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稿는 공산권 국가 시장에서의 시장확대를 위하여 공산권 시장의 환경상 특수성을 분석하고 마아케팅 전략에 있어서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연구의 출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공산권 시장은 교역의 특성상 전략의 중점이 달라질 수 밖에 없고, 또 달라져야만 한다는 인식을 배경으로 대공산권 시장개척의 例에서 보는 여러 기업의 경험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이에 연관된 긍정적인 측면과 기업의 새로운 상거래 기능 및 대공산권 시장개척의 마아케팅 대안을 밝힘으로써 한국 기업의 대공산권 경제교류의 전략수단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마아케팅 전략수단의 응용과 더불어 특수 교역 형태의 개발을 통하여 공산권 시장개척 및 시장확대의 실마리를 제공하려는 시도를 우선 전개했다. 상품교류에 의한 교역확대 방안 이외에도 경제협력을 중심으로한 대안도 마아케팅 전력수단의 범주에 포함하여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電子産業은 1959년에 金星社가 국내최초로 진공관식 라디오를 조립생산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30년간 괄목할만한 성장을 해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電子製品輸出入構造를 보면 素材와 部品을 일본으로부터 수입하여 完製品을 美國을 중심으로 하는 開發國들과 開途國들에 수출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本論文은 국제시장에서 점증하는 전자제품에 대한 규제에 대응하고 우리나라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한 日本市場開拓을 위하여 기업의 전략적 선택이 對日本輸出實績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産業用 電子를 수출하는 것과 자산절약적이고 노동집약적이며 높은 가동율을 유지하는 우리나라기업의 전통적인 低費用戰略 및 自社商標를 부착한 여러 가지 제품을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는 差別化戰略이 對日輸出利幅에 正의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다국적 영업활동과 관련된 어떠한 특수요인들이 실제로 다국적기업의 자본구조에 영향을 미칠것인가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몇몇 문헌들은 다국적기업의 채무비율이 순수국내기업의 채무비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다는 검증결과를 제시하고 있는 바,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가 초래된 원인을 자본구조의 일반적 결정요인들을 살펴봄으로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재무이론에서는 자본구조의 일반적 결정요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세가지 요인-파산위험, 대리인 비용, 비부체감세율등-에 대하여 다국적기업과 국내기업간 비교의 관점에서 검증을 시도해 보았다. 검증결과, 다국적기업의 대리인비용과 비부채감세율이 국내기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크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는 바로 다국적기업의 부채비율이 국내기업의 그것에 비하여 낮다는 기존연구결과에 대한 원인규명이 되며 동시에 다국적영업활동에 따른 다국적기업특수요인이 자본구조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즉 다국적기업이 낮은 부채비율은, 첫째 대리인비용과 관련하여 볼때 기업특유 자산의 존재 및 정치적위험 가능성등의 다국적기업 특유요인으로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며, 둘째 비부채감세율과 관련하여 외국세액공제등을 포함한 국제조세제도도 또다른 영향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이다.
輸出商品이 輸入國의 消費者들에 의해 얼마나 選好되는지의 여부는 주로 原産地國 情報와 商標國 情報를 통해 상품의 품질에 대한 消費者의 認知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硏究는 韓國의 소비자들이 韓國, 美國 및 日本의 純粹製品과 混合製品의 品質에 대한 각각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正確性, 迅速性, 使用上의 容易性 등 品質의 主要 屬性에 따라 原産地國 및 商標國의 이미지를 비교·평가하고, 國際經營戰略에 있어서 이의 應用方案을 모색하였다. 본 硏究는 低關與製品인 학습용 계산기에 대한 說問紙를 작성하여 우리나라 3개대 학생150명을 대상으로 設問調査法에 의해 이루어졌다. 說問은 각 屬性에 1에서 7점까지 점수를 주는 쎄븐스케일의 語義差異法을 사용하였으며, 商標國과 原産地國을 행렬로 조합하여 製品屬性別 評價를 t-檢證하였다. 硏究의 주요 發見內容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製品의 評價에 있어서 품질의 모든 속성에서 日本에서 제조된 日本商標의 製品이 韓國이나 美國의 그것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며, 韓國製品과 美國製品 사이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製品平價가 經濟發展 水準과 正의 相關關係에 있다는 旣存硏究와 상이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이는 消費者의 특정국에 대한 民族的感情이 제품의 原産地國 이미지에 그대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示唆해 주었다. 둘째, 原産地國이 商標國보다 중요하게 평가된다는 기존의 연구가 재확인되었다. 한편 原産地國이 先進國일 경우에는 商標國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으나, 原産地國이 後進國일 경우에는 상표국이 보다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Korean economic growth in exports has been phenomenal in the past two decades. This paper deals with a series of export studie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which look at export behavior and the conditions which influence export sales in these firms. Profiles of the firms are provided, in addition to discussions of the key influences on initiating exports, channels selection, profitability, and attitudes toward exporting.
지금까지 해외직접투자이론은 수없이 많은 갈래로 발전되어 왔으며, 더닝(Dunning, 1981)은 절충이론, 러그만(Rugman, 1981)은 내부화이론 등으로 기존이론들을 통합하려고 하는 시도도 있었다. 그러나 어떤 이론도 첫째, 개도국 다국적기업의 대선전진국투자 둘째, 재투자 및 투자철수 셋째, 대세계경제의 복지효과 등을 포괄적으로 설명해 주지 못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해외직접투자이론의 요체가 소유우위에 있다고 보고 단지 우위요인들을 나열적으로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어떤 요인이 해외직접투자를 가능하게 하는 결정요인인지 를 찾아내고자 한다. 또한 본고는 내부화요인을 투입 생산요소의 잉여요소(예: 잉여자본), 투자대상국의 입지요인을 부족요인(예 :부족노동)으로 정의하고 이에 따라 다국적기업은 최적수준이 될 때까지 이들 두 요인의 불균형분을 조정할 것이라는 논지에 입각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가장 중요한 독립변수는 `불완전이용`(underutilized) 자본집약도`라는 것을 찾아냈으며 특히 기술이 표준화된 산업의 경우에는 이 요인이 유일하면서 가장 유의적인 설명변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미국 다국적기업에 의한 해외직접투자뿐 아니라 일본이나 개도국의 해외직접투자의 설명에도 유효할 것으로 본다.