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됨에 따라 타각적 굴절검사값, 수차 및 동공크기 등을 이용하여 최적의 안경처방값 을 도출해주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안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고 안구 수술 이력이 없는 근시안(1,000안)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I-Profilerplus(Zeiss, Berlin, Germany)를 사용하여 타각적 굴절이상도(objective-refraction) 및 안구수차(ocular wavefront-aberration), 동공 크기를 측정하였고, 자각적 굴절이상도(subjective-refraction)는 Visuphor500(Zeiss, Berlin, Germany)를 사용하여 구면 굴절력(S, Diopter), 원주 굴절력(C, Diopter), 난시 축(Ax, °)을 측정하였다. 측정 후, 파이썬(Python, version 3.10)을 이용하여 머신러닝 모델 생성 및 예측 성능을 확인하였다. 결과: 자각적 굴절이상도에서 구면 굴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타각적 구면 굴절력, defocus aberration, spherical aberration, trefoil aberration 순으로 높았고, 원주 굴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타각적 원주 굴 절력, defocus aberration, coma aberration, trefoil aberration 순으로 높았으며, 난시 축은 타각적 난시축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력, 난시 축의 자각적 굴절이상도와 머신러닝 예상값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976, 0.948, and 0.349, respectively). 결론 : 자각적 굴절이상도를 예측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생성하였고, 해당 모델의 예측된 값과 자각적 굴절이상 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을 통해 예측 정확도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개인 맞춤형 처방을 위한 정확한 안경처 방값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온라인으로 판매되고 있는 ‘자가 도수조절안경(adjustable-focus eyeglasses)’을 광학적으로 분석하고 착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가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자가 도수조절안경’의 우측렌즈를 광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투영식 렌즈미터 (HLM-1, Huvitz, Korea)를 사용하였다. ‘자가 도수조절안경’의 중첩된 렌즈를 단일렌즈(앞 렌즈, 뒷 렌즈)로 분해하여 각각의 특정 지점과 중첩된 렌즈의 특정 지점의 구면 굴절력, 비점수차, 프리즘 및 기저방향을 측정하였다. 안질환 및 전신질 환이 없고, 굴절 교정수술을 하지 않은 23.58±4.08세, 성인 40명(80안)을 대상으로 ‘자가 도수조절안경’착용 전 후의 원거리 시력검사, 근거리 시력검사, 입체시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자가 도수조절안경’의 단일렌즈는 앞 렌즈의 구면 굴절력이 외측 방향은(–), 내측 방향은(+), 뒷 렌즈의 구면 굴절력이 외측방향은(+), 내측방향은(–)로 도수가 점차 변하는 구조로 나타났다. ‘자가 도수조절안경’의 중첩 된 렌즈의 구면 굴절력, 비점수차, 프리즘 및 기저방향은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자가 도수조절안경’착용 후 시력 및 입체시가 착용 전과 비교했을 때, 모두 저하되었다. 결론 : 온라인으로 판매되고 있는 ‘자가 도수조절안경’은 광학적으로 양호하지 않고 안경사의 처방이 되지 않은 안경이므로 착용자에게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가한다. 따라서 ‘자가 도수조절안경’을 사용하는 건 적합하지 않다.
        4,300원
        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안경광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코로나19와 관련된 안경과 콘택트렌즈의 착용 및 관리에 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자료 중에서 코로나19에 감염 경험이 없는 1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22.52±2.21세로 남자가 49명(41.5%) 이었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코로나19와 관련된 안경 착용(0~1점), 콘택트렌즈 착용(0~1점) 및 관리(0~2점)에 대한 항목으로 총 30문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의 코로나19와 관련된 안경 착용의 지식수준은 평균 0.72점, 콘택트렌즈 착용은 평균 0.89점, 그리고 콘택트렌즈 관리는 평균 1.77점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의 감염관리 수칙으로 ‘안경 착용 전에 올바른 손 씻기’에 ‘그렇다’라고 대답한 경우는 96.6%로 매우 높았으나 ‘안경은 안구의 감염 보호 장비가 아니다’는 44.9%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콘택트렌즈의 관리 수칙을 잘 지키면 건강한 착용자에게 안전하고 좋은 시력교정의 방법이 다’라는 항목에 90.7%의 대상자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세부적인 관리 수칙인 ‘렌즈의 삽입과 제거 전 올바른 손 씻기’, ‘매달 렌즈 케이스의 교체’, ‘질병이 있는 착용자는 잠시 동안 렌즈 착용을 중단한다’라는 항목은 각각 69.5%, 64.4%, 그리고 64.4가 ‘그렇다’라고 응답하였다. 결론: 코로나19와 관련된 안경광학과 대학생의 안경과 콘택트렌즈의 지식수준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인 손 위생 관리 수칙은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그와 대조적으로 세부적이며 전문적인 항목은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안경체인 가맹점주의 만족도가 고객 만족과 고객 수 증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하였다. 방법 : 설문조사는 전국 A 안경체인 가맹점의 가맹점주를 대상으로 자기기입법(self-adminstration method) 으로 응답하도록 하여 결과를 SPSS 18.O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안경체인 가맹점주의 인구사회학적 및 사업 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가맹점주는 남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연령은 40대와 30대가 많았다. 가맹점주 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유통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운영지원과 가격 및 조건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점주들의 만족도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가맹점주 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가격 및 조건에 대한 만족도, 제품 관련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가맹점주의 제품 관련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고객 수가 감소하고, 판매촉진 요인과 가격 및 조건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고객 수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대한민국 비정시 군인의 안경 청구 및 보급체계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군에서 제공되는 비정시 군인용 안경의 청구 및 보급체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비정시 군인 37명을 대상으로 평소 착용하는 일반안경의 굴절력을 기준으로 보급된 파편방호용 및 방독면용 내부 장착 안경의 굴절력과 교정시력을 측정하였다. 원거리 교정시력이 1.0 이하인 대상에게 완전교정을 실시하고 교정시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현 청구 및 보급에 따른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시력관리 전문 인력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결과: 비정시 군인에게 보급되는 안경은 입대할 때 착용한 안경의 굴절력과 동일하게 복제되었다. 37명의 비정시 군인에게 보급된 일반안경, 파편방호용 및 방독면용 내부 장착 안경의 등가구면굴절력은 각각 –3.47±1.69 D, -3.52±1.66 D 및 –3.55±1.63 D였으며 완전교정 등가구면굴절력은 –3.79±1.66 D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일반안경, 파편방호용 및 방독면용 내부 장착 안경에 의한 원거리 고대비 및 저대비 교정시력(logMAR)은 각각 0.06±0.80, 0.21±0.82, 0.15±0.74, 0.34±0.89 및 0.10±0.70, 0.22±0.27이었으며, 완전교정 후에는 각각 0.02±1.05, 0.10±0.07, 0.09±0.92, 0.26±0.10 및 0.04±1.00, 0.19±1.00으로 증가하였다. 일반안경과 방독면 안경의 저대비 시력을 제외하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안경의 청구, 제작 및 보급은 각각 5 단계로 구성되며, 최초 청구로부터 보급까지 약 2주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정시 군인의 안경 보급체계는 1) 굴절검사 체계의 결여, 2) 청구부터 보급까지 소요시간이 길고, 3) 보급 안경의 굴절력이 정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관리 인력의 굴절력 측정에 대한 전문지식의 교육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 안경처방 표준체계의 도입과 시력관리 전문 인력의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노숙인에 대한 안경지원이 시각상태와 시각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7년 1월부터 9월까지 재활 및 자활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노숙인 102명을 대상으로 시력검사를 실시하였고, 안경지원 전후의 시각상태(원거리 및 근거리) 및 시각관련 삶의 질(사회적 기능, 정신건강, 사 회적 역할, 의존성)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최저 및 최고 점수를 각각 0과 100으로 변환하 여 점수가 높을수록 시각상태와 시각관련 삶의 질이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시력은 원거리보다 근거리가 낮았고, 불편한 시각상태는 일의 성취에 제한을 준다는 의 견이 많았으며, 시각상태가 좋을수록 시각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안경지 원의 결과로, 의존성과 사회적 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원거리 시각상태, 근거리 시각상태, 사회적 역할, 정신건강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 노숙인에 대한 안경지원은 시각상태와 시각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므로, 노숙인의 자활 및 자립 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광주광역시 안경사를 대상으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를 활용하여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중요요인을 이원비교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안경사를 대상으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은 일관성 확보를 위해 일관성 비율 0.1 미만일 때 분석하였다. 결 과: 계층화 의사결정방법 분석 결과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Level 2항목 중요도는 상품/서비스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Level 3항목별 중요도는 Level 3(01)은 전문안경사, Level 3(02)는 학교 에서 가까움, Level 3(03)은 홍보(전단지, 신문광고), Level 3(04)는 안경사의 신뢰성, Level 3(05)는 가격 의 적정성이 중요하다고 분석되었다. Level 3항목 우선순위는 안경사의 신뢰성(0.2552)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특정 관리자의 경험에 의존하던 안경원 경영을 좀 더 합리적이고 과학적 방법인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을 적용함으로써 합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안경사의 신뢰성(0.2552)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4,300원
        8.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렌즈의 건열 환경에 따라 코팅 막의 균열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일반적으로 안경렌즈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이 처리되고, 하드코팅 및 반사방지의 코 팅이 되어 있는 굴절력 –2.00 D., 굴절률 1.56, 중심두께 1.20 mm, 렌즈직경 73 mm의 렌즈를 사용하였다. 여름철 야외 주차장의 자동차 실내 평균온도인 70℃와 대중목욕탕 사우나 및 한증막 실내의 평균온도인 9 0℃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전기오븐으로 건열에 의한 70℃와 90℃로 각각 가열시키 후 렌즈를 넣었다. 70℃ 에서는 20분 동안 가열하면서 5분 간격으로, 90℃에서는 9분 동안 가열시키면서 3분 간격으로 지정된 렌즈 를 꺼내어 세극등 현미경(SL-102, Zeiss, Germany)으로 코팅 막의 균열을 관찰하였다. 분광 광도계 (UV-2450,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380 nm~780 nm의 가시광선 범위에 대한 광투과율과 반사율을 측정하여 실험 전후를 비교하였다. 결 과: 70℃에서는 최초 5.1분에서 10분 사이에 코팅 막이 균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5분을 가열하였을 경우에는 코팅 막의 균열이 관찰되지 않았다. 90℃에서는 1분을 가열 하였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간 대에서 코팅 막의 균열이 관찰되어 1.1분에서 3분 사이에 최초로 코팅 막이 균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광투 과율은 코팅 막의 균열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반사율 역시 감소하였다. 결 론: 여름철 주차장의 자동차 내(평균 70℃)에 비치되어 있는 안경과 대중목욕탕의 사우나 한증막 내 (평균 90℃)에서 안경 착용자를 쉽게 볼 수 있는 현실에서 안경 착용자의 관리상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더불어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연구 자료를 통해 안경관리 기준 및 안경 착용자에 대한 홍보와 교육 자료가 필 요하다고 하겠다.
        4,000원
        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광주광역시의 대학교 근처 A, 아파트 근처 B, 주택 근처 C안경원을 대상으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에 의한 분석을 바탕으로 안경원 창업에 따른 우선순위와 중요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원에 직접 방문하여 안경사와 원장님들을 대상으로 토론하여 안경원 경영 하위 항목의 이원 비교를 위해 상대적인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기술경쟁력, 물리적 편의성, 커뮤니케이션요인, 상품/서비스, 가격적 요인의 우선순위 중요도 분석을 위해 일관성 비율 0.1 미만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에 의한 안경원 경영 하위 항목의 우선순위 중요도 결과 대학교 근처 A안경원은 ‘가격적 요인’(0.467), 아파트 근처 B안경원은 ‘물리적 편의성’(0.440), 주택 근처 C안경원은 ‘기술경쟁력’(0.440)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교 근처 A, 아파트 근처 B, 주택 근처 C안경원을 대상으로 안경원 경영 하위 항목의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선정하였다. 우선순위 및 중요도는 AHP에 의하여 평가항목의 관계를 반영하여 측정하였다. 안경원의 창업에 기초적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4,000원
        10.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경의 렌즈색상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주의집중력 변화를 전산화인지기능검사(CNT)와 뇌파측 정을 통하여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대전광역시 W동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4학년 30명을 대상으로 렌즈색상에 따른 주의집중력의 변화 를 알아보기 위해 전산화인지기능 평가도구를 시행하면서 뇌파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색안경을 착용 하지 않은 경우와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검은색 색안경을 착용한 전산화인지기능 평가도구의 주의집중수행도(CPT)와 뇌파의 변화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성별에 따른 주의집중력 및 뇌파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과잉반응수와 스트레스 영역에 서 높게 나타났다. 렌즈색상에 따른 주의집중력 컴퓨터 과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이때 뇌 파 활성도를 비교해본 결과 상대알파와 주의집중력 뇌파에서 안경 미착용에 비해 각 색상이 있는 경우에서 활 성도가 높았으며, 특히 파란색과 검은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색안경 착용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각 4 가지 렌즈 색에 대한 상대알파, 주의집중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안경의 색상에 따라 상대알파와 상대베타, 학습, 주의집중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 라서 작업치료사가 임상에서 주의집중력 결핍아동을 비롯한 인지손상의 주의집중력 훈련을 실시할 때 작업수 행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색상 환경을 고려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