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hrobacter sp. L-3로부터 glucose isomerase의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배지의 탄소원으로는 glucose와 xylose를 혼합해서 공급한 것이 효소 생산성이 가장 높았다.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가 가장 높은 효소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Glucose isomerase의 생산성은 배양시간이 40시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Jar fermentor 배양에서 S. chibaensis J-59로 부터 포도당 이성화효소의 최적 생산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였다. 실험계획은 중심계획합성법을 이용하였고, 3가지 실험요인으로는 공기주입량(vvm), 교반속도(rpm), 포도당의 농도(%)로 선별하였다. 요인실험의 결과로 회귀계수를 산출한 후 반응표면 회귀식을 구하였다. 효소 생산량의 변화에 대한 회귀식의 결정계수(R2)는 0.9776이였고, 분산분석의 F-ratio가 12.487이었으며, 이때 유의성(Prob>F)은 5% 이내로 인정되었다. 능선분석 결과, 효소생산 최대값은 공기주입량 2.227vvm, 교반속도 587.5rpm, glucose 농도 0.586%로 나타났으며 이때 반응표면 회귀식에 의해 추정하는 예상 효소활성은 7.67 단위로 나타났다. Jar fermentor 배양에서의 최적화 회귀식에 따라 1% birchwood xylan, 1.5% CSL, 0.1% , 0.012% , (pH 7.0)로 구성된 배지에 초기 pH를 7.0으로 조정하여 배양 종료까지 7.0을 유지하면서 공기주입량을 2.2vvm, 교반속도를 580rpm, glucose 농도를 0.586%로 하여 에서 42 시간 배양하였을때, 실제 효소생산량은 7.43 단위로 상기 분석법에서 예상한 효소 생산량의 97%에 달하였고, 플라스크배양의 효소생산량 (2.78 GIU/ml)보다 약 2.7배 가량 효소생산이 증가되었다.
Arthrobacter sp. L-3이 생성하는 glucose isomerase를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법으로 2단계 NaCl농도 구배로 용출함으로서 순수분리하였다. 이것이 SDS-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상에서 단일띠를 보임으로서 매우 잘 분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Glucose isomerase의 K_m값과 V_max값이 각각 0.175M, 0.29(㎎/㎖/min)로 얻어졌다. 한편, SDS-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와 Sephadex-G100-50에 의한 gel filtration으로부터 분자량이 각각 42, 000과 180, 000으로 얻어져, 이 효소는 분자량이 42, 500인 4개의 subunit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sweet potato starch-wheat composite flours to study the rheology and baking properties of bread with composite flours and to test sensory characteristics. Doughs were prepared from mixtures containing wheat flour and 10, 20, and 30% of sweet potato starch(SPS). Standard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the rheology and characteristics of wheat composite flou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water absorption, developing time and stability measured by farinograph tended to decrease as SPS contents increased. 2. As the contents of SPS increased, the maximum viscosity of the composite flour by amylograph increased, yet gelatinization temperature was slightly low. 3. In the extensograph, extensibility decreased but the ratio of resistence to extensibilit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ntents of SPS. 4. In the quality scoring of the bread, WF, WF + SPS 10%, WF + SPS 20% and WF SPS 30% were 84, 80, 77, 73, respectively. Specific volume and crumb characteristics of bread became inferior as SPS contents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