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22

        4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브로콜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과 저온(5℃이하), 고 온(50℃이상)의 보관 조건을 통해 화장품 제조 시 나타날 수 있는 온도 변화에 따른 항산화력 변화를 비교 해보고, 브로콜리 추출물 5%가 함유된 크림을 제조하여 화장품의 제형 안정성, 변색 및 변취, pH, 1차 첩 포 테스트를 통해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에 대해 확인하고 하였다. 실험 결과, 브로콜리 추출물 1%의 농도 에서 95.5%의 높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온도 변화에 따른 보관 조건에도 항산화력 은 높에 유지되는 것을 확인되었다. 브로콜리 추출물 5% 함유된 크림에서도 제형의 안정성, 변색 및 변취, pH, 1차 첩포 테스트 모두 안전성과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들을 통해 브로콜리 추출 물의 높은 항산화 활성과 온도 변화에 따른 항산화력 유지력을 통해 피부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가능 한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4,000원
        4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건 화장품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소비자의 환경 및 윤리적 가치 지향이 강화되고 있지 만, 이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소비자의 가치 인식과 환경 동기, 그리고 지각된 장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300명의 비건화장품 사용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 상으로 PLS-SEM 분석을 진행한 결과, 금전적 가치, 사회적 가치, 브랜드 가치, 감정적 가치, 품질 가치, 그리고 환경 지식이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절 효과 분석에서는 이미지 장벽과 가치 장벽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성능 지도 분석을 통해, 감정적 가치가 비건 화장품의 구 매의도를 강화하는 전략적 결정에 중요한 핵심 요인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비건 화장품 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소비 태도 활성화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기여를 제공한다.
        4,300원
        43.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장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잘 자생한다. 호장근은 호장의 뿌리로 항염증과 진경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유효성분으로 emodin을 포함하고 있다. 피부의 표피는 자극, 해로운 물질을 차단하고 수분 증발을 방지함으로써 체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 서는 호장근과 그 유효성분인 emodin이 피부 장벽과 보습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 저 호장근은 ABTS+ radicals을 우수하게 제거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실 시간 중합연쇄효소반응을 통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filaggrin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 한 결과, 호장근과 emodin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filaggrin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호장근과 emodin은 히알루론산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AS-2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 타났다. 종합적으로, emo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장근은 피부 장벽 강화와 보습능 증강을 위한 기 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300원
        44.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황련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가 피부 장벽 강화와 보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 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황련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를 22명의 피험자에게 4주간 사용하게 한 후 지정 한 상박 부위의 경피 수분 손실량(g/m²h)과 수분량(A.U.)을 측정하였다. Vapometer를 이용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사용 전 14.82±4.01에서 4주 사용 후 11.08±2.55로 나타났고 유의 확률은 p<0.001로 25.27%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Corneometer로 측정한 피부 수분량은 사용 전 31.73±8.09에 서 사용 후 46.73±7.45로 나타났고 유의 확률은 p<0.001로 47.26% 증가하였으며 설문을 통한 효능평 가에서 피부 이상 반응 없이 두 항목 모두 100%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황련 에센 스는 피부 장벽 강화와 보습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향후 황련 추출물의 다양한 활성을 이 용한 화장품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5.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이후 색조화장품 시장의 소비자들의 온라인 관심 정보에 대한 자료 수집 을 통하여 색조화장품 정보 검색의 특성과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에 나타난 코로나 이후 색조화장품 시 장의 주요 관심정보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색조화장품” 이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뉴스, 블로그, 카페, 웹페이지 등의 모든 문서들을 분석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색조화장품에 대한 온라인 정보 검색은 주로 구매 정보와 피부와 마스크 관련 화장법 등에 관한 정보 와 관심 브랜드와 행사 정보 등의 주요 토픽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코로나 이후 색조화장품 구매자들은 적극적인 온라인 정보 검색을 통하여 제품 가치와 안전성, 가격 혜택, 매장 정보 등의 구매 정 보에 더욱 민감하게 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4,000원
        46.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위험지각이 대학생들의 화장품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을 통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하여 요인을 추출하 고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요인별 상관관계와 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지 320부를 표본으로 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이 높을수록 감염의 두려움, 생활의 변화, 경제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시적 구매, 상표 습관적 구매, 합리적 구매 성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의 변화가 많을수록 경제적 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으며, 상표 습관 적 구매, 합리적 구매 행동이 높아졌다. 감염의 두려움은 상표 습관적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고, 감염의 두려움과 생활의 변화는 합리적 구매 행동에 영향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47.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SNS 계정으로 화장품 브랜드를 구독하고 있는 10대에서 50대 남녀의 지각된 연령을 기준으로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관계가 구매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 조 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1.0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지각된 연령을 타인이 지각한 연령과 스스로 지각한 연령의 차이에 따라 ‘지각된 저집단’, ‘지각된 중집단’, ‘지각된 고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은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구매동기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구매동기 중에 서도 ‘매력적’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세 집단은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 계는 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만족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수로 나 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론은 지각된 연령집단별,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구매동기와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화장품 구매동기 와 만족도에 주요한 변수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SNS에서 지각된 연령이 화장품 브랜드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에 따라, 화장품 판매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 및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5,200원
        48.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smetic certification marks on consumer behavior. The underlying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hreefold. First, it explores whether the certification mark inserted into the cosmetic package—such as marks denoting quality assurances, ethical practices (specifically, pertaining to animal testing), and recycling packaging—affects consumer responses. Second, it investigates whether a higher number of certification marks leads to heightened positive consumer responses. Third, it analyzes the potential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certification mark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rtification marks and consumer responses. In the pretest, certification marks with higher recognition were selected as stimuli, and a survey involving a total of 550 male and female consumers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OVA and post-hoc tes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responses to products based on the certification marks inserted in the cosmetic packaging. Compared to clusters without a certification mark, groups with two or more certifications (recycling certification + ethics certification, recycling certification + quality certification, recycling certification + ethics certification + quality certification) exhibit significant consumer responses. Second, more certification marks did not result in an increase in positive consumer responses. Third, a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cosmetic certification knowledge on the certification mark-consumer response relationship was not fou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oduct promotion strategies that leverage cosmetic certification marks as a marketing tool.
        5,800원
        49.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련(Coptis Japonica)의 뿌리로 제조한 황련 추출물 화장품이 민감한 피부에도 안전한지 검 증하기 위해 민감성 피부를 대상으로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젖산 자상 검사 결과 민감성 피부 로 판정한 총 32명의 시험대상자에게 황련 추출물을 2% 배합한 가용화 에센스를 시험대상자 등 부위에 20 ㎕ 취하여 24 h 동안 폐쇄 첩포한 후 이를 제거하고 30 min과 24 h 후의 시험 부위를 피부과 전문 의가 육안으로 관찰하여 피부 자극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육안으로 이상 반응이 확인되지 않았고 자극 지수가 총 0점으로 나타나 황련 추출물 2%를 배합한 화장품이 민감한 피부에 안전한 것을 확인하 였다. 다수의 황련 연구에서 항균, 항산화, 항염 등의 활성이 밝혀지고 화장품 소재로 이용 가능성이 보 고되고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황련 추출물 화장품이 민감한 피부에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황련 화장품의 무자극 또는 저자극의 소재연구에서 본 연구가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0.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커피 부산물을 이용하여 대체실험동물 모델인 제브라피쉬 배아 독성 및 미백 효능에 대한 실험 을 진행하였다. 커피 부산물 추출물을 처리한 배아 독성 실험의 결과 24, 48, 72hpf에서 125ppm 농도에서 는 각각 3, 3, 5%로 응고율을 나타냈다. 배아의 부화율은 최고 농도인 125ppm에서 73%를 나타냈다. 제브 라피쉬 치어의 심장 박동수 실험에서 72hpf 후 심박수가 125ppm 농도에서 153회/60s’로 확인되었다. 음 성대조군은 148회/60s’으로 대조군의 비해 심박수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낮은 독성을 나타냈다. 또한 미백효능을 평가한 결과 커피 부산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멜라닌 형성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천연 유래 부산물 소재가 화장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하며, 천 연 부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연구 예시로서 화장품 산업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
        5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시엽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항산화와 인 간섬유아세포인 CCD-986sk 세포에서의 항주름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자공여능 측정,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시엽은 1,000 μg/ml 농도에서 대조군인 ascorbic acid 와 농도 의존적으로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 Collagenase 저해 활성 측 정을 통해 항주름 효과를 확인한 결과, 시엽은 1,000 μg/ml 농도에서 대조군인 epigallocatechin gallate 와 농도 의존적으로 유사한 항주름 효과를 나타내었다. UVB로 유도된 CCD-986sk 세포 내 pro-collagen type I의 합성률과 MMP-1의 저해률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인 EGCG는 20 μg/ml에서 90.2%, 시엽은 30 μg/ml에서 88.5%의 pro-collagen 합성률을 보였다. 또한 EGCG 20 μg/ml와 시엽 30 μg/ml에서 각각 33.0%, 40.8%의 MMP-1 저해율을 확인하였다. Western blot을 통하여 시엽의 pro-collagen type I과 MMP-1의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UVB 단독군 대비 시엽을 함께 처리했 을 때 pro-collagen type I의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하고 MMP-1의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 인하였다. 위 실험결과에 따라 시엽이 UVB 자극에 의한 광노화를 예방하고 항산화, 항주름 효과가 있음 을 확인하여 화장품의 천연물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4,500원
        52.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머위에탄올추출물 (PJE)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UVB로 유도된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를 통해 피부장벽과 염증 개선에 대한 활성을 알아보 고자 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Hydrogen peroxide 소거능 측정 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1 mg/ml 농도에서 대조군인 ascorbic acid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 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UVB로 유도된 HaCaT 세포의 filaggrin과 aquaporin-3의 생성능의 mRNA의 발현을 확인해본 결과, UVB 자극에 의해 줄어든 발현량이 머위 추출물 처리 시, 농도 의존적 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NF-α와 IL-1β의 mRNA 발현은 UVB 자극에 의해 증가되었으 며 머위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gration assay 결과 농도 의존적 으로 피부 각질세포의 증식과 상처의 회복율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머위가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의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54.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리신은 누에고치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많은 건강상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누에고치에서 유래된 세리신 표준품의 항주름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리신의 항산화 효과는 DPPH 및 ABTS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또한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에서 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으며, lipoplyscaccharide를 이용하여 유도된 염증반응을 이용하여 세리신의 항 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세리신은 DPPH, ABTS에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은 1,000 μg/mL의 농도에서 NO를 억제하였다. 종합하여 세리신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항노화 및 항 염증 화장품의 우수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55.
        2023.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뷰티미용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적양배추 잎의 열수와 80% EtOH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과 단백질 비 구성 아미노산 유도체의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였다. 열수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은 총 14종이 분리되었고, 총 38.37 mg/g 이었으며, 이중 proline이 24.6 mg/g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은 6종이 분리되 었고, 총 함량은 3.66 mg/g 이었으며, 이중 valine이 1.59 mg/g으로 가장 많았다. 80% EtOH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은 총 13종이 분리되었고, 총 17.92 mg/g 이었 으며, 이중 proline이 10.96 mg/g으로 가장 많았다. 필수 아미노산은 5종이 분리 되었고, 총 함량은 1.50 mg/g 이었으며, 이중 valine이 0.56 mg/g으로 가장 많았 다. 또한 열수 추출물의 비 구성 단백질 아미노산 유도체는 총 4종이 분리되었고, 총 1.59 mg/g 이었으며, 이중 ɤ-Aminobutyric acid가 0.99 mg/g으로 가장 많았 다. 80% EtOH 추출물의 경우, 총 2종이 분리되었고, 총 1.66 mg/g 이었으며, 이 중 ammonia가 0.96 mg/g으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적 양배추 잎의 열수와 80% EtOH 추출물은 피부와 헤어관리 등의 미용 기능성화장 품 소재로도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이의 결과는 이 분야 연 구에 따른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56.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복합추출물(익모초, 어성초, 진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식·의약품, 화장품 등의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복합추출물은 열수 추출하였으며, 세포독성, 항산화, 항염증, MAPKs 등의 평가는 ELISA 및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35.53±0.48 ㎎ GAE/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18±0.16 ㎎ QE/g으로 나타났으며, DPPH 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은 400 ㎍/㎖ 농도까지 100% 이상의 생존율이 나타났으며, NO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복합추출 물은 MAPKs(ERK, JNK, p38)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추출물이 산화 적 손상 및 염증에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식·의약품, 화장품용 복합소재의 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57.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Weizmannia coagulans KK7(KCTC19023P) 균주를 이용하여 당근(Daucus carota var. sativa) 잎 추출물의 발효를 실시하고 얻은 생산물의 항염증 활성 및 성 분변화를 확인하였다. 발효에 의한 당근 잎 추출물의 성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 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발효 전과 비교하였을 때 발효 후에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루테올린 (luteolin)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근 잎 추출물과 발효 당근 잎 추출물의 항 염 활성은 LPS에서 염증을 유발한 RAW 264.7 세포에서 NO (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로 확인하였 다. 발효 당근 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당근 잎 추출물 처리군에 비해 NO 생성이 상대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 당근 잎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O 생성 억제 효과도 유의적으로 증 가 하였다. Western blot을 통해 염증반응에서 NO 생합성과 관련된 효소 iNOS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발 효 당근 잎 추출물에서 단백질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 로부터 미생물 발효를 통해 당근 잎의 항염 효과가 증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식품으로 거 의 이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당근 잎이 발효를 통해 새로운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 한다.
        4,000원
        58.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측정을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은 70% 에탄올로 추출하 였고, TEAC assay를 이용한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Neutral red assay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 DCF-DA를 통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 소거활성이 확인되었으며, positive control(양성대조군)로 이용한 trolox와 0.1 mg/mL 농도에서는 유사한 radical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CFDA를 통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B16F10 melanoma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α-MSH로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은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9.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O2O 화장품 배달 서비스 앱의 e-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 총 210부를 수집하여 통계패키지 SPSS 25.0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O2O 화장품 배 달 서비스 앱 e-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인 효율성, 주문이행성, 시스템이용가능성, 프라이버시 모두 만족과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 역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2O 화장품 배달 서비스 앱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만족과 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이용가능성과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소비자가 O2O 화장품 배달 서비 스 앱을 이용하는 동안 빠른 접속과 끊김이 없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야 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 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4,000원
        60.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제 용액에서 1,3-Butanediol, 1,2-Pentanediol, 1,2 Hexanediol 들이 cmc, 표면장력, 기포력 및 유화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다.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diol의 첨가는 cmc와 표면장력 저하를 초래 하였으며 기포력 및 유화력은 향상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diol의 사슬길 이가 길수록 현저 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diol의 알킬사슬과 계면활성제 분자간에 소수성 상호작용이 물 분자간의 응집력을 감소시키고, 계면에서 계면활성제 headgroup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때문이다. 또 한 각 diol의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MIC 측정을 수행 하였으며 방부력은 1,2-HDO > 1,2-PDO > 1,3-BDO 순서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diol들이 화장품에서 보조 계면활성제와 방부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 시켜 주웠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