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order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set net grounds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oceanographic observations on the fishing grounds were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of Yeosu Fisheries University from Jun. 1988 to Dec. 1990. The resulte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ater mass in the fishing grounds were divided into the inner water (29.50-31.00‰), the mixed water (31.10-32.70‰) and the offshore water (32.70-34.30‰)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alinity from T-S diagram plotted all salinity data observed from Jun. 1988 to Dec. 1990. In spring the mixing water prevailed and in summer the inner and mixing water. But in autumn and winter the mixing and offshore waters prevailed. 2) The inner water which was formed by land water from the river of Somjin and the precipitation in the Yeosu district flowed southerly along the coast of Dolsando and spread south-easterly in the vicinity of Kumodo. The inner water and offshore water which supplied from the vicinity of Sorido and Yokchido formed the thermal front and halofront. 3) As the mixing water flowing from the western sea of Cheju to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low in temperature, the water mass of low temperature which appeared at the offshore bottom of Sorido in summer was considered not to be the Tsushima warm current. 4) As vertical mixing was made frequently in spring, autumn and winter, the differences in temperature and salinity between surface and bottom was respectively small. In summer, however, the mixing was not made because of the inner water expanded offshore through the space between surface and 10m layer and so a thermocline of 2.0℃/10m and halocline of 4.0‰/10m respectively in vertical gradient was formed. 5) In the vicinity of Dolsando and Kum a water low in salinity prevailed, but in the vicinity of Namhaedo and YoKchido the reverse took place. The inner and mixing waters formed at these arease was limited to the observation area not to spread widely.
국제경영학과 정치학의 만남은 매우 흥미로운 분야이며, 이는 정치적 위험에 대한 연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약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치적 위험의 기존 방법의 문제점인 보편타당성과 편승효과를 극복할 수 있는 구조적ㆍ질적 방법을 소개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적용방법의 타당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중국의 정치환경을 사례로 분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델파이분석에 의거하여 향후 5~10년에 걸친 중국의 정치 및 정책변화의 가능성과 변화 발생시기를 예측하였으며, 텔파이분석 결과를 교차영향력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변화요인 상호간의 관련성을 추정하였다. 교차영향력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함으로써 중국의 정치환경변화의 대안을 마련하였으며, 중국 정치환경변화의 대응전략을 탐색하기 위하여 면접조사를 시행하였다. 델파이방법, 교차 영향력분석과 시나리오 작성법을 체계적ㆍ순차적으로 일관성있게 적용한 것이 본 연구의 특색이라 하겠다.
최근 대일 무역업개방에 즈음하여 개방의 시기와 그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그 논의의 촛점은 한국종합상사와 일본 종합상사의 경쟁력 비교로 모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종합상사와 일본종합상사의 한국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종합상사에 대한 기존의 정의를 연구목적에 알맞게 수정하여 제시하고 둘째, 산업의 규제경쟁력 평가모형을 수정해서 종합상사의 국제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을 설정하고 한국시장에서 기업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종합상사와 쇼오고쇼사의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에근거하여 한ㆍ일 종합상사 사이의 경쟁력의 차이를 결론으로 도출하고 한국종합상사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제안을 언급하였다. 한ㆍ일 종합상사의 경쟁력비교 평가결과 일본상사 서울지점의 경우 단계별 시장개방과 자본자유화를 고려하더라도 경쟁력 평가요소 가운데서 경영환경과 정치가 및 행정관료 요소를 제외한 7개 요소에서 한국종합상사에 비해 경쟁적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평가에 근거할 때 대일 무역업개방에 대비하여 한국종합상사의 경쟁력제고를 위한 정부, 기업의 역할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솔껍질깍지벌레 성충의 탈피(우화 : eclosin) 및 우화후의 탈출 (emergence)습성이 실내조건에서 조사되었다. 수컷성충의 탈피는 일종 특정한 시간에 국한되지 않으며 갓 탈히한 성충은 실온에서 정지성충(pre-emergence adult)으로 0.5~2.5일 경화후 고치로부터 탈출하였다. 대부분의 수컷성충은 일조후 1시간 이내에 탈출하였으며 이러한 탈출현상은 광도가 높은 경우 더욱 빨리 진행되었다. 암텃성충은 우화후 곧 탈피장소에서 이동하며 대부분 일조후 3시간이내에 우화하였다. 수컷이 우화후 고치속에 일정기간 정치하여 있는 것은 갓 우화한 성충의 생리적 성숙을 돕고 또한 번식활동을 일중 특정한 시간에 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원격측정에 의한 어군의 탐지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기존 net recorder를 4개의 진동자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비임 시스템으로 바꾸어, 이들을 직선배열과 평면배열하여 어군탐지범위의 확대폭과 어군의 위치측정에 대한 원격제어 실험을 행하고 그 유용성을 검토.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선배열에 의한 표적의 탐지범위는 수심과 진동자 간격의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4개의 진동자를 배열하면 4배까지 확대할 수 있었다. 2. 진동자를 직선배열하여 정치망입구에서 어군을 관측한 결과 길그물에 아주 가까운 2.5~3.5m의 수층으로 많이 입망되었으며, 창그물에 가까운 3.5~4.5m의 수층으로도 어느 정도 입망되었다. 3. 표적의 실제위치와 진동자의 평면배열에 의하여 구한 위치오차는 표적의 수심이 1m, 1.5m, 2m일 때 각각 5.9~27.1cm, 3.2~28.9cm, 3.5~25.8cm였으며, 68.3% 확률원의 반경은 각각 14.6cm, 17.7cm, 17cm였다. 4. 평면배열에 의하여 헛통에서 어군의 행동을 관측한 결과 조류의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거슬러 유영하면서 자루그물에 입망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직선 및 평면배열에 의한 어군, 수온, 해저 등과 같은 수중정보는 1,800m까지 원격측정이 가능하였으며, 본 실험의 경우 발신기의 수심이 3m이상이면 어느 곳에서라도 원격측정이 가능하였다.
적분방식에 의한 어군량추정법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수조에서 50 kHz와 200 kHz의 주파수를 대상으로 모의어군의 분포밀도와 초음파산란강도의 관계를 검토하고, 또 계량어군탐지기의 정도를 개선하기 위한 문제들에 대하여 고찰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체의 모의표적으로 이용한 steel ball (직영 35mm)의 실측 echo 파형은 이론 echo 파형과 잘 일치하였다. 2. 5 종류의 주파수에 대하여 고등어 (체장 36cm)의 반사주파수특성을 조사한 결과, 측정주파수가 변화함에 따라 어체에 의한 echo 신호의 진폭과 파형이 크게 변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송수파기의 음속 내에서 5개/m 상(3)와 30개/m 상(3)의 표적 군이 서로 상하로 존재할 때, 상부 표적군의 존재에 의해 하부 표적군의 echo level이 -0.43 dB 감쇠하는, 소위 그늘효과(shadowing effect)가 발생하였다. 4. 동지나해에서 정박 중에 탐지한 고밀도 어군의 echo신호와 그 어군직하의 해저에서 산란된 echo 신호를 상호 연관시켜 분석한 결과, 어군층내에서 발생한 어군감쇠와 다중산란효과가 해저 echo 신호의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 정치망의 원통에 인망한 정어리의 단위체적당에 대한 분포밀도가 36마리/m 상(3)였을 때, 해저기녹이 소실되는 어군감쇠현상과, 어군 echo 신호가 해저까지 신장되는 다중산란현상이 동시에 발생하였다. 6. 50kHz와 200kHz의 주파수에서 표적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dB)와 표적의 분포밀도(σ:개/m 상(3))의 간에 다음의 회귀직선식을 얻었다. 50kHz : =-46.2+13.7 Log(σ). 200kHz : =-43.9+13.4 Log(σ). 7. 표적의 분포밀도가 5, 10, 15, 20, 25, 30 개/m 상(3)였을 때, 적분방식에 의한 추정치는 50kHz에서 2.0, 8.1, 9.9, 14.1, 19.2, 26.7 개/m 상(3)이었고, 200kHz에서는 2.0, 8.0, 9.1, 15.0, 20.1, 24.1 개/m 상(3)이었으며, 단위체적당에 분포하는 표적의 수가 많을수록, 그 추정치의 정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양주파수에서 분포밀도의 추정치는 실제보다 약 30%정도 과소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다국적 영업활동과 관련된 어떠한 특수요인들이 실제로 다국적기업의 자본구조에 영향을 미칠것인가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몇몇 문헌들은 다국적기업의 채무비율이 순수국내기업의 채무비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다는 검증결과를 제시하고 있는 바,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가 초래된 원인을 자본구조의 일반적 결정요인들을 살펴봄으로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재무이론에서는 자본구조의 일반적 결정요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세가지 요인-파산위험, 대리인 비용, 비부체감세율등-에 대하여 다국적기업과 국내기업간 비교의 관점에서 검증을 시도해 보았다. 검증결과, 다국적기업의 대리인비용과 비부채감세율이 국내기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크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는 바로 다국적기업의 부채비율이 국내기업의 그것에 비하여 낮다는 기존연구결과에 대한 원인규명이 되며 동시에 다국적영업활동에 따른 다국적기업특수요인이 자본구조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즉 다국적기업이 낮은 부채비율은, 첫째 대리인비용과 관련하여 볼때 기업특유 자산의 존재 및 정치적위험 가능성등의 다국적기업 특유요인으로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며, 둘째 비부채감세율과 관련하여 외국세액공제등을 포함한 국제조세제도도 또다른 영향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정치망에 대한 방어와 쥐치의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 동해안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낙망의 1/30크기의 모형정치망을 망지로서 제작하고, 이것을 수면조도 1 lux정도의 실내에 설치된 가로.세로 700cm, 깊이 100cm, 수심 70cm의 수조에 고정했다. 공시어는 정치망에서 어획된 전장 37~45cm짜리 방어와 18~21cm짜리 쥐치이며, 이것을 3~20마리씩 방류하여 통그물에의 입망수, 탈출수 등을 1분 간격으로 조사하고 10분간 누계하여 검토한 결과는 대략 다음과 같다. 1. 방어는 통그물 입망율은 그다지 크지 않으나 원통 입망율은 상당히 크다. 유영궤적은 비교적 원활하며, 입망도 잘하나 탈출도 잘하므로 정치망을 설계할 때는 입망하기가 다소 어렵더라도 탈출하기가 쉽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것 같다. 2. 쥐치는 통그물 입망률은 방어보다 크나 원통입망률은 매우 낮다. 유영궤적은 원활하지 않고 꼬불꼬불 원형으로 맴돌면서 전진하므로 입구가 넓은 헛통에는 잘 입망하나 원통에는 잘 입망하지 않는 것 같다. 따라서 쥐치를 주대상으로 하는 정치망을 설계할 때는 특히 등망부분을 조금 넓게 하여 군이 맴도는데 지장이 없도록 해주는 것이 유리할 것 같다. 3. 방어나 쥐치의 어느 경우에도 원통탈출율은 거의 0이고 헛통탈출율도 거의 10% 이하여서 낙망이 상당히 효과적인 어구임을 보여주고 있다.
여수해만의 어장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정치망 어장에서의 해황과 어획율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온의 분포는 봄과 여름에 연안쪽에 높고 외해쪽이 낮았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그 반대였다. 2. 염분의 분포는 봄과 겨울에 높고 여름과 가을에 낮았으며, 돌산연안에 저염분대가 형성되고 외해에는 고염분대가 형성되었다. 3. 돌산연안쪽 어장에서는 와류현상이 일어났고 여름철에는 수심 30~40m 사이에 수온약층 및 염분약층이 형성되었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거의 균등한 해수가 전해역에 분포하였다. 4. 정치망 어획량의 년변화는 1984년에 최대를 기록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였으며, 월별어획량의 변화는 6월에 최대치를 보였고 그 이후부터는 감소해가는 경향이었다. 5. 수온과 염분이 증가함에 따라 어획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수온 21℃~27℃, 염분 32.80%~34.00%에서 가장 많이 어획되었다. 6. 어군의 전체조성비는 삼치 28.4%, 멸치 18.0%, 전갱이 19.5%, 정어리 21%, 갈치 7.2%, 고등어 1%, 방어 0.8%이고 꽁치, 게, 오징어는 0.7%이하였다. 7. 어종별 어획시기는 삼치, 갈치, 방어, 게등이 조업기간중 계속 어획되었으며 멸치와 정어리가 4~8월, 전갱이와 고등어가 5~11월, 쥐치, 꽁치, 복어는 4~10월, 오징어가 4~9월에 많이 어획되었다. 8. 어획량이 가장 많았던 6월과 8월에는 풍향이 주로 NE, SSW이고, 풍속은 2.9m/sec 미만이고, 1.008mb이하의 저기압성이었으며, 강수량이 가장 많았었다.
한국연안어장에서 어군의 행동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재료를 제공하고져 초음파표식을 제작하여 그 표식의 성능과 축양조내에서와 정치망어장내에서의 단체어(공식어:방어)의 행동특성을 분석, 검토한 결과, 제작한 40KHz 초음파표식과 VEMCO사의 50KHz 초음파표식은 무지향특성으로 각각 200m, 500m거리에서 추적이 가능하였다. 축양조내에서는 방류초기에는 불규칙적인 행동을 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안정된 속도로 행동함으로서 정치망내에서의 행동특성을 관측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치망어장에서 방류하여 추적한 결과, 어장내에서의 이동경로, 유영속도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어군의 어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수연해 정치망 어장의 6월, 7월, 8월의 해황변화에 따른 어황관계를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천수의 유입이 많은 내해와 돌산연안의 정치망 어장에서는 고온.저염분수가 분포하고 외해에는 저온 고염분수가 분포한다. 2) 정치망 어장부근에는 6월의 와류형성과 8월의 수온약층 형성으로 어류가 군집을 하는데 영향을 미쳐 좋은 어획량을 보여 주고 있다. 3) 정치망 어장에서 어획수온범위는 11℃~28℃이며 좋은 어획량을 나타내는 범위는 21℃~27℃였다. 또한 염분의 범위는 31.60‰~34.80‰이고 어획이 가장 좋은 범위는 33.80‰~33.99‰였다. 4) 어획대상물의 어획순위는 삼치, 전갱이, 삼치, 정어리, 고등어, 갈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authors analyzed the daily catch data which were obtained from two different regions at the Southern Sea in Korea, Neungpo, Geoje island and Yangwhagum, Namhae island, during three or four years in 1978, 1981-1985, in order to know the f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set net fisheries. The favorable fishing season was summer in the southern sea. The total catches during one year were greatly affected by those several day when the dominant species of fish were caught in large quantities. The dominant species of fish at Neungpo were little horse mackerel, sand lance, sardine, hair tail, spanish mackerel and common mackerel, and those at Yangwhagun were anchovy, little horse mackerel, sardine, spanish mackerel and gizzard shad, in order of catch. Especially, the little horse mackerel and the sardine appeared to make up very big schools at both Neungpo and Yangwhagum. The occurrence seasons of the dominant species were different by the region, but generally those were earlier at western part than at eastern part of the Southern Sea in Korea.
정치망 어장의 어도 연구와 관련된 정치망 어장부근의 해저지형과 조류의 관측을 행하였다. 거제도 동부의 2 해역, 도장포와 능포어장과 남해도 동부의 2 해역, 양화금과 마안도 부근에서 수심관측과 25시간 정점 조류 관측 및 레이더 코오너리플렉터에 의한 표층의 표류실험을 병행하였다. 해저지형의 관측결과 거제도 동부 해역에서는 만의 남쪽에 경사가 심한 골이 형성되어 있고, 그 부근에 어구가 부설되어 있었다. 조류의 관측결과 거제도 동부해역에서는 좌선회의 경향을 보였고 남해도 양화금에서는 우선회의 경향이 뚜렷하였으며 마안도 부근에서는 일정하지 않았다. 항류성분과 조류의 회전 및 지형 등이 조화되어 외해에서 만에 접근한 어군이 해저 골 부근으로 접근하면서 점차 농밀군을 이루게 되어 정치망 어구에 접근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정치망어업에 의한 최근 15년 간(1971~1985년)의 어획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의 경년변동과 계절변동, 해역별 및 어종별 어획량 변동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치망어업의 어획량은 1971년에 16,787M/T, 1985년에 84,103M/T으로서 대체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1978년부터 급격히 어획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979년에 99,475M/T으로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쥐치가 대량 어획되어 어획량의 64%를 차지하였고, 1976년 수산어법의 개정에 따른 통계수치의 증가에 원인이 있으며, 연안 수온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월평균어획량이 10~11월에 8,000~12,000M/T으로서 년평균 어획량의 32%를 차지하므로 정치망어업의 주어기는 10~11월로 볼 수 있다. 3. 1976년 이전에는 남해구에서, 1977~1980년에 동해구에서 정치망어업을 주도해 왔으나, 1981년 이후에는 그 경향이 불규칙하였다. 4. 어획량변동의 유사성 측면에서 볼 때, 어종별 어획량변동은 뱅어, 도루묵, 갈치, 멸치, 등과 같이 어획량이 감소하는 군, 노가리, 밴댕이, 망둥어, 전어, 양미리, 쥐치 등과 같이 증가하는 군 및 그 외 증감경향이 불분명한 군의 3개 군으로 대별할 수 있다
원격측정장치를 제작하여 그 성능을 조사하고, 정치망주변의 수중환경소음과 축양조내의 수중생물소음을 각각 직접.원격측정을 동시에 행하여 그 주파수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원격측정장치의 송신기의 입력신호전압을 100~300 mV로 하였을 때 수중환경소음의 원격측정치와 직접측정치는 50Hz~2KHz의 주파수범위에서 상관계수가 0.97로 가장 잘 일치하였다. 2. 원격측정한 수중환경소음의 음압준위는 송수신기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3. 축양조내의 수중생물소음을 원격측정하여 스펙트럼 분석한 결과 50Hz~2KHz의 주파수범위에서는 원격측정치와 직접측정치가 잘 일치하였으며, 2KHz 이상에서는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원격측정장치의 송수신기의 총합주파수특성을 높이면 여러 가지 해양환경요소의 원격측정과 원력어군탐지기의 제작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음향집어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치망내의 수중환경소음과 방성음의 분포 및 집어효과를 실험,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중환경 소음 및 방성음의 중심주파수대는 각각 150Hz~400Hz, 400Hz~1000Hz이고, 음압준위는 원통, 헛통, 장등, 비탈그물의 순으로 , 비탈그물, 원통, 헛통, 장등의 순으로 각각 높았다. 양망작업중의 수중소음은 양망개시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음압준위가 높아지나 양망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오히려 낮아졌다. 2. 본 실험에서 제작한 방성장치로서 정치망어포부내에 방성한 결과, 초기에는 어군이 방성기주변으로 모여드는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약 30분이 경과하면서 이러한 반응은 약화되었다. 그리고 방성시간과 휴지시간의 간격보다는 방성음압에 군락이 더 민감하였다. 3. 일본에서 제작된 음향집어기(Dainy 0-8)로 해상에서 방성시험을 하여 본 결과, 대체로 방성개시후 약 20분에 어군이 모여들고 방성을 멈추면 곧 흩어졌다. 유집된 어군은 선박교통소음의 환경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망입구 근처의 장등에 음향집어기를 설치하여 방성하였을 경우와 방성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어획량이 방성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약 3~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is a basic study of furthe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oceanographic conditons, such as bottom profile, currents, and temperature, to the fish migrating course around the set-net. The survey was held at Dojang Po, southern part of Geoje Island, from July to October in 1985. There was a sea valley of which depth was 20 to 40 meters around the set-net. Near the bottom of that sea valley, there was different current pattern to the upper layer. In the sea calm condition of July and October, the vertical profiles of current and water temperature were simple. But in rough condition of September, they were complicated because of wind tuburance.
Schooling behavier to a fishing gear and estimation of the volume of fish school in set net have ~ been studied by making use of such techniques as visual observations, underwater cameras, under- water televison. However, all of these observation techniques are subject to restrictions caused by illumination, underwater visibility, underwater transparent and sea conditions. For the above mentioned reasoa,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 by this time become generally known a method using fish finder. In this paper, in order to control the fishing ground of set net effectively and to develope the telemetric fish finder, the experiments for the target strength, underwater shape of fishing gear, schooling behavier and volume of fish school with fish finder were performed at Galgott fishing ground of set net located Keouje Island, 15th-24th July and 18th-20th October in 1985.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 showed that a method using fish finder in fishing grOlllld of set net is available for estimating distribution and school size, fish behavier in relation to a fishing gear and underwater shape of fishing g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