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7년과 2018년 노지고추 재배기간인 6~8월 간 전북 고창, 충남 청양, 충북 괴산지역 노지 고추 포장에서 총채벌레의 종류와 발생현황을 조사하였다. 시기별로 총채벌레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대만총채벌레 (F. intonsa), 파총채벌레 (Thrips tabaci)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들 3종 중 대만총채벌레가 시기별로 가장 발생 밀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우점종으로 보여진다. 총채벌레의 발생은 6월 하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중순에 밀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노지고추에서 총채벌레 방제전략은 6월 상순부터 모니터링하여 밀도증가 이전에 적절한 방제방법을 동원하여야 할 것이다.
        4,000원
        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of temporal and spatial dynamics by establishing a periodical monitoring system for theproper management in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A dataset is including the number of SBPHs by location, collectionmethod [aerial collection net (AeCN) or light trap (LT)] and period (May~Aug.) for five years (2011~2015), and missingvalues were imputed using multiple imputation methods. Of the 15,848 individuals collected, approximately 47% and 52.9%were collected using the AeCN and LT methods, respectively. A high incidence of migratory SBPHs was observed duringJulian days 144-166 using the AeCN method. Generally, the migratory SBPHs from China composed 39.4% of the totalpopulations of SBPHs. These results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predict the incidence period of migratory SBPHsand establish a proactive management system against SBPH.
        8.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답전윤환 옥수수 8품종 및 수수 7품종 재배포장에서 조명나방 발생 및 수확 특성을 조사하였다. 매주 이뤄진 성충 트랩 조사에서 조명나방 밀도는 정식 2주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6월 중순에 최성기에 도달 후 감소하다 9월 초 소폭 증가 후 감소하였다.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주 수와 침입공수를 매주 옥수수 미백2호와 대학찰 그리고 수수 남풍찰과 동안메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학찰과 미백2호에서 피해주가 각 20주당 19주와 18주였고, 주당 침입공수도 6월말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수확기인 7월말에 대학찰은 주당 평균 1.8개, 미백2호는 1.4개로 나타 났다. 수확기에 옥수수 8품종에 대한 피해율과 침입공수를 조사한 결과, 대학찰 94%, 미백2호 92%, 일미찰 71%, 얼룩찰1호 64%, 찰옥4호 54%, 미흑찰 52%, 흑점2호 45%이었다. 주당 침입공수는 일미찰이 1.21개였고 나머지 품종들에서는 1개 미만이었다. 또한 옥수수 각 품종별로 이삭 10개씩 3반복으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이삭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일미찰 50%, 흑진주찰 40%, 대학찰 37%, 미흑찰과 흑점2호 13%, 얼룩찰 7% 그리고 미백2호 3% 등이었다. 수수 주요 재배품종들인 남풍찰 및 동안메는 정식 후 2개월까지 20주 평균 4주 미만으로 피해를 입다가 8월 초 에 피해가 급증하여 평균 피해주는 남풍찰이 13주, 동안메는 9.2주였고 주 당 침입공수도 8월 초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남풍찰은 주당 평균 1.06 개, 동안메는 주당 평균 0.46개였다. 수확기 수수 품종별 조명나방에 의한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DS-202 95%, 목탁수수 76%, 소담찰 75%, 남 풍찰 67%, 앉은뱅이수수 57%, 동안메 46% 그리고 황금찰 34%로 7품종 모두 조명나방에 의해 높은 피해를 입었다. 침입공수 또한 피해율에 비 례해서 DS-202(1.7개), 목탁수수(1.4개), 소담찰(1.3개), 남풍찰(1.1개), 앉은뱅이수수(1개), 동안메(0.5개) 그리고 황금찰(0.4개)로 관찰되었다. 한편, 답전윤환 옥수수 및 수수 포장에서 조명나방 피해와 수확 특성은 인과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답전윤환 옥수수 및 수수 재배포장에서 조명나방의 관리대책을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9.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까지 우리나라 벼 재배에서 sulfonylurea계 제초제들에대한 저항성 잡초로 보고된 잡초들은 간척지 벼 재배지에서물옥잠이 처음으로 확인된 다음 일년생 잡초 10초종, 다년생잡초 4초종이 발생하여 모두 14종이다. 그리고 2009년Acetolactate Synthase 및 Acetyl-CoA Carboxylase 억제제들에 대한 강피가 저항성으로 처음 보고되었다. 저항성 잡초 발생 초창기에는 sulfonylurea계 제초제들에 대한 저항성초종들인 광엽 및 방동사니과 잡초들 중에서 하나의 저항성 잡초 초종이 논에 주로 우점하였으나 현재에는 한 논에 여러 가지 잡초 초종들이 함께 복합적으로 우점하고 있다. 저항성 잡초 생체중 50%를 억제하는 약제 농도(GR50)는 저항성 잡초가 감수성 잡초 보다 훨씬 높았다. Acetyl-CoA Carboxylase 및 AcetolactateSynthase 억제제들에 대한 저항성 강피도 GR50은 감수성 강피 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벼 재배지에서제초제 저항성 잡초들의 우점 원인은 잡초 생태적 및 제초제작용기작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잡초 생태적 측면에서는종자생산량과 생육이 빠른 잡초들이 저항성으로 변이한다. 제초제 작용기작 측면에서 저항성잡초 발생의 주원인은 약효가길고 선택성이 매우 좋은 sulfonylurea계 제초제들의 높은 선호 때문이다. 국내 논에서 sulfonylurea계 제초제들의 사용 비율은 약 96%이다. 벼 직파재배지에서 Acetolactate Synthase 및Acetyl-CoA Carboxylase 억제제들의 계속적 사용은 저항성강피 발생을 가능하게 하였다. Sulfonylurea계 제초제들에 대한 저항성 물옥잠의 acetolactate synthase 활성을 50% 억제하는 제초제 농도인 I50은 감수성 물옥잠에 비해 훨씬 높았는데이것은 흡수 및 이행에 의한 차이보다는 Acetolactate Synthasegene의 돌연변이(mutation)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Acetolactate Synthase gene amino acid 197번째 proline이serine로 치환되었기 때문이다. 저항성 잡초 관리를 위하여 벤조비싸이크론(benzobicyclon) 등은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를 함께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Acetolactate Synthase및 Acetyl-CoA Carboxylase 억제제들에 대한 저항성 강피의관리는 메페나세트(mefenacet) 등이 2.5엽기까지 가능하다. 그리고 우리나라 벼 재배지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들을 방제하는데 적지 않은 난관들이 있다. 첫째, 지금까지 저항성 발생제초제들인 Acetolactate Synthase 및 Acetyl-CoA Carboxylase억제제들의 판매량이 늘고 있기 때문에 저항성 잡초들은 꾸준히 발생하고 번질 것이다. 둘째, 미국 등의 선진국들과 같은연구인력 및 기관이 많이 부족하다.
        4,000원
        10.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ccurrence characterization of oriental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in a paddy-upland rotation field for 8 maize and 7 sorghum varieties was surveyed. In a monitoring study using a pheromone trap carried out from 15 May to 10 September, the density of O. furncalis adults increased rapidly from about 2 weeks after corn planting and reached the highest density at mid June. After that, their density was decreased and increased a little at earlier September. In a survey carried out at harvest period using 8 corn varieties, the damage ratio was Daehakchal (94%), Mibaek 2 (92%), Ilmichal (71%), Eolrukchal 1 (64%), Chalok 4 (54%), Miheukchal (52%), Heugjeom 2 (45%). The number of invasive pore per Ilmichal stem by O. furnacalis larvae was 1.4 and those of the others was less than 1.0. In another survey carried out at harvest period using 7 sorghum varieties, their damage ratios were DS-202 (95%), Moktaksusu (76%), Sodamchal (75%), Nampungchal (67%), Anzunbaengisusu (57%), Donganme (46%), and Hwanggeumchal (34%). The damage of sorghum varieties was much higher and severer than that of corn by O. furnacalis larvae. These results may be useful for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trategy to control oriental corn borer in paddy-upland rotation fields for maize and sorghum.
        11.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and F. intonsa Trybom (Thysanoptera: Thripidae) are polyphagous insect pests on numerous crops. These two species reduce the crop production in two ways: by sucking sap from the plant parts and by serving as vectors for tospoviruses.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previous observation of F. intonsa dominance on certain crops during recent years. Thrips populations were examined on greenhouse strawberry by installing circular yellow sticky cards with black background and on field pepper by destructive sampling of pepper flowers during season of 2012 in Songcheon, Andong. Eighty two to 92% and 3-5% of thrips collected from the both crops were F. intonsa and F. occidentalis respectively. Frankliniella. intonsa was 4-8 times more abundant than F. occidentalis in sticky cards and on pepper flowers. In conclusion, asymmetrical dominance of F. intonsa was found both in strawberry and pepper plant as we found in past on those crops. Underlying reasons such as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climate change were discussed.
        12.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om our previous studies in a farm in Songcheon, Andong where a series of crops was cultivated in 2008 and 2009, occurrence patterns of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Hemiptera: Alydidae) and its egg parasitism by Ooencyrtus nezarae Ishii (Hymenoptera: Encyrtidae) and Gryon japonicum (Ashmead) (Hymenoptera: Scelionidae) were reported. With an objective to verify the trend of the occurrence pattern, a year long monitoring of R. pedestris and its egg parasitism was continued in 2010 in the same location where barley, sesame, and soybean were cultivated in series. We placed four aggregation pheromone traps added with 50 refrigerated eggs of R. pedestris each along the perimeter of the field from 11 April to 31 October. Weekly occurrence patterns of R. pedestris and its parasitism in 2010 were generally similar to the patterns of previous years. Riptortus pedestris population first appeared in the last week of April, peaked after the third week of August, and declined in October. Parasitism by G. japonicum was recorded up to 64% in July, 2010 which was much higher than previous years. This study verifies that G. japonicum is the first colonizer that appears as early as May and remains active until September. Ooencyrtus nezarae, however, starts to occur late from the last week of August and exist in the field until October.
        1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asonal occurrence and suitable time of control of Tetranychus kanzawai along with the control efficacy of the alternative use of natural predator and miticide was investigated in Rubus coreanus (Miquel). T. kanzawai appeared in late May with its peak between June and July, and decreased after August in R. coreanus. In Iksan, T. kanzawai estimates show peaks 2~4 times per year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s from 2006 to 2008 in R. coreanus fields. Suitable time of control of T. kanzawai was in early to mid May. And control effects of T. kanzawai was improved with an alternated control plot, treating miticides in early-occurrence of T. kanzawai and then releasing the natural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Anthias-Henriot). Also, the yields of R. coreanus was highest in the alternated control plot of 638㎏/10a compared to non-treatment of 559㎏/10a.
        4,000원
        1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isting reliability evaluation models which have already developed by the corporations are so various because of us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existing models are very complicated owing to using system designing methods Therefore, it is very d
        4,000원
        15.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egume pod borer, Maruca vitrata (Fabricius) (Lepidoptera: Crambidae) causes serious damage to some legume crops of genus Vigna and Sesbania in Korea. In the current study, laboratory studies on the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the insect were performed at 8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13℃ to 34℃ at 3℃ intervals.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LDT) for eggs, larvae, and pupae were calculated as 10.0, 12.5 and 13.3℃, respectively, using the linear-regression equations of the developmental rates. Degree-days required to complete a stage were estimated as 48, 187, and 94, for egg, larval, and pupal stages, respectively. The larvae couldn't survive at 13 and 16℃, and the larval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at 28℃. The egg hatching rate was the lowest at 13℃. In the adult stage, the pre-oviposition period was the shortest at 22℃, and the total egg number was the most with ca. 500 at 25℃. Degree-days for the stages of 1st-4th larval instars, egg, and adult emergence-50% oviposition were calculated during the reproductive development season of red bean using single sine method and Suwon weather station data based on LDTs, respectively. Finally, the adult occurrence time was estimated after the degree-days were cumulated reversely from the distribution data of larval stages observed in a red bean field
        16.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and damage of stink bugs were monitored at South Korea from 2007 to 2008. A total of 11 stink bug species were observed in paddy field and occurrence periods of stink bugs were significantly differed by species. In occurrence period and damage of stink bug feeding in paddy field, Scotinophara lurida occurred from June, Cletus punctiger, Eysarcoris aeneus, Rhopalus maculatus, Riptortus clavatus, E. ventralis, Stenotus rubrovittatus occurred from August and Pachygrontha antennata, C. schmidti, Trigonotylus caelestialium, Paromius exiguus occurred from September. When we were classified into two region with mountain and plain area cultivated rice, generally C. puntiger population was higher in mountain area than plain area, and E. aeneus was higher in plain area than mountain area. Also, stink bug species were higher in environment condition formed with a paddy field and a waterway overgrown with weeds. Control threshold for E. aeneus in paddy field was 1-2 individuals/heading stage, and then rate of pecky rice made to 5.0% while milk stage, dough stage and yellow ripe stage made to less than 5.0%.
        1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익산지역에서 벼 줄점팔랑나비(Parnara guttata)는 1년에 3세대를 경과하며, 5월중 하순부터 월동처에서 우화하여 논으로 이동한 다음 벼 잎에 산란하기 시작하였다. 유충에 의한 벼의 피해는 7월 하순부터 증가하여 8월 중 하순 사이에 가장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3세대 성충이 우화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9월 중순이었다. 벼의 이망시기와 줄점팔랑나비에 의한 피해는 만식한 논에서 켰다. 살충제를 유충발생 최성기 약 1주일 전인 7월 하순에 처리하였을 때 91.2%의 방제효과를 나타낸 반면 8월 초순에 처리할 경우에는 방제효과가 57.2%로 낮았다.
        3,000원
        1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더덕의 주 재배지인 전라남북도, 경상북도, 경기도, 강원도, 제주도, 울릉도 등 15지역 116개 재배포장을 대상으로 한 식물기생선충의 분포와 피해를 조사하였다. 분포가 확인된 9속의 선충 중 Ditylenchus citri,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 Pratylenchus neglectus, Tylenchorynchus claytoni 등 5종이 동정되었다. 이들 중 M. hapla의 포장검출률이 61.9%로 가장 높았고, Tylenchu spp. 16.1%, Pratylenchus neglecrus 7.8%, Ditylenchus citri 5.1%, Helicotylenchus sp. 5.1%순이었다. 더덕 2년생을 대상으로 한 지역별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는 포장감염률과 감염주율이 각각 67.0%, 60.2%였으며 평균 감수율은 10%였다. 전북지역 더덕 재배지에서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는 재배년수가 길어질수록 많았고, 평야지가 산간지나 중산간지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4,000원
        19.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북지역에서 벼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에 대한 월동처와 본논발생에 대하여 1999년부터 2001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벼먹노린재 월동성충은 월동처에서 6월 상순부터 7월 상순까지 유아등에 포획되었으며, 이동최성기는 6월 하순이었다. 본논에서 각 태별 발생 피크는 월동성충이 7월 중순, 알이 7월 하순, 약충은 8월 중순에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제 1대 성충은 9월 중순에 가장 높은 밀도 피크를 보였다. 월동태는 성충이며, 월동충은 산기슭, 제방, 논뚝에서 발견되었다.
        4,000원
        20.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남지역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소장, 콩 피해 및 약제방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은 콩 파종시기 및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경 파종은 8월 하순에, 6월 중순경 파종은 9월 중순 이었고, 파종기가 동일하더라도 연차간 기상조건에 따른 중 생육상의 차이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최성기 차이가 있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의한 콩 흡즙 피해 면적을이 증가하면 발아율이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특히, 콩 피해면적율이 이상 되면 발아율이 로 매우 낮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약제방제효과는 콩 생육단계중 (착협성기)+ (립비대기)+ (립비대성기)에 3회 처리시 의 방제효과로 가장 높았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