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풋살장의 효율적인 운영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속성이 고 객만족 및 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했다. 따라서 국내 풋살장을 이용한 사람들을 표본으로 선정했으며, 편의표본 추출방법을 활용했다. 최종분석은 271부의 자료를 활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했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내 풋살장 선택속성은 서비스, 편의성, 가격, 시설 순으로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 향이 있었다. 둘째, 고객만족이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셋째, 선택속성은 시설, 서비스, 편의성, 가격 순으로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국내 풋살장들은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풋살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동계스포츠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이 재미요인 및 참여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연구로서 총 326개의 설문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SPSS PC/Program(Version 27.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성취목표성향, 재미요인, 참여만족의 통계적 영향을 검증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성향이 재미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자아목표성향, 과제목표성향이 재미요인 하위요인 운동능력, 운동효용, 친목도모, 자기만족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자아목표성향, 과제목표성향이 참여만족 의 하위요인 시설, 비용, 강습, 대인관계 및 건강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 미요인의 하위요인 운동능력, 운동효용, 친목도모, 자기만족이 참여만족 하위요인 시설, 비용, 강습, 대인관 계 및 건강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수상스포츠 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 및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수상스포츠 시설을 경험한 사람들 중 20대 이상 참여자를 표본으로 선정했다. 조사는 2022년 4월 25일부터 7월 15일까지 비대면으로 실시했 으며, 총 243부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이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해 빈도분 석,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내적일관성, 상관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첫째, 수상스포츠 시설 서비스스케이프가 편리성, 공감성, 시설환경 순으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쨰, 수상스포츠 시설 고객만족이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상스포 츠 시설 서비스스케이프가 시설환경, 서비스, 편의성, 공감성 순으로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는 학부모들이 인식하는 태권도장의 선택속성을 중심으로 만족도 및 지속적 참여의도 간의 영향력을 규명하여 차별화된 선택속성에 의한 경쟁력 강화와 효율적인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했다. 따라서 수도권에 위치한 태권도장에 등록해 자녀가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부모들을 표본으로 선정해 2021년 2월 1일부터 26일까지 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386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했다. 자료 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내적일관성, 상관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첫째, 태권도장의 선택속성은 시설 및 환경, 지도자, 가격, 프로그램 순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쨰, 태권도장의 만족도는 지속적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장의 선택속성은 접근성, 시설 및 환경, 지도자, 프로그램 순 으로 지속적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진학 사교육 참여배경, 서비스품질, 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 인들이 사교육비용 및 지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진로·진학 사교육의 전망을 탐색하고, 진로·진학 사교육이 불가피하다면, 비용을 절감하면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 색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5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AS 9.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진로·진학 사교육은 사교육업체가 경영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하는 시 장적 논리, 입시정책의 변화에 발맞추어 진학을 준비하고 미래의 이익을 추구하는 학생들의 대응, 공교육에서 진로·진학 지도의 미흡함이 연계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진로·진학 사교육은 기업(기업의 이익추구 마케팅), 가계(학생/학부모 의 자구책 마련), 정부(공교육의 공공재로써 평등성 가치추구)가 각 주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가운데 발생되고, 이와 관련 된 여건이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진로·진학 사교육은 서비스품질 및 만족도가 보통 이상이고, 서비스품질에 대한 확신성이 낮고, 진로선택 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비용이 높아진다. 이는 진로·진학 사 교육이 품질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진로·진학 사교육의 지속성은 여학생, 대 부분의 고등학교 학생, 소득이 높은 가정의 학생, 참여배경(공교육 미흡, 입시정책 대응, 사교육마케팅)이 그 수준을 높이 고 있다. 결론적으로 진로·진학 사교육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그 비용을 절감하고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교 육업체, 정부, 학부모의 노력이 요구된다.
노인의 사회활동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강조되고 있으며 노인의 사회활동을 통해 갖 는 효과성과 만족도는 정부에 대한 복지의식으로 귀결됨을 알아봄으로써 노인의 사회활 동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복지의식의 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60세 이상 노인 45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 여만족도가 높을수록 복지의식의 정책평가는 높은 것으로 참여효과가 높을수록 복지의 식의 성장과 분배는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에 따른 참여 만족도는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미약하지만 참여효과는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노인은 지역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사회적 역 할에 대한 인식을 고양하고 삶의 만족도를 증진함으로써 성공적 노후에 이바지하고 다 양한 분야에서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 노인의 역할을 강화하고 복지정책과 제도 및 수 행기관의 다각도의 연구와 변화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및 공동체의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의 2018년도 자료 중 고등학생 3,410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및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자아 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았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청소년활동 만족도와 참여정도에 영향을 받아 청소년활동 만족도가 높고 청소년활동 참여정도가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높게 나타나청소년활동 만족도 및 참여정도는 청소년 주관적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정책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노년기에 접어든 노인들의 사회참여 활동이 사회적 지지와 적응유연성을 매개로 생활만족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사회 참여활동을 독립변인으로, 생활만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사회적 지지와 적응유연성을 생활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인식하여 구조적인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여가활동, 경제활동, 자원봉사활동)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여가활동, 경제활동, 자원봉사활동)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여가활동, 경제활동, 자원봉사활동)은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는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의 적응유연성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여가활동, 경제활동,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를 나타났지만 경제활동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는 매개 효과를 나타나지 못하였다. 일곱째,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여가활동, 경제활동,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적응유연성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범국민적 여행분위기 조성과 여름철 집중된 국내 관광수요 분산 등을 위해 2014년부터 ‘여행주 간’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공원공단에서도 2018년부터 ‘여행주간’ 동안 전국 국립공원에서 자연을 주제로 한 볼거리·즐길거리를 제공하는 국민 참여형 저지대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정책으로 시행되고 있는 ‘여행주간’ 동안 국립공원에서 진행되었던 ‘국립공원 봄 여행주간 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와 재참여의향에 대한 인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전국의 총 18개 국립공원에서 진행된 ‘2019년 국립공원 봄 주간 프로그램’에 참여한 탐방객 1,28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가자의 ‘국립공원 봄 주간 프로그램’ 사전 인지 여부에 따른 만족도 및 재참여의향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립공원 방문 전 프로그램을 인지한 참가자의 만족도와 재참여의향은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던 참가자 보다 만족도와 재참여의향 모두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국립공원 유형별로 살펴보면, ‘해상·해안형 국립공원’과 ‘사적형 국립공원’ 이 ‘도시형 국립공원’ 보다 만족도와 재참여의향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유형별로 살펴보면, 참가자의 만족도는 ‘전시회’, ‘홍보부스’, ‘캠페인’ 보다 ‘문화공연’과 ‘탐방체험’ 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값이 높았 고, 재참여의향은 ‘전시회’, ‘홍보부스’ 형태 보다 ‘문화공연’과 ‘탐방체험’에서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향후 국립공원 여름 성수기 외에도 봄과 가을 탐방객 수 증가에 대응한 탐방서비스 개선을 위한 탐방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목적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2018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도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자료 53부를 제외한 197부를 유효표본으로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스포츠 활동 참여동기 요인 중 내적동기는 심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생리적 만족 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외적동기는 사회적만족, 휴식적 만족 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무동기는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 교육적 만족, 휴식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충주 조정아카데미 참여동기와 만족 및 지속의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조정체험아카데미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2017년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총 2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자료 29부를 제외한 201부를 유효 표본으로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과 IBM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정체험아카데미의 참여동기 요인 중 건강지향, 가정지향, 사교지향, 여가지향 등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정체험아카데미 만족은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Introduction
This paper’s goal is to assess the effect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on perceived e-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 Greek e-shops. The author builds on and expands previous efforts by investigating customer participation us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developed by Yi and Gong (2013) with the goal of dwelling deeper in the effects of individual dimensions of customer participation (i.e.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sharing and responsible behavior) on consumers’ perceptions. The findings show that one of the three dimension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namely responsible behavior, positively affects both perceived service quality as well as customer satisfaction, while information seeking affects only e-service quality and information sharing does not affect any of the two dependent variables.
Theoretical development
The author, in agreement with the service-dominant view proposed by Vargo and Lusch (2004; 2008), emphasizes the notion that the customers of a provided service are not just simple recipients of a final product, but also co-creators in its production process. Research on customer participation, has revealed its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quality (Cermak et al., 1994) and satisfaction (Yang et al., 2017), while in some cases studies pointed out when this relationship does not hold, as well as investigate moderators affecting it (Yim et at., 2012). There have been studies that support the positive effect that aspects of customer participation have on customer satisfaction (Dong et al., 2015; Yim et al., 2012; Chan et al., 2010; Kellogg et al., 1997)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Dong et al., 2015). At the same tim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prob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services from self-service technologies, where a high level of customer/user activity and low provider activity is required (Wünderlich et al., 2013), which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customers’ role in attaining value co-creation. According to Yi and Gong (2013) customer value co-creation behavior comprises two dimensions;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focuses on customer behavior that is necessary for value co-creation, namely on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since it is this that is usually manifest in the context of the interaction of customers with an e-shop. In accordance with the terminology utilized by Kelley et al. (1990), this study focuses on customer technical quality- as expressed by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sharing and responsible behavior, according to Yi and Gong (2013)- since interaction with an e-shop is usually standardised and does not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s and employees.
Research design
To check the hypotheses formulated in this study, the services offered by e-shops in Greece were examined and assessed. What drew attention on the e-commerce and e-shopping sector, was the fact that through the long lasting economic crisis in Greece, it was one of the few that managed to flourish. A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a sample of 335 adults, customers of 125 Greek e-shops.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namely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sharing and responsible behavior) was measured using Yi and Gong’s (2013) multidimensional and hierarchical scale that consists of 11 items, rated on a seven-point Likert format. E-service quality was measured through the use of a one-item scale developed expressly for this purpose by Lee and Lin (2005), who also used a one-item scale to measure customer satisfaction.
Result and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supported the propositions that customer information seeking and customer responsible behavior enhance perceived service quality, while at the same time customer responsible behavior increases customer satisfaction. Claims that customer information seeking, or customer information sharing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could not find any support, as did the proposition that customer information sharing enhances perceived service quality.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sight when it comes to designing an on-line store in a way that it would enhance the customers’ perceptions on the attained service quality,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on their satisfaction. In order to succeed, enterprises should develop organisational socialisation (Kelley et al., 1990; Kelley et al., 1992) in such an extent, that it would establish a climate of trust that will lead customers to assume a responsible behavior towards the e-shop.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이 이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이용자욕구 및 과 제가 무엇인가를 고찰함으로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본래 목적인 장애인의 자립생활 증진과 향후 장애 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장애인활동지원기관 5곳을 선정하여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212부였고 자료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이용자만족도가 높 게 나타났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의 하위요인 중에서 이용자권리인식수준이 제공기관서비스수준보 다 이용자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사회활동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참여활동이 많을수록 이용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 스의 질과 이용자만족도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므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을 제 고하는 것이 필요하며,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권리인식수준을 제고하는 전략이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과 이용자만족도 사이에서 매개효 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효과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사회활동참 여를 강화시키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inseparability, one of service specific characteristics, often makes it necessary and possible for customers to participate in service production and delivery process as partial employees or contributors. As customer participation may enhance or degrade the quality of services and customers’ satisfaction, many researchers have paid much attention to the concept of customer participation. Analogous to the typical classification of service employee behaviors, previous research typically categorized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into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and citizenship behaviors. Furthermore, past research showed that both types of customer behaviors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However, the many criteria past research has used to classify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lack conceptual rigor and generalizability beyond the specific types of services for which the criteria have been developed. The lack of conceptual rigor and consistency in classification criteria caused much confusion and incongruencies in empirical findings reported in the current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literature, depending on which specific criteria the researcher choose and on the specific type of service studied. Thu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classification system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which is solid and generalizable to many types of services. This study proposes a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ategorizes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depending on 1) whether a customer behavior is essential and indispensable in the service production process and/or not and 2) whether a customer behavior is conducted voluntarily or upon requests by service employees. Based on the two criteria, the proposed system identifies five type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five type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affect the two dimensions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 outcome quality and process quality (Grönroos1984) and customers’ satisfaction with service experiences. Data for this study a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adult Korean consumer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creasing the level of each of the five type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affects perceived service outcome quality, perceived service process quality, and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ve impact of each type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varies by the types of participating customer’s personality and depending on whether a service is outcome-oriented or process-oriented type. Finally, the actual impact of each type of participation behaviors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varies according to what customers expect when they perform the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ort participation trends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 activities.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information had gathered from
This research aims on providing necessary data to quality development of Internet sports association by studying participating motive, level, supervisor, and life satisfaction of Internet sports association with functions as a new place of sports that cou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ural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in Geumsan. The projects were conducted in three villages of Geumsan in 2018 and total 96 residents had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they usually have interests in community activities and actively particip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ticipation, not demographic factors. It is interesting that active interaction among residents during the projects and satisfaction on process are important factor for overall project satisfaction. For successful rural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nd support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mong residents. In addition, more various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foster residents’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