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5.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onadosomatic index (GSI), gonad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hormones in plasma level of the indoor cultured grunt (Hapalogenys niten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study from August 2011 to October 2012. The GSI showed similar trends with gonad developmental stages during the culture periods. Changes in plasma level of estradiol-17β of female H. nitens reached the highest value before the spawning period, and seasonal changes in plasma level of estradiol-17β were similar in trends of oocyte developments and GSI changes. Testosterone levels of male H. nitens reached the highest value before and after the spent stage. Ovarian developmental stages of H. nitens could be classified into early growing stage, late growing stage, mature stage, ripe and spawning stage, recovery and resting stage. The testicular developmental stages could be divided into growing stage, mature stage, ripe and spent stage, and recovery and resting stage.
        6.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gonads in chameleon goby, Tridentiger trigonocephalus from the stage of hatching to 100 days after hatching (DAH). Based on histological observation, the primordial germ cells were observed in mesentery between mesonephric duct and gut at 15 DAH (total length, TL: 6.8±0.2 mm). At 20 DAH (TL: 7.9±0.1 mm), the primordial gonad began to protrude into peritoneal cavity and developed between mesonephric duct and gut. Initial ovarian differentiation was identified by the presence of ovarian cavity and oogonia in the gonads at 55 DAH (TL: 21.1±1.3 mm). Testicular differentiation started at 65 DAH (TL: 23.7±0.9 mm) with appearance of spermatogonial cells in the gonad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ex differentiation in T. trigonocephalus occurs earlier in females than males, suggesting that this species can be classified as an undifferentiated gonochorist.
        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ffects of sex maturation in olive flounder by regulating long photoperiod, gonadal development and GTH mRNA expression in the pituitary were investigated. Photoperiod was treated natural photoperiod and long photoperiod (15L:9D) conditions from September 2011 to March 2012. Th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photoperiodic group showed a higher gonadosomatic index (GSI) than long photoperiodic group during the spawning season (March 2012). The histological analysis of ovarian tissue showed that natural photoperiod group of ovaries contained vitellogenic oocytes, but long photoperiod group of ovaries mainly contained perinucleolus staged oocyte and oil-drop staged oocytes. The FSH mRNA of olive flounder, under natural photoperio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express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under long photoperiod group. The LHβ mRNA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expression only under natural photoperiod group.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long photoperiodic information regulates secretion of pituitary FSH and LH and maintain early growing stage of gonadal development in this species.
        8.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Aplysia kurodai inhabiting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were investigated based on monthly changes of gonadosomatic index, gametogenesis, and developmental phases of ovotestis. A. kurodai was simultaneous hermaphrodite; the ovotestis generally embedded in the posterior dorsal surface of the brownish digestive gland. The ovotestis is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follicles, and both oocytes and sperm are produced in the same follicles. In the sampling periods, the adult A. kurodai population have characteristic of seasonal pattern present during only 10 months. The reproductive cycle can be grouped into the following successive stages in the ovary: inactive (December to February), active (December to April), mature and spawning (April to September). The gonadal development of A. kurodai coincided with rising temperature, and spawning occurred from April to September, when the temperature was high. The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he ovotestis suggested that this species have a single spawning season that extend over six months.
        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 옹포와 법환 연안에 서식하는 분홍성게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4년 12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채집된 개체를 대상으로 생식소중량지수(GSI)의 월별 변화, 월별 생식소 발달 단계를 조사하였다. 옹포와 법환 지역에 서식하는 분홍성게의 생식소중량지수의 월별 변화는 유사하였다. 암컷은 옹포와 법환 모두 12월에 각각 17.8± 4.04, 13.8±1.51로 최고값을 보였고, 수컷도 옹포와 법환 모두 12월에 각각 15.4±1.53, 13.6±1.32로 최고값을 나타냈다. 주 산란은 옹포와 법환 수온과 일장 주기가 감소하는 11월~2월에 일어났다. 생식소의 조직학적 관찰 결과, 제주도 옹포와 법환 연안에 서식하는 분홍성게의 암ㆍ수 배우자세포 발달 양상은 동시 발달형이고, 년 1회의 산란시기를 갖은 것으로 생각된다.
        10.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의 성분화 과정을 밝히기 위해 부화 직후부터 250일령까지 생식소의 분화 및 발달을 조사하였다. 원시생식세포는 부화 후 1일(전장: 6.63~6.95 ㎜)에 나타났으며, 부화 후 5일(7.50~9.36 ㎜)에 생식융기를 형성하는 원시생식소 구조를 나타내었다. 부화 후 25일(11.58~13.21 ㎜)에서는 생식소 후단부 한쪽 끝에서 신장된 체세포 돌기가 생식소와 융합되어 작은 난소강이 형성되었다. 부화 후 30일(12.19~13.72 ㎜)에는 생식소 하단부에 정소관 원기가 출현하여 정소의 분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후 50일째 자어(16.28~17.06 ㎜)의 난소내에서는 주변인기 난모세포로 채워지기 시작하였으며, 정소내에서는 정원세포(spermatogonia, SG)의 활발한 증식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부화 후 250일째 자어(35.49~51.12 ㎜)에서는 난소의 크기가 더욱 커지고 난모세포들로 가득 채워져 있었고, 정원세포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상의 결과 눈동자개의 성분화 양상은 자웅이체형 중 분화형이었다.
        11.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무므불가사리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2003년 1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경상남도 고성 연안 해역에서 채집된 개체들을 대상으로 생식소 숙도지수 (GSI)의 월별변화, 생식소 발달과정 및 생식소 발달 단계별 난경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식소숙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암컷과 수컷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암컷은 , 수컷은 의 값으로 3월에 연중 최대값을 가지다가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GSI의 월별 변화와 생식소 발달의 조직학적 관찰을
        1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제주도산 해가리비(Amusium japonicum japonicum)를 대상으로 생식주기, 생식소중량지수(GSI), 난경조성 변화, 군성숙도, 성적 성숙체장(50% 군성숙도) 및 성비를 조직학적 관찰 및 생체 측정에 의해 조사하였다. 해가리비는 자웅이체이다. 생식소 중량지수(GSI)의 월별 변화는 생식주기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완숙 난모세포들은 직경이 약 정도이며, 두터운 난막을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산란기는 11월부터 1월 사이이며,
        13.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웅성 선숙형 해산 어류인 감성돔에게 를 경구 투여하여 성스테로이드인 testosterone(T), 및 cortisol 수준의 변화와 생식소 발달을 조사하였다. 외인성 는 사육 60일째 감성돔의 혈장 T의 수준을 유의하게 상승시켰으나, 혈장 및 난모세포의 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처리는 생식소 내 정소 발달과 정자 형성과정을 촉진시켰으며, 정자 방출 기간을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를 처리한 실험구에서 60일째에 혈장 cortisol 수준
        14.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동해남부해역의 수하식 우렁쉥이 양식장에서 양식되고 있는 2년산 우렁쉥이, Halocynrhia roretzi의 생식세포 및 생식소 발달과 성숙 조사를 위하여 1996년 5월부터 1997년 4월에 걸쳐 조사되었다. 우렁쉥이는 자웅동체형으로 난생이었다. 난소는 체벽에 평행하게 붙어 좌측에 6~8개, 우측에 8~10개의 가는 생식수관을 가진 구조이며, 정소는 난소 사이에 불규칙 한 많은 낭상 구조를 가진 복합 생식소이었다. 난원세포는 직경이 11.
        16.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us의 성분화 과정을 밝히기 위해 부화 직후부터 365일령까지 생식소의 분화 및 발달을 조사하였다. 원시생식세포와 생식융기는 부화 후 30일령(전장: 11.7~13.2 mm)에 나타났으며,40일령 자어(12.5~14.0 mm)에서 서로 융합되어 미분화 생식소를 형성하였다. 60일령 치어(23.6~27.0 mm)에서는 생식소 양쪽 끝의 체세포조직이 분열ㆍ신장되어 난소의 분화가 개시되었고, 80일령 치어(33.1~
        17.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화 후부터 평균전장 0.64 cm를 나타내는 부화 후 150일까지의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를 대상으로 초기생식소 발달과 성분화를 조사하였다. 시언생식세포는 평균전장 0.64cm 자어에서 뚜렷이 나타나\ulcorner. 평균전장 1.91 cm자어에서 시원생식세포는 복강으로돌출되었으며, 평균전장 2.29 cm 자어에서 시원생식세포는 감수분열 난모세포로 전환되었고, 난소로의 분화가 최초 확인되엇따. 평균전장 5.96 cm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