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ion(Allium cepa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ps to the fresh vegetable spices and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in Korea. To evaluate genetic variation in onion, major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flowering day, harvest day, brix and so on. Phenolic compound compositions were analyzed for 44 accessions. Accessions in white color was about 92% which is the largest one followed by standard criteria. The sweetness of juice ranged from 6.1 to 19.3(in brix), and Brix range of 117 accessions was from 10.1 to 14.0.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was used to identify the phenolic profile and quantify phenolic content in bulbs: quercetin, quercetin 7, 4’-diglucoside, quercetin 3-glucoside and quercetin 4’-glucoside were detected as major components. The total Quercetin and Quercetin glycoside content ranged between 123.59 and 1155.84 mg/100mg bulb freeze dried weight. The quercetin contents was up to 16.7mg/100g, and 7.41mg/100g in averag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breeding more competitive species with respect to contents in functional chemicals.
        2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dicinal soybean, which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cancer, heart disease, osteoporosis, and renal failure, is drawing people’s attention among other beans in recent days. This experiment was to examine the concentr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isoflavone in 53 kinds of soybeans cultivated and collected in Yeo-Ju, Gyeonggi-do region. The total average content of phenol is 29424.34㎍/g and the most and least phenol were detected in No. 35(814.98㎍/g) and No. 28(353.66㎍/g) respectively. Myricetin was detected the most resveratrol whereas detected the least amount which was less than 0.2% of the total amount among all medicinal soybean samples. Total average isoflavone content was 35910.56㎍/g and the most and least isoflavone was detected in No. 15 (996.66 ㎍/g ) and No.9 (476.18㎍/g )respectively . Malonylgenistin was detecteded the most genistein whereas detected the least amount which was less than 0.02 % of the total amount in all medicinal soybean sample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s considered to be the basic data of the functional food manufacturing by utilizing domestic medicinal soybean.
        25.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 아파트의 발코니와 빌딩옥상에서 상추, 래디시, 미니배추 등의 채소를 재배하여 비타민 C와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을 재배장소별로 비교하였다. 아파트의 남향 발코니에서 재배한 채소는 외부 환경에 노출된 옥상 재배와 비슷한 생육정도를 보였으나, 일조량이 부족한 동향 발코니 재배 채소는 크기는 작으나 조직이 연해 샐러드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향 발코니에서 30일 재배한 상추와 래디시의 비타민 C 함량은 각각 18.0 mg%과 27.9 mg%로서, 동향 발코니와 옥상 재배 채소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활성은 옥상재배 채소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코니에서 재배한 채소는 수확 후 바로 섭취함으로서 저장 및 유통에 따른 항산화물질의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발코니 공간은 봄부터 가을철 까지 다양한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채소밭으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시 아파트의 발코니에서 기능성 식용식물을 재배한다면 관상효과와 더불어 매일 신선한 무공해 채소를 공급하게 될 것이며, 본 연구 결과는 발코니 채소밭 보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9.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원료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인삼의 기내배양에 의하여 생산된 캘루스 및 모상근으로부터 인삼사포닌, 지방산, 산상다당체, 페놀성화합물 및 유기산함량을 조사하였다. 인삼사포닌의 경우에는 캘루스에 비해 모상근에서 훨씬 많았으며 모상근 세포주간에는 약 10mg/g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포화지방산은 인삼 캘루스에서 높은 반면 모상근의 경우에는 불포화지방산이 오히려 많거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인삼 캘루스에서는 palmitic acid가 많이 존재하였으며, 인삼 모상근의 경우에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가 캘루스의 5배 이상 많은 검출되었다. 산성 다당체와 페놀성화합물은 기내 배양한 인삼 캘루스 조직에서는 거의 동량으로 존재하였으나, 인삼 모상근의 경우에는 세포주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HR-2같은 경우에는 산성 다당체보다는 페놀화합물이 2.26%로 산성 다당체보다 2배 이상 많이 존재하였는데 반하여, HR-3 인삼 모상근의 경우에는 산성 다당체가 1.64%로 페놀화합물보다 4배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삼 모상근세포주와 캘루스의 유기산은 모상근 세포주가 34.64 mg으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0.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 분포하고 있는 82종의 약용식물에 대하여 환경내성 및 기능성 소재의 개발을 위한 탐색을 위하여 항산화효소와 관련된 첫 번째 방어기작인 SOD 효소활성과 Phenol 화합물의 함량정도를 검정하여 본 결과 SOD 효소활성은 원지 (P. tenuifolia Willd.), 백편두 (D. lablab L.), 백개자 (S. alba L.), 대황 (R. palmatum L.), 감초 (G. uralensis Fisch), 연자육 (N. nucifera Gaertn), 지황 [R. glutinosa (Gaertner) Liboshitz], 현삼 (S. buergeriana Miq.), 인진 (A. capillaris Thb.)등에서 다른 약용작물보다 비교적 높은 SOD 효소 활성 능력을 나타냈다. Total phenol함량은 (3~249.731 μg/g)의 범위를 보였으며 지유(S. officinalis L.), 대황 (R. palmatum L.), 복분자 (R. chingii Hu)에서 각각 249.731 μg/g, 209.546 μg/g, 170.333 μ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16종의 phenol 화합물의 경우에서는 82종의 약용식물이 각기 매우 상이한 농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소 및 phenol 화합물이 많이 함유하여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된 약용식물에 대해 그들의 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henol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는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화장품, 천연 보존재 및 의약품 등으로 개발 (Cook & Samman, 1996)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31.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investigate low molecular antioxidants synthesized by enhanced UV-B radiation, we used the seedlings of two rice varieties. Woonjangbyeo, UV-tolerant, and Hwajoongbyeo, UV-susceptible, were subjected under supplemental UV-B irradiation. When rice seedlings were irradiated with UV light for short period, biosynthesis of total phenolic compound, ascorbate and glutathione were momently reduced. With an increase of UV-B radiation, however, those were slightly synthesized. The content of lipid peroxides in UV-challenged rice leaves was considerably increased after 12 hrs of UV-B treatment. Lipoxygenase activity under supplemental UV-B radiation was differently responded on rice varieties.
        32.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odium ion and pH on toxicity of dinitrophenol at high concentrations (0.41 to 0.54 mM), over a sodium concentration range of 0.1 mM to 107 mM and over a pH range of 5 to 9. The concentration of sodium ions in the activated sludge mixed liquor seemed to have very little effect on dinitrophenol toxicity. However, lack of sodium in the growth media resulted in a reduction of the dinitrophenol degradation rate by bacterial isolate from the activated sludge culture, which has been identified as Nocardia asteroides. Dinitrophenol inhibition was found to be strongly dependent on mixed liquor pH. The dinitrophenol degradation rate was highest in the pH range of 6.95 to 7.84; at pH 5.94 degradation of 75 mg/L dinitrophenol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t pH < 5.77, dinitrophenol degradation was completely inhibited after approximately 30% of the dinitrophenol was degraded.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