Turning point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