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호텔은 곤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구조 물로서 정원이나 텃밭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유형, 재료, 설치 방식 등에 따른 곤충 유입 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족하며, 국가 또는 지역에 따른 곤충의 종류와 생육환 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곤충호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구체적 인 식생유형 및 재료에 따른 유입 곤충 특성을 확인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곤충호텔 설치 및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세 가지 식생유형(초지, 침엽수 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식생의 조사구에 두 가지 재료(참나무, 잣나무)를 활용한 곤충호텔을 설치하였다. 조사는 2년동안(2022~2023) 진행되었으며, 매년 4~9월까지 주 1회 씩(총 48회) 곤충호텔의 유입 곤충을 직접 채집하였다. 곤충호 텔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9목 46과 129종 3,057개체로, 2022 년에는 7목 34과 85종 1,750개체, 2023년에는 8목 35과 77종 1,307개체가 출현하였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1차년도에 유입 된 곤충의 개체수가 2차년도 보다 약 1.3배 많았고, 재료의 부식 에 따른 곤충의 구성도 달라졌다. 식생유형에 따라 구분하면 기간에 상관없이 활엽수림에서 유입 곤충이 가장 많았고, 침엽 수림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구분에서는 참나무가 잣나무보다 유입 곤충이 많았다. 참나무의 경우 유입 곤충의 연도별 차이가 적은 반면, 잣나무는 1년차에 비해 2년차에 약 2.3배 줄었다. 상관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곤충의 유입 특성은 식생유형보다는 재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식생유형만 비교했을 경우 초지에 비해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유사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물 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곤 충호텔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초지나 활엽수림에 참나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잣나무 재료를 이용한다면 1년 주기로 재료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특정 재료를 선호 하는 곤충의 기주특이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전시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곤충호텔 모델 개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4,300원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insect diversity within the distinct coastal grassland and mountain habitats of East Busa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objective is to gather foundational data that will inform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s and contribute to policy formulation. Employing a comprehensive collection approach, we utilized trapping nets, pitfall traps, and flying insect traps to capture a broad spectrum of insect species. The investigation identified a rich diversity of 132 species across 9 orders and 52 families. Coleoptera emerged as the most prevalent order with 13 families and 41 species, followed by Diptera with 8 families and 24 species, and Lepidoptera with 9 families and 21 species. To assess the bio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se communities by habitat type, we applied several biodiversity indices: the Shannon-Wiener index (H'), Margalef index (R), and Pielou evenness index. Coastal grasslands exhibited an H' of 3.153, R of 11.08, and a Pielou evenness of 0.371; coastal mountains showed an H' of 2.922, R of 13.02, and a Pielou evenness of 0.202. These metrics reveal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versity and evenness between the two habitats. The endangered Copris tripartitus was notably observed in coastal grasslands, alongside 20 species classified as Least Concern (LC) in the National Red List across both habitat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iodiversity and evenness levels across coastal grassland and mountain areas highlights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both habitats in supporting a diverse insect fauna. The detection of endangered and LC species within these areas emphasizes the critical need for ongoing monitoring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onservation strategies tailored to protect Busan's coastal ecosystem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conducting periodic surveys to monitor faunal changes and inform conservation efforts actively. By ensuring the continued protection of insect diversity, these efforts will play a pivotal role in maintaining the ecological integrity of coastal areas, thereby supporting broader environmental conservation objectives.
        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derstanding the landscapes and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landscapes can help us understand the entire natural ecosystems and biodiversity. Landscape ecology has been studied since the past. however, many studies are conducted on single landscapes, and comparative studies between landscapes are few. We compared insect species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within a single plant community across landscapes and habitat. Additionally, identify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diversity. Our results showed that above-ground and below-ground insect communiti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Additionally, species diversity was high below-ground in all landscapes. Insect community structures across landscapes did not differ in above-ground. However, below-ground, the urban was differentiated from the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We identified the urbanization indices GMIS and PHBASE as factors responsible for these difference.
        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hanges of insect compositions and diversity after construction of an onshore wind farm. We investigated insect fauna and compositions between a grassland deforested by the construction and a forest located at Yeongdeok and Yeongyang, Gyeongsangbuk-do, Korea. Insects were collected using a sweeping net and light trap. A total of 11 orders, 50 families, and 246 species, and 1,076 individuals were collected at study sites. By taxonomic group, Lepidoptera species were the most frequently found with 141 species, 417 individuals (38.8%), followed by Hymenoptera (20.6%), Hemiptera (16.2%), and Orthoptera (12.3%).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sect species and community compositions between sites. Creating open-field deforested forests are beneficial for some insect groups such as Hymenoptera and Orthoptera. Our results suggest that deforesting by the construction of an onshore wind farm might affect th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insects.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 on onshore wind farms.
        4,500원
        7.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법곤충학은 사체에 유인되는 곤충을 통하여 현장재구성을 목표로 하는 학문으로, 국내연구는 주로 돼지와 닭 등의 사체를 이용하여 연구되 고 있다. 이에 기존에 연구된 돼지와 비교하여 털의 밀도와 길이의 조건이 다른 고라니의 사체를 활용하여 시식성 곤충상을 알아보고 특이점이 나 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라니 사체는 전남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에서 분양 받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021년 5월 19일부터 2021년 7월 2일까지 약 6주간 사체의 부패진행단계를 관찰하고 각 단계별로 사체에 접근하여 활동하는 곤충을 위주로 채집하였다. 총 4목 21과 51종의 곤충이 확인되었으며 금파리, 연두금파리, 큰검정뺨금파리, 큰검정파리, 검정송장벌레, 꼬마검정송장벌레 등이 가장 많이 채집 되어 시식성 지표종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사체가 완전히 부패한 후 기타 곤충의 활동이 확인되지 않는 단계에서도 수시렁이, 거저리등의 곤충이 고라니 사체의 털과 가죽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채집되어 파리목 외에 딱정벌레목의 곤충들이 모질을 보유한 사체의 부패에 관 하여 법곤충학적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국립공원은 자연공원법에 의거하여 5년에 1번씩 자연자원의 조사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3기 자연자원조사 (2010~2018)로 수행된 21개 국립공원의 곤충다양성을 분석하여, 각 국립공원별 곤충 다양성 및 국가 생물다양성 대비 전체 국립공원의 곤충다양성을 분석하고, 각 분류군별로 채집되지 못한 소분류군에 대해 분석과 법정보호종에 대한 분석도 함께 수행하였다. 본 3기 자연자원조사를 통해 밝혀진 전체 국립공원의 곤충 종 다양성은 21목 356과 5,584종으로 국가곤충생물다양성 17,848종의 약 31.3%에 해당한다. 분류군별로는 나비목이 2,195종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뒤를 이어 딱정벌레목(1,495종), 벌목(712종) 노린재목(515종) 등의 순이었다. 국립공원별로는 오대산이 1,963종으로 가장 많은 종 수가 조사되었고, 그 다음으로 소백산 1,551종, 한려해상 1,321종, 가야산 1,282종, 주왕산 1,265종, 다도해해상 1,264종, 월악산 1,251 종, 지리산 1,240종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법정보호종은 멸종위기종 Ⅰ급 3종, 멸종위기종 Ⅱ급 11종, 기후변화지표종 12종, 고유종 139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532종이 확인되었다.
        4,300원
        1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황색점착트랩의 설치각도에 따른 고설재배 딸기의 주요 해충종들의 부착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직, 수평 앞면 및 뒷면, 45도 앞면 및 뒷면 등으로 달리 트랩을 설치하여 점착트랩내의 부착위치를 조사하고, 각 트랩에 포획된 곤충종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설치각도에 따른 점착트랩 내의 포획 위치는 진딧물류와 총채벌레류가 유사하게 모든 각도에서 상부에서 유살수가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직, 45도 윗면 트랩에서 종수와 총포획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각 처리별 Shannon 지수의 차이는 없었다. 45도 윗면 트랩에서만 Shimpson 지수가 높게 나타나 소수 종에 집중된 포획양상을 보였으며 모든 트랩에서 공통적으로 초파리와 총채벌레류가 우점하여 포획되었으나 총포획수가 적은 45도 아랫면 트랩의 경우 이들 우점종의 검출도가 낮았다.
        1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forest ecosystem, trees are important components among many life forms, supporting biodiversity. This biodiversity is found not only in living trees but also in dead trees, where they provide rich environment for dead wood-associated organisms. Among saproxylic invertebrates, insects play pivotal roles in dead wood ecosystem and comprise of a huge proportion of diversity. In this study, we categorize Quercus dead wood into three decay classes, and seek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saproxylic insect assemblages and different decay classes. Using emergence traps, we examine how many insect species and individuals appear in each decay class, and how insect assemblages change across the full range of decompositional stages of Quercus dead wood. This will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taining various dead wood to conserve saproxylic biodiversity.
        1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지점은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에 위치한 왕사봉(300m)의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으로 주변에 계류가 흐르고 있으며, 소규모 산지와 저수지가 다수 위치해 있다. 또한 인근에 운주계곡 캠핑장이 위치해 있어 인위적 간섭이 잦은 지역이다. 그러므로 산림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곤충 중 하나인 딱정벌레목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으로는 직접찾기, 버킷트랩, 함정트랩 을 이용하였으며, 2015년 6월에서 10월까지 매달 1회 채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24과 70속 88종 417개체의 딱정벌레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중 붉은칠납작먼지벌레의 우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비교 대상들 간의 우점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우점도 지수(DI)는 0.434, 군집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다양도 지수(H’)는 3.105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군집 내 종조성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내는 종균등도 지수(EI)가 0.693이며 단위 지역에 존재하는 종의 수를 뜻하는 종풍부도 지수(RI)가 14.42로 확인되었다.
        1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s and a biosafety guide for insect-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rice at a LMO (Living Modified Organism) isolation field. In the LMO quarantine area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e species diversities and population densities of non-target insects found on insect-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rice (Bt-T) resistant to Cnaphalocrocis medinalis and on non-GM rices (Dongjin-byeo and Ilmi-byeo) were investigated. The Bt-T event was therefore evaluated under field conditions to detect possible impacts on the above ground insects and spiders. The study compared transgenic rice and two non-GM reference rices, Dongjinbyeo and Ilmi-byeo, at Gunwi in Southern Korea in 2016 and 2017. A total of 9,552 individuals from 51 families and 11 orders were collected from the LMO isolation field. In the three types of rice fields, a total of 3,042 individuals from the Bt-T, 3,213 individuals from the Dongjin-byeo, and 3,297 individuals from the Ilmi-byeo were collected,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opulation densities of the non-target insect pests, natural enemies and other insects on the Bt-T and non-GM rices. The data of insect species population densities were subjected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hich not distinguished among the three varieties, GM and non-GM, reference cultivar in all cultivation years. However, PCA results were clearly separated the samples based on the cultivation yea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sect species diversities and population densities during plants cultivation are determined by environmental factors (growing condition and seasons) rather than by genetic factors.
        1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published 'The Compilation of National List of Indigenous Insect Species ofthe Korean Peninsula' in 1996 including 11,853 species.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originallycompiled the national species list of insects to establish a national inventory of endemic biological assets with the joinedefforts from all distinguished Korean taxonomists since 2008. For the convenience of taxonomists participating in theproject concurrently, the NIBR has developed the NIBR inventory description method and inventory system from 2008to 2017. Until September 2017 in this study, the NIBR has established the national insect inventory of 17,493 speciesincluding Collembola. The insect fauna of the Korean Peninsula comprises 579 families from 30 orders. The largest ordersare Coleoptera (114 families, 4,489 species), Lepidoptera (72 families, 3,868 species), Hymenoptera (63 families, 3,581species), Hemiptera (88 families, 2,102 species) and Diptera (79 families, 2,128 species). The fractions of the main insectorders in the fauna of the Korean peninsula correspond to those in the Holarctic temperate zone.
        1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embers of the genus Flavivirus are noteworthy, as they cause infectious diseases in humans, such as Zika, denguefever, yellow fever, West Nile, and Japanese encephalitis. Due to the increased awareness of the public health risk posedby flavivirus-infected mosquitoes, mosquito collections were performed in six urban parks of South Korea, as the parksare designated for human recreation but also provide suitable habitats for mosquitoes. We examined the diversity andabundance of mosquito species and conducted molecular diagnostics for the detection of flavivirus infections. Monthlycollections were carried out in each park from March to August in 2017. A total of 4,851 mosquitoes (5 genera and13 species) were collected using BG-sentinel traps and then investigated for flavivirus infections. Pathogenic flavivirusinfections causing human diseases were not observed in the field-collected mosquitoes. However, insect-specific flavivirus(ISF) infections were detected in several mosquito pools. ISF has been previously known to enhance or suppress the replicationof medically important flaviviruses in co-infected mosquito cells. In this study, partial sequences of ISF were analyzed.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determine its genetic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function in vivo.
        2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남 습지대(6.02 km 2 ) 곤충상의 다양도, 우점도, 풍부도 등을 습지대 내 3곳의 습지에서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육안조사와 쓸어잡기 는 2010년, 말레이즈 트랩 조사는 2011년, 유아등 조사와 함정트랩 조사는 2012년에 실시하였다. 총 14目 141科 574種의 9,269 개체 (딱정벌레목 36.3%, 나비목 21.3%, 잠자리목 13.9%)가 조사되었다. 種數로 비교해 보면, 나비목이 31.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딱정벌레목(28.0%) 노린 재목(12.9%) 순이었다. 우점종(총 조사개체에 대한 각 종의 개체수 비율)은 애넓적물땡땡이(Enochrus simulans, 7.9%), 꼬마줄물방개(Hydaticus grammicus, 4.3%), 일본잎벌레(Galerucella nipponensis, 4.1%), 연물명나방(Elophila interruptalis, 3.1%), 양봉꿀벌(Apis mellifera, 2.2%) 순이었 다. 세 곳의 습지에서 조사된 딱정벌레목, 나비목, 잠자리목 곤충의 수는 매우 많았지만 세 습지 간에 차이는 없었다. 주남 습지대의 곤충다양도(H’), 풍부도(RI)는 각각 5.04, 59.10이었다.
        4,2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