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search intended to conduct literary research on ‘Jeok’ of 25 jong-ga through Jong-ga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nd Food, published by the Cul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uring 2003~2008, and compared and analyzed an arranging method and recipe transmission process by directly visiting four Jong-ga. Religious ceremony foods of Jong-ga could be divid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hakpa attribute (large), regional attribute (midium), and family attribute (small), which forms a complex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attributes. ‘Jeok’ arranging form is divided into ‘3-Jeok building method (vertical structure)’, ‘3-Jeok arrangement method (horizontal structure)’, ‘3- Jeok replacement method’, ‘2-Jeok arrangement method’, ‘Jeon-Jeok arrangement method’, and ‘Others-Jeok arrangement method’. Generally, ‘jeok’ arrangement order per hakpa is in the order of ‘meat jeok - chicken jeok - fish jeok’ in case of Gihohakpa, whereas Yeongnamhakpa is in the order of ‘fish jeok - meat jeok - chicken jeok’. Umoringye (羽毛 鱗介), the method of laying ‘dojeok’ of the Gyeongbuk region, could be found in the 2nd century B.C. Chinese ancient book Hoenamja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Yin and yang philosophy (陰陽論).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securing advanced results compared to advanced research that has so far concentrated on some regions and hakpas.
이 글은 선조 말·광해군기의 주요 시인 가운데 한 사람인 許摘의 시 창작의 기저와 심미적 특질을 고찰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삼당파의다음 세대에 해당하는 수색은, 古詩가 주류적 형식으로 자리잡아가던 시기의 변화의 국면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다. 그는 漢魏古詩라는 전범에 대한 고려와 함께, 저속한 氣習에 염오되지 않는 - `一氣`, `元氣`로 표현되고 있는 - 주체 내면의 강한 역량의 배양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작품 내적으로 `시적 자아의 문제`, `주체와 대상의 거리감`과 관련하여 독특한 심미성의 유발로 이어진다. 우선 출사 초기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특징으로, 시적 자아의 부각과 시적 대상에 대한 정평한 긴장의 지속 또는 부분적민 시 의식의 과도성과 관련한 `勁悍의 美感`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의 형성에는 典故나 故事의 點化가 기여하는 측면도 있었다. 다음으로, 특히 광해군 중후반기 大北勢力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두는 시기를 중심으로 한 특성으로,시인은 객관적 인식·관찰의 거리의 유지를 통해 대상 사물의 眞情과 生動을 적출해 내고 있으며, 역사 현장의 대면에 있어서는 이러한 거리의 확보가 역사적 사실에의 회고와 그 이월적 의미 파악에 이어짐으로써 沈響함·肅然함의 미감으로 變泰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 특히 철저히 자기 삶의 권역과 그 횡적인 연속인 역사현장으로 향하는 시선과 그곳을 바탕으로 한 미감의 창출은, 동시기의 다른 인식 지점에 있던 酉人圈 문사들의 것과의 대비를 통한 통합적인 연구로 확대할 예정이다.
본 논문은 국내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 추출물의 항산화 능 및 항균활성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각 하수오의 열수, 에탄올, 부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일반성분 을 분석한 후, 항산화능에 대해서는 총 페놀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에 대해서는 Staphylococcus aureus 및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최소생육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및 생육저해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적하수오 및 백하수 오 부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각각 1,212.6 및 1,454.5 mg/g GAE로 다른 유기용매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 은 함량을 보였다. 이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열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89.0%), 부탄올 추출물 (88.9%)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MIC 측정 결과, 적·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만이 0.8 mg/mL로 S. aureus와 P. acne에 대해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디스크 확산법 측정 결과, 모든 유기용매 추출물이 5 mg/disc 농도 부터 생육저해환을 형성하였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육저해환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의 조사균주에 대한 생육저해완의 직경은 10 mg/mL 농도에서 각각 8.9 및 9.2 mm를 나타내, 추출물 중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하수오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 건강과 관련된 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여줌으로써, 하수오 추출물이 피부 건강을 위한 천연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chemical species, contained or dissolved in the sediments and porewater, were studied from the submarine environments around Deok-Jeok Island, Yellow Sea. Th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are predominantly composed of medium to coarse sands, and consequently of very low organic carbon (0.003% - 0.26% dry weight sediments). As opposed to the strong enrichment of porewater with nutrients and heavy metals in the ordinarily muddy, organic-rich sediments, the porewater enrichment is not intense in this sandy, organic-poor sediments; porewater phosphate is enriched to the maximum of only seven (average two) times over that in the bottom water. Concentrations of the heavy metals dissolved in porewater show a bit greater enrichment than the nutrient: Zn shows the lowest enrichment (7 times that of the bottom water) and Mn the highest (450 times that of tie bottom water). However, these enrichments of the chemical species in porewater arc the natural consequences of decomposition of the organic matter in sediments, and still fall short in the magnitude of those in the muddy, organic-rich sediments. Mining of the sands in the study area may pose a threat to the seawater quality as it causes a large scale porewater discharge to the bottom water. The additional supply of the nutrients by this discharge may develop an eutrophic state and, in consequence, an excessive nutrification of the water column. Since the residence times of the nutrients are much longer than those of the heavy metals, a long-term monitoring of the concentration changes in the porewater nutrients is very important to assess the potential deterioration of the seawater associated with the sand mining in the study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