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잔디주머니나방속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어 보고한다. 잔디주머니나방속내 잔디주머니나방에 대한 성충, 유충, 번데기 등 형태학적 특징을 재기재하였다. 또한 신속한 종 동정을 위한 DNA바코드 정보를 제공하였다.
        4,0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 채집된 아메리카동애등에의 성충은 원산지의 성충과 그 크기가 비슷했다. 체형에서 가장 큰 차이점을 보이는 부분은 더듬이 바깥쪽 (antenna 2) 길이이며, 그 다음으로는 머리넓이 (head width), 복부넓이 (abdomen width)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유기물 분해와 분변토 생산의 우수개체를 선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국내 51개 조사지역 중, 22개 지역에서 아메리카동애등에가 출현했으며 위경도 및 고도 등 지리적 특성보다는 유기물의 존재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곤충의 발생현황은 유기성 폐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맥문동(Liriope spicata (Thunb.))이 검정주머니나방(Mahasena aurea (Butler))의 새로운 기주식물로 처음으로 확인되었기에 보고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본 종의 유충과 암컷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들의 암컷과 수컷에 대한 외부형태적 특징을 재기재함과 동시에 수컷생식기, 성충, 애벌레, 번데기 등의 특징을 도해하여 제시하였다.
        4,000원
        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Aphidius are used in biological control programs against aphid pests throughout the world and their behavior and physiology are well studied. But despite knowing the importance of sensory organs in their behavior, their antennal structure is largely unknown. In this study, the extern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antennal sensilla on the antennal of both female and male adults of A. colemani were describ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Generally, the filaform antennae of males (1,515.20±116.48 ㎛) are longer than females (1,275.06±116.42㎛). Antennae of this species is made up of scape, pedicel and flagellomeres. Male and female antennae differed in the total number of flagellomeres as 15 in males and 13 in females. Female and male antennae of A. colemani has samely seven types of sensilla. We classified sensilla placodea, Bohm bristles, 2 types of sensilla coeloconica, , 2 types of sensilla basiconica as with a tip pore and with wall pores, sensilla trichodea. In addition, the possible functions of the above sensilla types are discussed in light of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 mechanoreception(Bohm bristles, sensilla coeloconicaⅡ and sensilla trichodea) and chemoreception(sensilla coeloconicaⅠ, sensilla basiconicaⅠ,Ⅱ and sensilla placodea). Future studies on the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antennal sensilla of A. colemani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coupled with electrophysiological recordings will likely confirm the functions of the different sensilla identified in this study.
        7.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Aphidius are used in biological control programs against aphid pests throughout the world and their behavior and physiology are well studied. But despite knowing the importance of sensory organs in their behavior, their antennal structure is largely unknown. In this study, the extern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antennal sensilla on the antennal of both female and male adults of A. colemani were describ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Generally, the filaform antennae of males (1,565.60± 194.64㎛) are longer than females (1,303.83±156.41㎛). Antennae of this species is made up of scape, pedicel and flagellomeres. Male and female antennae differed in the total number of flagellomeres as 15 in males and 13 in females. Female and male antennae of A. colemani has samely ten types of sensilla. We classified 3 types of sensilla trichodea as without pores, with a tip pore and with wall pores, 3 types of sensilla coeloconica, 1 sensilla placodea and 1 Bohm bristles. In addition, the possible functions of the above sensilla types are discussed in light of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 mechanoreception (Bohm bristles and sensilla coeloconica) and olfaction (sensilla trichodea and sensilla placodea). Future studies on the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antennal sensilla of A. colemani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coupled with electrophysiological recordings will likely confirm the functions of the different sensilla identified in this study.
        8.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3-1984 제(第)에 걸쳐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수원경작시험장 인삼포(人蔘圃) 및 그 주변에서 궁뱅이를 채집(採集)하여 외부형태상(外部形態上)의 특징, 종구성(種構成) 및 인삼가해여부(人蔘加害如否)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채집(採集)된 굼뱅이는 항문공(肛門孔)의 모양과 여상부에 있는 융기선(隆起線)의 유무(有無)에 따라 검정풍뎅이 아과(亞科), 줄풍뎅이 아과(亞科), 우단풍뎅이 아과(亞科)로 나뉘어지고, 이들은 다시 두부(頭部)나 제10복절(第10腹節) 복면(腹面)의 자모(刺毛) 배열(配列), 두개(頭蓋)의 광택 정도에 띠라 8종(種)으로 분류(分類)되었다. 2. 인삼포(人蔘圃) 주변의 포장(圃場)이나 휴한지(休閑地)에서 주로 다색풍뎅이 애풍뎅이 다색줄풍뎅이 참검정풍뎅이 큰검정풍뎅이 등이 채집(採集)되었으나, 인삼포(人蔘圃)에서는 참검정풍뎅이와 큰검정풍뎅이만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의 인삼(人蔘) 가해(加害)가 확인되었다.
        3,000원
        9.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돌나물과(Crassulaceae)의 돌나물속(genus Sedum)은 약 400여종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기린초속(genus Phedimus)은 약 20종이 아시아부터 유럽까지 분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대 분류체계에서는 기린초속과 돌나물 속을 독립된 각각의 속으로 인정하고 있으나, 한국산에 대한 연구에서는 기린초속이 돌나물속 아래 가는기린초아속(subgenus Aizoon)으로 사용되고 있어, 가는기린초아속이 기린초속으로 승격되는 것이 타당한지 정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식물의 전체적인 크기와 외형, 잎의 형태 등의 영양형질과 종피 표면의 무늬와 같은 생식형질이 기린초속과 돌나물속의 식별에 주요한 자료로 판단되었다. 특히, 종자의 표면 무늬는 돌나물속은 육각형의 무늬와 그 속에 하나의 유두상 돌기를 가지고, 기린초속은 사각형의 무늬와 양 끝에 하나씩 유두상 돌기를 가져 두 속을 구분하는 중요한 식별형질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외부형태 학적 결과는 돌나물속과 기린초속을 독립된 각각의 속으로 인정하는 분류체계를 지지한다.
        10.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analyzed the external morphology and the environment of the foraging site of Vespertilio sinensis. The external morphology was analyzed by twelve parameters and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foraging site was analyzed using GIS 10.1 program. The wing membrane was inserted into the ankle of the hind foot and the wing ratio was 1.42, the middle type between broad-short wing type and long-narrow wing type. The fur color was blackish brown but the guard hair color was whitish. The shape of the ear was a rounded triangle and tragus was a fan shape. This study showed that V. sinensis preferred the deciduous forest of the upper forest zone, where human interference was less. We believed that abundance of insects, depending on water system, was closely related to the use of the foraging site. This result showed that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as very similar to the nature preservation zone including Baekyang valley and Keumsun valle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11.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Ussurian tube-nosed bat (Murina ussuriensis) is a registered endangered species that has not been observed in South Korea since 1960. We were able to capture three individuals of M. ussuriensis between 2011 and 2013 at Sobaeksan National Park. The discovery of this species was the first time within 50 years. To collect basic data on the M. ussuriensis, we analyzed the external morphology and ultrasound characteristics of the captured ba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 ussuriensis weigh approximately 5.2 g, which is less than that of a typical small bat such as Pipistrellus abramus. The bat's wing-type ratio was determined to be 1.22 and classified as a broad and short wingspan type. The bat uses FM signals for ultrasound with a peak frequency of 92 kHz. The M. ussuriensis seems to be a forest-dwelling bat that preys on insects by maneuvering expertly within the complex mazelike structure of forests.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on the hibernation and foraging sites of the bats is necessary to protect and monitor the species.
        12.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강초롱꽃 자생지 6지역(오대산, 향로봉, 대암산, 화악산, 점봉산, 설악산)에 대한 형태적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외부형태, 주성분분석과 유집분석 등 수리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부형태형질 중 자생지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형질은 없었으며 형질의 연속성이 인정되었다. 조사된 6개 자생지의 71개체와 outgroup으로 사용한 검산초롱꽃 7개체, 총78개체 중 향로봉과 설악산 정상부에서 자라는 일부 개체들은 잎, 포엽의 형태 등 에서 다소 차이를 보여 구별이 가능하였다. Outgroup으로 사용된 검산초롱꽃은 꽃받침의 형태가 넓은 난형 으로 선형 또는 선상피침형인 금강초롱꽃과 구별되었으며 나머지 형질들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17가지의 양적 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 결과 주성분1(22.3%), 주성분2(15.7%), 주성분3(12.0%)이 총 50.07%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주성분 1과 2를 이차원공간에 도시한 결과 6개 자생지 집단은 서로 중복되어 나타나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평균연결방법과 Ward's법 에 의한 유집분석 결과도 주성분분석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여 유집이 불가능하였다.
        13.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데미풀 자생지 4지역(광덕산, 태기산, 점봉산, 소백산)에 대한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외부형태, 주성분분석과 유집분석, 식생 및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부형태형질 중 유의성이 있는 형질로는 주로 꽃에 관한 형질과 삭과에 대한 형 질, 즉 꽃받침의 길이와 폭, 꽃받침지수, 꽃받침 열편에 거치의 존재유무, 화경의 길이와 분지 유무 등은 4집단을 구분하는데 유의성이 있는 형질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물의 높이, 총포, 종자의 특징 등은 변이가 매우 심하여 형질로서 가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3가지의 양적 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 결과 주성분1(31.3%), 주성분2(20, 7%), 주성분 3(15.8%)이 총 67.79%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주성분 1과 2를 이차원공간에 도시한 결과 태기산집단은 다른 세집단과 구별이 가능하였다. 평균연결방법과 Ward's법에 의한 유집분석 결과, 유집군들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집단간에는 서로 중복되어 나타나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식생조사 결과 상대피도와 상대빈도에 의한 중요치는 모데미풀이 50.8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눈개승마(12.64%), 현호색 (11.62%), 박새(11.45%), 홀아비바람꽃(8.96%), 벌깨덩굴(8.76%), 터리풀(7.06%), 진범(5.66%), 큰개별꽃(5.45%), 솜때(5.25%)의 순으로 나타나 이 종류들이 모데미 풀과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지역에서 모데미풀이 가장 높았고 중요치가 높은 종류들은 자생지 별로 약간 차이를 보였다. 종다양성은 평균 1.40으로 나타났으며 광덕산(1.31)이 가장 높고 점봉산(1.17)이 가장 낮았다. 토양의 pH는 평균 5.25로 대부분 비슷하였고, 소백산은 Mg의 함량은 가장 낮았지만, E.C., 포장용수량, 유기물, 인산, Ca, K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E.C., 유기 물함량, Ca의 함량은 광덕산이 가장 낮았으며, 점봉산은 Mg의 함량이 가장 높은 반면 포장용수량, 인산, K의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14.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axonomic studies in external morpholog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ntraspecific relationship among three habitats (Jirisan, Odaesan and Ulleungdo) of allium voctorialis var. platyphyllum. External morphology such as bulb color, leaf blade length and width, petiole length, total leaf length, peduncle length, perianth lobe length and width, length of anther and filament were useful characters for identification of poplations in three habitats. The results obtained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 (Pc) analysis of treated 72 OTUs(included outgroup)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PC 1 ,2,3 and the sums of contributions for the total variance were 84.1%(PC1 51.0%, PC2 24.9% and PC3 8.2%, respectively). In cluster analysis by the UPGMA and Ward's methods , there was similarities in the compostion of clustered taxa, and only Ulleungdo population was distinctly identified from population of other two habitats.
        15.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사된 금강초롱꽃과(科) 근연 분류군 4속 9분류군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해부학적 형질을 통하여 종간 분류 및 금강초롱꽃속(屬)이 특산속으로서 구별이 가능한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외부형태에 있어서는 뿌리의 모양, 잎의 형태, 엽병의 날개 유무, 화관의 형태, 꽃받침의 형태, 엽병의 날개 유무, 화관의 형태, 꽃받침의 형태, 화서의 형태, 주두의 형태 등이 식별 형질로서 가치가 인정되었으며 해부학적 형질에서는 횡단면의 내부구조 보다는 표피의 돌출정도와 돌출 수가 종간 구별을 위한 형질로 생각되어진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금강초롱꽃속(屬)은 외부형태 및 해부학적 형질에서 유사 분류군들과 잘 구분되어 특산속으로서 잘 지지되었으며 기존의 학자들(Fedorov, 1957; Nakai, 1952; Hong, 1983)에 의해 분류형질로 인식되어온 엽서와 화서의 형태, 화관의 형질 들이 이번 연구에서도 속, 종을 구별하는데 매우 유용한 형질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